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성군 소속 특사경, 집 주소 등 소재 확보 못해
“진화로 바빠…경찰 협조 요청 여부도 차후 검토”
지난 27일 의성군에서 안동시 방향으로 바라본 산림이 산불로 인해 폐허로 변해 있다. 의성 | 성동훈 기자


일주일째 이어지는 경북 의성 산불과 관련해 의성군이 산불 용의자에 대한 수사를 사실상 손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낸 산불을 두고 지자체의 대응이 안일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28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산불 수사를 전담하는 의성군 소속 특별사법경찰관(2명)은 산불이 난 지난 22일 이후 이날까지 산불 용의자 A씨(57)에 대해 조사 등을 목적으로 연락을 취한 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의성군 산림녹지과 관계자가 산불 발생 당일 A씨와 한 차례 통화한 게 전부다. 현재 의성군은 A씨의 실명과 연락처만 확보하고 있다. A씨 집 주소 등의 정확한 소재는 알지 못한다고 의성군측은 전했다.

의성군 특사경은 “산불 진화 작업에 투입되는 등 바쁜 일정 때문에 실화자에 대한 조사는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실화자에게) 연락을 하지도 못했다”며 “진화가 완료되는 대로 조사하겠다. 경찰에 수사 협조를 구할 지도 이후에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북경찰청은 지자체의 공조 요청이 없는 상황에서 수사에 나설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당초 폐쇄회로(CC)TV 분석과 감식 등을 지원할 계획이었지만 산불 일주일이 되도록 의성군으로부터 연락을 받지 못했다.

산림 등 전문 분야의 경우 특별법을 근거로 활동하는 지자체 특사경이 수사나 단속의 주체라는 것이다. 즉 경북 5개 시·군에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등의 피해를 낸 용의자에 대한 수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이번 산불의 원인은 성묘객에 의한 실화(失火)인 것으로 잠정 파악된 상태이다.

지난 22일 A씨와 그의 아내가 조상을 모신 의성군 안평면 야산을 찾아 묘지 정리를 하다 불이 번지자 직접 119에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황급히 산을 내려오는 성묘객들을 목격한 주민도 있다. A씨는 대구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성군의 대응은 실화가 원인인 것으로 잠정 확인된 다른 지역 대형산불의 사례와도 차이가 난다.

의성과 마찬가지로 진화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은 경남 산청군 산불의 경우 경찰의 1차 조사는 물론 특사경에 의한 현장 조사, 차량 블랙박스 확보 등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지역 산불은 지난 21일 농장주가 예초기로 풀을 베던 중 불똥이 튀면서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작업 중 불씨가 순식간에 커지자 놀란 농장주의 동료가 최초 신고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청군 특사경은 경찰이 용의자 B씨를 상대로 조사를 벌였지만, B씨가 “예초기에서 불씨가 튄 게 아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고 전했다. 특사경은 지난 26일 경찰로부터 조사 결과를 전달 받았다.

산청군 특사경은 “발화지로 추정되는 농장을 조사한 결과, 울타리가 설치돼 있어 외부 침입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일기예보 상 (불씨의 원인이 되는) 낙뢰가 친다던가 하는 일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신고자인 B씨 동료의 차량에서 블랙박스 영상은 확보했다. 진화가 완료되는 대로 대면 조사와 영상 분석 등을 하겠다”고 말했다.

농막에서 나온 용접 불꽃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지난 22일 울산 울주군 온양읍 산불 역시 수사 진행상황은 의성군에 한참 앞선다. 이 산불 역시 경찰이 용의자의 인적사항 등을 확인해 지자체에 알리는 등 1차 수사가 이뤄졌다.

울주군 특사경은 “오늘(28일) 중으로 용의자에게 출석 공문을 보내 다음 주 중에 대면 조사를 하기로 했다”면서 “발화 추정 현장에 수사 중임을 알리는 경계를 쳐 뒀고, 조만간 현장감식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성군 관계자는 “사상 유래없는 인명과 재산 피해 등이 발생한 산불이라 지자체 단위에서 실화자에 대한 수사와 처벌 등을 감당할 수준이 넘어섰다고 보고 있다”며 “이에 최근 경찰 및 검찰과도 수사 방향 등에 대한 협의를 한 것으로 안다. 실화자에 대한 대응에 손놓고 있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51 민주 "'美국채 매수' 최상목, 환율 급등 베팅…경제 내란"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50 기약없는 탄핵심판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9 ‘사법 리스크’ 덜어낸 이재명, 50% 지지율 육박…김문수는 16.3%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8 윤하 남편 정체는 '과학쿠키'…카이스트 출신 44만 유튜버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7 "장제원 잠든 새 호텔방 찍었다"…고소인 측, 성폭행 증거 제출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6 부산 해운대 아파트서 아버지 살해한 30대 남성 구속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5 "줄탄핵이 내란 음모"... 與, 이재명·김어준·野 초선 등 72명 고발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4 [단독] 野 추진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13년전 국회 "헌법 위배"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3 성과급 지급 효과…2월 국세 2.3조 더 걷혔다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2 전남 여수서 전자발찌 끊고 달아난 40대 경기 평택서 검거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1 국민의힘 "민주당, 줄탄핵으로 내란선동‥이제 헌재 결단할 때"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40 [단독] 野 꺼낸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13년전 국회 "헌법위배"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9 “재개된 공매도” 트럼프 관세 겹치며 2500도 무너져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8 지진과 함께 시작된 산통, “아가야 아직 나오지마” 엄마가 외쳤지만…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7 경찰, BTS 진에 ‘기습 입맞춤’ 일본 여성 수사 중지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6 공매도 첫날 코스피 2,500선 깨져…‘빌린 주식’ 많은 종목 약세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5 행님 내는 2번을 찍었는데, 후회한다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4 [속보] 여야, ‘본회의’ 일정 일단 불발… 오후 4시 재회동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3 [속보]與野 '본회의' 일정 협의 불발…오후 다시 회동 new 랭크뉴스 2025.03.31
46632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또 불출석…법원 "강제조치 고민중" new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