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6일 오후 9시21분께 전북 무주군 부남면의 한 주택에서 난 불이 산으로 번져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 제공=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

[서울경제]

경북 북동부 일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이 좀처럼 진화되지 않는 가운데, 해외 전문가들이 이번 산불에 대해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로 악화한 기상 조건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놨다.

26일(현지시간) 기후과학자 네트워크 ‘클라이마미터’(ClimaMeter)와 미국 기후변화 데이터 연구단체 ‘클라이밋센트럴’은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 각각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두 단체에 따르면 산불이 발생한 기간 한국의 기온은 1991년부터 30년간의 평균보다 4.5~10도가량 높았다. 산불 발생 지역인 일본 서부 역시 평균 대비 7~8.5도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례적으로 따뜻한 기온과 낮은 습도가 초목을 건조하게 만들어 불이 더 빨리 확산했다는 것이다.

클라이밋센트럴이 21일부터 25일까지 산불이 발생한 지역의 기후변화지수(CSI)를 측정한 결과, 한국 남부지방 곳곳이 CSI 5등급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더위가 최소 5배 더 발생했다는 뜻이다. CSI는 기후변화가 온도 상승에 끼치는 영향을 수치화한 지표다.

클라이마미터가 이번 산불처럼 화재 발생이 쉬운 ‘고온건조’ 기후 패턴을 과거(1950~1986년)와 최근(1987~2023) 데이터에 기반해 분석한 결과, 단체는 산불 피해 지역의 평균 기온이 과거 대비 최대 2도 더 높으며 하루 강수량은 최대 2㎜ 더 적고, 바람이 시속 4.8㎞ 더 강하게 불었다고 밝혔다.

다비데 파란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리서치 디텍터는 “최근 몇 주 동안 동아시아에서는 기록적인 강설과 수십년 만의 최악의 산불이 발생했다”며 “기후변화는 단순히 지구 온도를 높이는 게 아니라 여러 극단적 상황을 증폭해 재난을 가중시킨다”고 지적했다. 카르멘 알바레즈 카스트로 스페인 파블로 데 올리비데 대학 자연시스템학과 교수는 “이번 동아시아 산불은 인간이 주도한 기후변화로 인해 극심한 기상이변 빈도와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는 증거”라며 “시급히 기후변화 영향에 대처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26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 야산으로 산불이 번지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건조 특보가 유지 중인 경북에는 27일 5㎜ 안팎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나, 산불 영향권이 경북 북동부로 급격히 넓어지는 양상이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산청·하동·청송의 진화율은 77%, 의성은 54%, 안동은 52%에 그쳤다.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확산한 영덕은 10%, 영양은 18%의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 울주 언양과 경남 진해의 산불은 진화가 완료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26명이 사망했다. 중상 8명, 경상 22명 등의 인명피해도 동반됐다. 가장 많은 피해자가 나온 지역은 경북으로 총 22명 사망, 중상 3명·경상 16명 등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경남에서는 4명이 숨졌고 5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울산에서는 2명의 경상자가 나왔다. 이와 별도로 의성군 산불 현장에서는 진화 작업에 나섰던 헬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기장 A(73)씨가 숨졌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46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랭크뉴스 2025.03.31
46745 첫 위헌 심판대 오른 ‘중대재해법’…노동계 “노동자 안전 외면” 랭크뉴스 2025.03.31
46744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피해 여성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5.03.31
46743 권성동 "野, 韓탄핵안 발의시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
46740 [속보] 원·달러 환율 주간 종가 1472.9원…금융위기 후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739 권성동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韓 대행이 임명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1
46738 [맞수다] "헌재 기류 이상?"‥"尹 복귀 시나리오 의심" 랭크뉴스 2025.03.31
46737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도 못 해”…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
46736 美 제재로 中 선박 주문 취소 현실화… 韓 조선엔 호재 랭크뉴스 2025.03.31
46735 [속보]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 랭크뉴스 2025.03.31
46734 빌 게이츠가 예상하는 10년 후 AI 때문에 사라질 직업은? 랭크뉴스 2025.03.31
46733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 사고, 20대 여성 관중 결국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732 '오세훈 아내 강의실 침입 혐의'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무죄 확정 랭크뉴스 2025.03.31
46731 "국민 불안 커져"‥국회 측, 尹탄핵심판에 각계 시국선언문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30 윤봉길 의사 "테러실행범" 지칭한 산케이... 추모관 설립에 우익 반대 시위 격화 랭크뉴스 2025.03.31
46729 "을사8적·반역자 될 건가"... 전현희, 헌재에 '윤석열 파면' 압박 랭크뉴스 2025.03.31
46728 "기업회생은 아니라더니" 발란, 결국 '법정관리' 행 랭크뉴스 2025.03.31
46727 [속보]국회 운영위,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野 주도로 통과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