메뉴 건너뛰기



[앵커]

멀쩡한 건물이 땅으로 빨려 들어갈 듯 무너진 곳 여기는 미얀마입니다.

사망자 수가 만 명을 넘을 수 있단 관측이 나옵니다.

통곡의 땅으로 변한 지진 현장부터 보시겠습니다.

정윤섭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승려들이 겨우 대피한 사이 사원 건물이 힘없이 무너져 내리고, 화려함을 뽐내던 불탑도 한순간에 사라집니다.

건물 대부분이 무너진 도심, 시민들은 실종된 가족과 친구를 찾아 맨손으로 잔해를 파헤치고 있습니다.

인구 120만 명이 사는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는 초토화됐습니다.

[미얀마 만달레이 교민 : "담벼락 같은 게 굉장히 많이 무너져 있고(도로가) 막히는 상태에서 앰뷸런스가 제대로 이동도 못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미얀마 군정은 지금까지 지진 사망자가 1,000명을 넘겼고, 부상자는 2천 3백여 명에 이른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민 아웅 흘라잉/미얀마 군부 최고사령관 : "건물이 무너진 곳에서는 구조 작업이 이어지고 있지만 사망자 수는 증가할 것입니다."]

하지만 내전으로 사회기반시설이 무너진 데다, 강력한 여진까지 이어지면서 본격 구조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지진 규모와 주변 환경, 건축물 내진 설계 등을 고려할 때 사망자가 만 명 이상일 확률이 71%에 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미얀마 만달레이 교민 : "장비라든지 기술이라든지 인력 이런 게 부족하다 보니까 다친 사람만 케어하기에도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군사정권과 가까운 중국과 러시아가 의료진을 급파하고, 미국도 지원을 약속하는 등 국제사회 지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로와 통신이 파괴된 데다 군사 정권이 반군의 영향력이 미치는 지역에는 구호를 외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얼핏 미얀마 지진 현장처럼 보이지만, 이 곳은 그 옆 나라 태국 방콕입니다.

진앙지에서 천 km나 떨어진 곳까지 지진의 충격이 전해졌단 얘깁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을 바로 연결하겠습니다.

정 특파원! 그 곳 피해는 어느 정돕니까?

[기자]

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신축 중이던 건물의 붕괴 현장입니다.

날이 어두워졌지만 조명을 켜고 구조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8명이 숨진 채 발견됐는데 아직 잔해 속에 있을 70여 명의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33층짜리 건물이 무너지다 보니 산처럼 쌓인 전해 더미 때문에 구조에 속도가 나질 않는 겁니다.

이곳 말고도 방콕의 공사 현장 여러 곳에서 붕괴 사고가 있었고, 모두 100여 명이 실종 상태입니다.

[앵커]

방콕엔 우리 교민들도 많이 사시는데, 다들 안전하신가요?

[기자]

네, 미얀마에는 교민이 2천 명 정도 있고, 태국에는 교민 약 2만 명 외에도 관광객이 많은데요.

우리 외교부는 교민과 관광객들 인명피해는 없는 걸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곳 방콕의 경우 건물에 균열이 가거나 가구 등이 파손된 사례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불안한 나머지 어젯밤 저층 건물로 된 호텔에서 자거나, 아예 공원 등에서 밤을 보낸 이들도 적지 않았는데요.

미얀마의 경우 KBS 취재진과 통화한 만달레이의 교민에 따르면 추가 붕괴나 여진에 대한 우려 때문에 대부분 도시 외곽으로 대피한 상태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수아/촬영:KEMIN/통역:NICHMON/화면출처:태국 ONE 31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20 정권 교체 57.1%·연장 37.8%…이재명 무죄 뒤 격차 커져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619 "어쩐지 많이 오르더니"…공매도 재개, 2차전지株가 제일 피봤다[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3.31
46618 임직원 평균 연봉 1억 넘는 대기업 55곳 랭크뉴스 2025.03.31
46617 김수현, 31일 긴급 기자회견... 직접 입장 표명 랭크뉴스 2025.03.31
46616 여수서 40대 강도 전과자 전자발찌 끊고 이틀째 도주…법무부, 공개수배 랭크뉴스 2025.03.31
46615 3600억 쏟아부었는데…뚜껑 열어보니 백설공주 '흥행 실패' 랭크뉴스 2025.03.31
46614 정권 교체 57.1%·연장 37.8%…이재명 2심 무죄 뒤 격차 커져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613 리얼미터 "정권교체 57.1%·정권연장 37.8%‥민주 47.3%·국민의힘 36.1%" 랭크뉴스 2025.03.31
46612 ‘尹 탄핵심판 신중론’서 기류 달라진 與 “헌재, 결단 내려야 할 때” 랭크뉴스 2025.03.31
46611 중대본 "이번 산불 초고속…몇시간 만에 동해안 어선 도달" 랭크뉴스 2025.03.31
46610 14명 자녀 둔 머스크, 또 韓 콕 집어 때렸다…"인류 사멸 중" 랭크뉴스 2025.03.31
46609 [속보] 공매도 재개 첫날 코스피 2500선 붕괴… 2차전지주 와르르 랭크뉴스 2025.03.31
46608 14명 자녀 둔 머스크, 韓 콕 집어 저출산 우려…"인류 사멸 중" 랭크뉴스 2025.03.31
46607 [특징주] 공매도 폭탄 터지자 드러누운 삼성전자… 6만원 깨졌다 랭크뉴스 2025.03.31
46606 與 "문형배, 조속히 尹판결해야"…野도 선고기일 신속 지정 촉구 랭크뉴스 2025.03.31
46605 전남 여수서 전자발찌 끊고 달아난 이태훈 공개수배 랭크뉴스 2025.03.31
46604 국힘,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음모’ 혐의로 고발한다 랭크뉴스 2025.03.31
46603 "벼랑 끝 자영업자 대출"…2금융권 연체율, 10~11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602 "나무 베는 걸 손가락질하는 한국 풍토가 산불 예방, 조기 진화 막았다" 랭크뉴스 2025.03.31
46601 "韓 무시 안해"라던 딥시크, 日 개인정보 처리방침만 추가 마련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