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태국 방콕도 강진에 건설 중인 건물 붕괴. EPA=연합뉴스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미얀마에서 진앙에 가까운 만델레이의 병원에서만 최소 20명의 사망자와 최소 300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 종합병원 의료진을 인용해 현재까지 사망자가 최소 20명, 부상자가 최소 300명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한 의료진은 “부상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치료할 의사와 간호사가 충분하지 않고 의료용 솜도 거의 다 떨어져 가고 있다”며 “부상자로 병원이 발 디딜 틈 없이 가득 찼다고”고 말했다. 만달레이는 이번 강진의 진앙에서 가까운 도시로 인구는 120만명으로 추산된다.

AFP통신은 수도 네피도에서도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종합병원에 부상자들이 줄을 서서 치료받고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미얀마 국영 언론을 인용해 5개 도시에서 건물 여러 채가 무너졌다고 보도했다.

또 다리 2개가 무너지고 고속도로가 파손됐다고 덧붙였다.
28일(현지시간) 미얀마 중부에서 지진이 발생한 후 네피도의 한 병원에서 생존자가 치료를 위해 이송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다만 미얀마에서는 지진이 발생한 진앙 인근의 피해 상황만 단편적으로 전해지고 있을 뿐 전체적인 피해 규모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미얀마는 현재 군사정권의 통치를 받고 있어 지진에 대한 당국의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후 12시 50분께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인구 120만의 제 2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것으로 그만큼 지진의 충격이 완화되기 어려운 정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규모 7.7 강진 직후 취약해진 지반을 다시 강타한 6.4 규모 여진의 진원 깊이도 10㎞였다.
28일 미얀마 강진으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건물이 완전히 기운 모습. 신화=연합뉴스

미얀마는 지진 활동이 강한 지역이다. 미국 지질 조사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의 진원지인 사가잉은 1930년부터 1956년까지 규모 7 이상 강진이 적어도 6차례 이상 발생했다.

우리 외교부는 이날 “현재까지 접수된 우리 국민 인적 피해는 없다”며 “우리 공관은 미얀마와 태국의 관련 당국 및 한인사회 등을 통해 피해 여부를 지속 파악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00 ‘세계 최대’ 자율주행 허브 노리는 中 우한… 정부가 끌고, 기업이 민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9 ‘점유율 1위, 맛은 꼴찌’... 오비맥주 카스, ‘맥주 미슐랭’에서 낙제점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8 국세청 무료 종합소득세 ‘환급서비스’ 인기에... 세무 플랫폼 ‘삼쩜삼’ 고사 위기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7 백악관 "상호관세 2일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車도 예정대로"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6 美, 한국시간 3일 오전5시 상호관세 발표…관세전쟁 글로벌 확대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5 카더라 따라 전략도 바꿨다, 여야 떨게 한 헌재 설설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4 박범계 “헌재 선고일 지정은 ‘이견 해소’…윤석열 복귀해도 국민이 끌어낸다”[스팟+터뷰]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3 美백악관 "상호관세, 2일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 '20% 보편관세' 카드 급부상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2 지도 내주고 망사용은 공짜? 구글맵 무임승차 길 터주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1 실사를 안했나?… 발란 75억 투자 한달만에 ‘법정관리 먹튀’ 당한 실리콘투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90 ‘5대3 교착설’까지 번진 35일… 선고 지연에 혼란 초래 지적도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9 [단독] 헤그세스 美국방 "인도태평양에서 미중 충돌 시 한국 기여 가능하냐" 문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8 늦어지는 K2 전차 2차계약… 폴란드선 “일감 달라” 시위도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7 [체험기] 카페서 2초 만에 코인 결제… 한국은행 CBDC 테스트 참여해 보니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6 [이런말저런글] '저'를 알면 보이는 너희 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5 尹 탄핵소추 사유 5개, 하나만 인정돼도 파면?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4 [단독] 기아, 화웨이와 손잡나…스마트 콕핏 등 협력 관측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3 기초단체장 5곳·부산시교육감 재보선 투표시작…자정께 당선윤곽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2 현기영 "나는 4·3의 무당... 경계 늦추면 국가 폭력 반복될 것" [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5.04.02
47481 [단독] 서민 울리는 버팀목 전세대출…대출 연장 규제에 부작용 속출 new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