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이 28일 ‘산불재난긴급대응 특별위원회’ 1차 회의(위쪽)를, 국민의힘이 지난 27일 ‘산불재난대응 특별위원회’ 회의를 열어 산불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는 28일 ‘산불 예산’ 규모를 두고 숫자 공방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은 산불 대응에 쓸 수 있는 예산이 ‘4조8270억원’이라고, 국민의힘은 ‘6000억원’이라고 주장하며 서로 거짓말을 한다고 비판했다. 여야의 계산은 왜 이렇게 다를까.

2025년도 예산안에 편성된 예비비 규모는 2조4000억원, 이중 재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목적예비비는 1조6000억원이다. 당초 정부는 4조8000억원의 예비비를 국회에 제출했지만, 민주당이 주도한 예산처리 과정에서 절반이 삭감됐다. 민주당은 당시 윤석열 정부 예비비 집행률이 2023년 29%, 2024년(10월 기준) 14.3%에 불과해 ‘합리적 감액’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한다.

여야는 크게 두 지점에서 계산이 엇갈린다. 올해 목적예비비 1조6000억원을 모두 재난에 사용할 수 있는지, 다른 예산 중 재난에 사용할 수 있는 규모는 얼마인지다.

민주당은 목적예비비 1조6000억과 함께 정부부처 재난대책비 9270억원과 일반예비비 8000억원을 산불 대책 예산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더해 국고 채무 부담으로 1조5000억원을 추가 조달할 수 있어 모두 합치면 4조8270억원 규모가 된다고 본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국민의힘은 마치 예산이 삭감돼 산불 대책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하는 것처럼 거짓말을 한다”면서 “예산은 충분하다. 현재 산불 대책에 사용할 수 있는 국가 예비비가 총 4조8700억원(이후 4조8270억으로 정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엄청난 예산을 남겨놓고 쓰지도 않으면서 무슨 예산이 부족하다고 거짓말을 하느냐”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목적예비비 중 실제 사용가능한 규모를 4000억원 수준으로 본다. 민주당이 예산총칙에 목적예비비 1조6000억원 중 1조원은 고교 무상교육 사업에, 2680억원은 만 5세 무상보육 사업에 사용하도록 규정해뒀다는 것이다. 이중 고교 무상교육을 위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에 대해선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 시절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재난대책비와 국고 채무 부담으로 조달 가능한 금액도 훨씬 적은 규모로 파악하고 있다. 정부부처 재난대책비 9270억원 중 실제 사용 가능한 금액은 1998억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는 9270억원에서 지난해 발생한 재해복구비 4170억원,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의 가뭄·태풍 대비 목적 예산 1850억원, 산림청이 집행한 재선충 방재 비용 786억원, 행정안전부·환경부가 집행한 466억원 등을 뺀 규모라고 한다. 국고 채무 부담 1조5000억원도 시설복구 등에만 사용 가능해 피해 주민을 위한 보상금이나 생계비로 활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이 대표가 본예산 예비비 삭감 폭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사실확인도 없이 엉터리 숫자놀음으로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며 “국가 예산에 대한 주먹구구식이고 근시안적인 태도에 유감을 표명한다”고 주장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산불뿐 아니라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재난·재해에 대비해 예비비 2조원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각 부처별 재난대책비로 부족하면 예비비, 그것도 부족하면 국고 채무로도 산불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국민의힘에 묻고 싶다. 고교 무상교육과 5세 무상보육을 지원할 용의가 있는가. 지원할 생각도 없으면서 1조6000억원을 그대로 두고 예비비 2조를 추가로 마련하자는 것이 책임 있는 자세인가”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
46403 기후변화에 '괴물 산불' 예상해 대책 세웠지만...속절없이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
46390 정부, 산불 피해 대응 등 '10조 추경안' 내놨지만… 여야, '재난 예비비' 공방만 랭크뉴스 2025.03.30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