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6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밝히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이 4월 3일부터 수입차에 부과하는 25% 관세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떨고 있다. 미국 시장 비중이 큰 한국·일본·독일차뿐 아니라 미국 완성차 업체들도 자동차 가격 인상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신세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테슬라 정도만 승자로 분류된다.

그런데 ‘트럼프 관세 수혜’ 기업이 또 있다.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다. BYD와 경쟁하는 한국·독일·미국 전기차 업체들이 관세로 고전하는 사이 BYD가 반사 이익을 얻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같은 흐름은 주가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수입차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빅3 자동차 업체의 주가는 일제히 떨어졌다. 뉴욕증시에서 GM과 포드는 각 7.35%와 3.38% 하락했다. 트럼프는 5월 3일 이전까지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붙을 거라 예고했는데, 해외 조달 부품에 의존하는 미국 자동차 업체들도 관세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주가에 반영된 것이다..

한국·일본 자동차 기업들 사정은 더 나쁘다.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 170만8293대 중 한국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한 물량은 99만5577대다. 지난해 실적에 견줘 보면 미국 판매량의 58.3%가 관세 영향에 직접 노출된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토요타는 2023년 미국 판매 차량 중 44%를 미국 외에서 제조해 판매했는데, 지난해 판매량(233만대)으로 보면 약 100만대에 해당된다. 블룸버그는 포르쉐와 메르세데스-벤츠가 이번 관세로 약 34억유로(5조4000억 원)가량의 손해를 볼 거라 추정했다.

2025년 3월 24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46회 방콕 국제 모터쇼에서 BYD 전기 자동차가 전시되어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들이 미국으로 생산 기지를 옮겨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관세로 차값이 오르면 구매 감소로 이어지고, 미국 시장 수익이 큰 업체는 미래 차에 대한 투자 여건 악화나 생산 차질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7일(현지시간) 미국 관세로 글로벌 자동차 업체가 BYD같은 중국 전기차(EV)업체에 더 뒤쳐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쟁자들이 관세와 씨름하는 사이,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더 저렴한 가격과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차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중국 심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BYD 주가는 386.5 위안으로 전일 대비 2.97% 올랐다.

BYD는 이번 관세에 직접적 영향도 없다. 이미 미국 진출은 막혀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지난해 9월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4일부터는 추가 20% 관세도 더해 120% 관세를 매기며 중국차 수입 통로를 봉쇄했다. BYD는 미국 대신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인도 같은 신흥국으로 시장을 넓혀왔다. 그 결과 BYD의 지난해 매출은 1070억달러를 기록하며 테슬라(980억달러)를 처음으로 제쳤다.

BYD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지난 18일 BYD는 5분 충전시 470㎞를 주행할 수 있는 새 충전 시스템을 발표해 화제를 모았다. ‘신의 눈’이라 부르는 자율주행 시스템도 전 차종에 탑재한다. FT는 이를 두고 “트럼프의 관세 발표는 자동차 산업계의 ‘딥시크(DeepSeek) 모먼트’라 불리는 사건 이후에 나왔다”며 EV 기술 혁신에 선 중국과 관세 리스크에 막힌 글로벌 완성차 업계를 대조해 조명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관세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이외 지역에서 기회를 찾으려 하겠지만, 그 시장은 이미 중국 전기차가 선점한 상태”라며 “향후 전통 자동차업체들은 더 심각한 글로벌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77 송영길 ‘정치자금법 위반’ 2심 첫 재판서 “후원금 개인적으로 쓴 적 없어” 랭크뉴스 2025.04.02
47776 본회의 뒤집은 與 의원 발언‥"공산주의자!" 누구 향했나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2
47775 '강남역 여친살해 의대생' 피해자 어머니 "가해자 엄벌" 호소 랭크뉴스 2025.04.02
47774 [이슈+] 심우정 검찰총장 딸 채용 의혹‥"극진한 배려"? 랭크뉴스 2025.04.02
47773 논란의 ‘구릿빛 피부’ 백설공주...결국 폭삭 망했수다 랭크뉴스 2025.04.02
47772 ‘탄핵 찬성’ 김상욱 “닭 목 비틀어도 새벽은 와…내 역사적 소명은 파면”[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2
47771 “자살 면죄부로 여기는 분위기, 자살률 높여” 나종호 예일대 교수의 경고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770 주민 반발에 21년 걸렸다…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준공 랭크뉴스 2025.04.02
47769 길거리 방송 중 “누구 한 명 죽이고 싶다”…40대 유튜버 현행범 체포 랭크뉴스 2025.04.02
47768 "거기도 돈 있고 빽 있으면 벌 안 받나요?" [엠빅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767 샤오미, 레벨업이 지속되는 구간 [돈 되는 해외 주식] 랭크뉴스 2025.04.02
47766 애경그룹, 몸집 줄이나…알짜 계열사 애경산업 매물로 랭크뉴스 2025.04.02
47765 “사이버렉카 멈추는 길”…김수현 측 ‘가세연’ 추가 고소 랭크뉴스 2025.04.02
47764 지진에 무너진 방콕 건물은 '순살' 빌딩? "기준 미달 철근 발견" 랭크뉴스 2025.04.02
47763 “마은혁 공산주의자!” 국힘 박충권 외침에 여야 고성 오간 본회의장 랭크뉴스 2025.04.02
47762 네이버 “라인야후 지분 매각 입장 변화 없어” 랭크뉴스 2025.04.02
47761 [단독] ‘관세 직격탄’ 철강·자동차 구하기…댈러스·멕시코시티에 거점 무역관 설치 랭크뉴스 2025.04.02
47760 본회의 멈춰 세운 ‘공산주의자’ 발언…“국회 모독” vs “마은혁 반대” 랭크뉴스 2025.04.02
47759 [단독] 키움·대신證도 공매도 전산화 참여…“투자자 불안 불식” 랭크뉴스 2025.04.02
47758 “정치검찰의 무리한 정치 보복” 문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