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6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밝히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이 4월 3일부터 수입차에 부과하는 25% 관세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떨고 있다. 미국 시장 비중이 큰 한국·일본·독일차뿐 아니라 미국 완성차 업체들도 자동차 가격 인상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신세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테슬라 정도만 승자로 분류된다.

그런데 ‘트럼프 관세 수혜’ 기업이 또 있다.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다. BYD와 경쟁하는 한국·독일·미국 전기차 업체들이 관세로 고전하는 사이 BYD가 반사 이익을 얻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같은 흐름은 주가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수입차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빅3 자동차 업체의 주가는 일제히 떨어졌다. 뉴욕증시에서 GM과 포드는 각 7.35%와 3.38% 하락했다. 트럼프는 5월 3일 이전까지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붙을 거라 예고했는데, 해외 조달 부품에 의존하는 미국 자동차 업체들도 관세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주가에 반영된 것이다..

한국·일본 자동차 기업들 사정은 더 나쁘다.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 170만8293대 중 한국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한 물량은 99만5577대다. 지난해 실적에 견줘 보면 미국 판매량의 58.3%가 관세 영향에 직접 노출된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토요타는 2023년 미국 판매 차량 중 44%를 미국 외에서 제조해 판매했는데, 지난해 판매량(233만대)으로 보면 약 100만대에 해당된다. 블룸버그는 포르쉐와 메르세데스-벤츠가 이번 관세로 약 34억유로(5조4000억 원)가량의 손해를 볼 거라 추정했다.

2025년 3월 24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46회 방콕 국제 모터쇼에서 BYD 전기 자동차가 전시되어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들이 미국으로 생산 기지를 옮겨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관세로 차값이 오르면 구매 감소로 이어지고, 미국 시장 수익이 큰 업체는 미래 차에 대한 투자 여건 악화나 생산 차질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7일(현지시간) 미국 관세로 글로벌 자동차 업체가 BYD같은 중국 전기차(EV)업체에 더 뒤쳐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쟁자들이 관세와 씨름하는 사이,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더 저렴한 가격과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차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중국 심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BYD 주가는 386.5 위안으로 전일 대비 2.97% 올랐다.

BYD는 이번 관세에 직접적 영향도 없다. 이미 미국 진출은 막혀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지난해 9월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4일부터는 추가 20% 관세도 더해 120% 관세를 매기며 중국차 수입 통로를 봉쇄했다. BYD는 미국 대신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인도 같은 신흥국으로 시장을 넓혀왔다. 그 결과 BYD의 지난해 매출은 1070억달러를 기록하며 테슬라(980억달러)를 처음으로 제쳤다.

BYD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지난 18일 BYD는 5분 충전시 470㎞를 주행할 수 있는 새 충전 시스템을 발표해 화제를 모았다. ‘신의 눈’이라 부르는 자율주행 시스템도 전 차종에 탑재한다. FT는 이를 두고 “트럼프의 관세 발표는 자동차 산업계의 ‘딥시크(DeepSeek) 모먼트’라 불리는 사건 이후에 나왔다”며 EV 기술 혁신에 선 중국과 관세 리스크에 막힌 글로벌 완성차 업계를 대조해 조명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관세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이외 지역에서 기회를 찾으려 하겠지만, 그 시장은 이미 중국 전기차가 선점한 상태”라며 “향후 전통 자동차업체들은 더 심각한 글로벌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00 "尹선고날 '뚱뚱한 패딩' 보이면 무조건 피하라"…경찰의 당부, 왜? 랭크뉴스 2025.04.02
47699 경북 산불 사망자 27명으로 늘어... 중상자 3명 '위중' 랭크뉴스 2025.04.02
47698 47억 아파트 30대 어떻게 샀나 했더니…"부친에 30억 빌렸어요" 랭크뉴스 2025.04.02
47697 권성동 "이복현, 짐 싸서 떠나야‥대통령 거론 오만한 태도" 랭크뉴스 2025.04.02
47696 장제원 전 의원 빈소 조문행렬…정진석 "대통령 '가슴아프다' 말해" 랭크뉴스 2025.04.02
47695 격변기 맞은 산업계, 전방위 구조조정…한계기업 '퇴출 도미노' 랭크뉴스 2025.04.02
47694 “아빠 찬스로 47억원 아파트 샀나” 국토부, 서울 지역 이상거래 집중 점검 랭크뉴스 2025.04.02
47693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92 "안국역 전쟁통인데" "출근할 수 있을까" 종로 직장인들 '尹 선고' 발동동 랭크뉴스 2025.04.02
47691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90 ‘귀한 몸’ 토허제 경매 아파트…‘아리팍‧방배그랑자이’ 감정가보다 웃돈 매각 랭크뉴스 2025.04.02
47689 “왜 출근했어요? 잘렸는데” 美 보건·복지 인력 1만명 해고 시작 랭크뉴스 2025.04.02
47688 대통령 탄핵 선고일, 서울 16개 학교 휴업... 경복궁역 인근까지 확대 랭크뉴스 2025.04.02
47687 ‘사과 대란’ 다시 오나…‘주산지’ 경북 산불에 국내 재배면적 10% 피해 랭크뉴스 2025.04.02
47686 버스·지하철·자전거·쓰레기통까지 싹 다 치운다…4일 안국·광화문·여의도 진공화 랭크뉴스 2025.04.02
47685 헌재 오전 10시 선고가 관례인데…尹 선고는 오전 11시 왜 랭크뉴스 2025.04.02
47684 "헌재에 승복해야" 지적에‥이재명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83 대통령 탄핵 선고일, 서울 총 16개 학교 휴업 랭크뉴스 2025.04.02
47682 경찰, '명품 수수 의혹'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2
47681 '이별 통보' 연인 66차례 찔러 살해한 40대 2심도 무기징역 구형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