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4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에 학생들이 오가고 있다. 정효진 기자


서울대 의대에 이어 울산대 의대생들도 전원이 올해 1학기 복학 신청을 하기로 했다. 연세대 의대는 1명을 제외한 전원이 복학 신청을 했고, 가톨릭대 의대는 ‘등록 후 수업 거부’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에선 1학기 등록 마감을 앞두고 막판까지 면담, 공청회 등을 통해 학생 설득에 나서면서도 “기한을 넘기면 제적”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대학 총장들은 “학생들이 돌아와 정상 수업을 하면 의대 정원을 원점으로 되돌린다”는 기존 입장을 강조했다.

울산대 의대 관계자는 28일 “오늘 오전 학생들 내부 논의를 거쳐 의대생 전원이 복학 신청해 복귀하는 것으로 의결했다”고 말했다. 울산대는 이날 올해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의대생 중 제적 대상자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려 했지만 학생 전원 복귀 소식을 듣고 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을 취소했다.

울산대 의대는 지난 27일 올해 1학기 등록을 마감했다. 당초 울산대 의대생 80~90%가량이 ‘미복귀 휴학’을 유지하는 데 동조하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울산대 의대 교수들이 “제적은 없다”는 입장을 최근까지 유지하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제적까진 가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공유됐다. 다만 한 울산대 의대생은 “동료들에게 낙인찍히는 게 두려워 수업 복귀를 못 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이날 등록 마감이었던 가톨릭대 의대는 등록 마감일을 30일로 미뤘다. 가톨릭대 의대는 내부적으로 ‘등록 후 수업거부’로 의견을 모으고 상당수 학생들이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대와 가톨릭대 의대생들의 수업 등록 결정에는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의 수업 복귀 움직임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는 전날 수업 등록을 마감했는데, 군 휴학 등 휴학자를 제외하면 사실상 재학생 전원이 복학 신청을 했다. 연세대는 이날까지 1명을 제외한 재학생 전원이 복귀 신청을 마쳤다. 고려대는 의대생들의 80~90%가량이 수업 등록을 하거나 수업 복귀 의사를 밝힌 상황이다.

주요 의대에선 수업 등록을 하지 않았지만 추가 복학 의사를 밝힌 학생들과 면담을 진행 중이다. 고려대는 당초 이날까지 등록금 납부 마감을 하려 했지만, 의대생들과 교수진의 면담을 당분간 이어가기로 했다. 고려대 의대 관계자는 “상담 신청이 200명 가까이 들어왔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면담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달 31일까지 의대생과 교수진의 상담을 조금 더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원광대 의대 학장단이 28일 작성해 홈페이지에 공개한 서한문. 홈페이지 갈무리


이날 건국대, 경희대, 고신대, 성균관대, 전남대, 전북대 등 20개 가까운 대학은 1학기 등록 마감을 앞두고 막판까지 수업 복귀 설득에 나섰다. 일부 대학은 학칙 개정을 통해 제적 기준을 완화하면서 학생 복귀를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원광대 의대는 이날 홈페이지에 교육부의 학습권 보호 안내 공문, 복학 원서 e메일 제출 방법, 학장단 서한문을 동시에 올렸다. 원광대 의대 학장단은 서한문에 “31일 이후에는 의과대학 학장단 통제를 벗어나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과 의지와 전혀 상관없이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게 될까 두렵다”며 “31일 자정까지 복학원 제출을 해주시길 간곡히 바란다”고 썼다.

다수 대학은 의대생 복귀 설득과는 별개로 ‘미등록시 학칙 적용’이라는 당초 원칙은 그대로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인하대는 이날 자정까지 수강신청하지 않는 학생은 학칙에 따라 제적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조선대도 이날 자정까지 복학 신청을 받은 뒤 제적 대상자에게는 오는 31일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하기로 했다.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은 이날 합의문을 내고 수업 복귀 후 정상 수업이 진행되면 정원을 2024년 수준으로 되돌리겠다는 정부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의총협은 “학생들이 돌아와 정상 수업을 할 경우 지난 의총협에서 결의한 바와 같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다는 점을 재확인한다”고 했다.

의총협은 또 대한의사협회가 나서서 의대생을 설득해줄 것을 요청했다. 의총협은 “대한의사협회에서도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가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내어 줄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11 중대본 "이번 산불 초고속…몇시간 만에 동해안 어선 도달" 랭크뉴스 2025.03.31
46610 14명 자녀 둔 머스크, 또 韓 콕 집어 때렸다…"인류 사멸 중" 랭크뉴스 2025.03.31
46609 [속보] 공매도 재개 첫날 코스피 2500선 붕괴… 2차전지주 와르르 랭크뉴스 2025.03.31
46608 14명 자녀 둔 머스크, 韓 콕 집어 저출산 우려…"인류 사멸 중" 랭크뉴스 2025.03.31
46607 [특징주] 공매도 폭탄 터지자 드러누운 삼성전자… 6만원 깨졌다 랭크뉴스 2025.03.31
46606 與 "문형배, 조속히 尹판결해야"…野도 선고기일 신속 지정 촉구 랭크뉴스 2025.03.31
46605 전남 여수서 전자발찌 끊고 달아난 이태훈 공개수배 랭크뉴스 2025.03.31
46604 국힘,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음모’ 혐의로 고발한다 랭크뉴스 2025.03.31
46603 "벼랑 끝 자영업자 대출"…2금융권 연체율, 10~11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602 "나무 베는 걸 손가락질하는 한국 풍토가 산불 예방, 조기 진화 막았다" 랭크뉴스 2025.03.31
46601 "韓 무시 안해"라던 딥시크, 日 개인정보 처리방침만 추가 마련 랭크뉴스 2025.03.31
46600 공매도 1년5개월 만에 재개…코스피 장초반 2.63% 급락 랭크뉴스 2025.03.31
46599 러 "미국과 희토류 개발 논의 시작"…우크라 점령지 광물 제공하나 랭크뉴스 2025.03.31
46598 [특징주] 트럼프 러시아 석유 관세 발언에… 석유株 동반 강세 랭크뉴스 2025.03.31
46597 김수현, 故 김새론 관련 의혹 기자회견 연다 랭크뉴스 2025.03.31
46596 "의사선생님 오늘 마지막‥" 공보의 없어 '의료난' 랭크뉴스 2025.03.31
46595 코스피 공매도 재개에 두달만에 2,500선 내줘…코스닥 2.6%↓(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94 지연되는 탄핵 정국, 갈피 못잡는 한국 경제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④] 랭크뉴스 2025.03.31
46593 이재명 49.5% 김문수 16.3%…李, 양자대결도 모두 앞서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92 조경태 "한덕수, 헌재 판단에 따라 마은혁 임명해야"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