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삼성전자
1조6537억원. 지난해 말 기준 삼성전자 한국 본사가 보유한 현금 규모다. 반면 해외법인 금고에는 100조원대의 유동자금이 쌓여있다. 반도체 살리기에 총력을 다해야 하는 삼성전자는 두둑한 해외 곳간에서 실탄을 빼와 평택 캠퍼스 등 국내에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다.

27일 삼성전자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삼성전자 한국 본사 보유현금은 1조6537억원으로 최근 4년 새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2023년 말 6조614억에 비해도 4분의 1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삼성전자의 설비 투자가 이뤄지는 곳 대부분은 국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3조6461억원의 설비투자를 집행했다. 이 중 86%가량은 반도체(DS)부문 건물과 설비 신ㆍ증설에 투입됐다. 업계는 투자금의 상당량은 첨단 반도체 생산을 계획 중인 평택 캠퍼스에 투입됐을 거라고 본다. 올해 역시 예년 수준으로 50조 원대가 추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한다.

김주원 기자


돈 넣는 건 자유, 빼는 건?

지난해 해외법인이 보유한 자금을 모두 합친 회사의 유동자금은 112조6517억원으로 전년 대비 18%가량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제조기지 다변화를 통해 세계 다양한 지역에 투자해왔다. 주요 해외법인은 대량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중국ㆍ베트남ㆍ미국 등이다. 이들 지역 매출은 각각 135조704억원, 128조7729억원, 106조7794억원이다.

매출이 큰 만큼 다량의 수익금도 매년 쌓이지만, 한국 곳간에 비하면 현금이동의 유연성은 떨어진다. 해외법인에서 벌어들인 돈을 본국으로 가져 올 때는 배당금 형식으로 송금하면 되지만, 현지사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김주원 기자

가장 큰 고민은 현지 투자 압박이다. 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폭탄을 퍼부으며 ‘공장을 지으라’고 압박하고 있다. 최근 현대자동차가 4년간 31조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밝히면서 자연스레 삼성전자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앞서 텍사스 테일러시 제2공장 등에 기존 투자액(170억 달러) 2~3배에 달하는 추가 투자계획을 발표했지만, 칩스법 보조금 지급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투자 집행이 더뎌지는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대표적 해외 생산기지인 베트남 역시 투자 압박을 받고 있지만, 고민스럽다. 베트남 정부는 ‘첨단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한국 기업의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 특히 2023년 기준 베트남 전체 수출의 18%를 차지하는 삼성전자에 베트남 정부가 거는 기대는 상당하다. 하지만 대미무역 흑자국인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관세부과가 향후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 매력도는 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베트남 사업장. 사진 삼성전자


반도체 살리기 총력 쏟아야

이외에도 해외 자금이 단기금융상품에 묶여있다거나, 환율변동으로 인한 환차손이 발생하는 점도 해외자금의 배당 때 신경 쓰이는 요소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꾸준히 해외법인에서 국내로 돈을 보내왔다. ▶2022년 3조5514억원▶2023년 29조4978억 ▶2024년 9조6355억원을 해외법인에서 국내로 보냈다. 삼성전자는 “해외법인의 본국 송금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주원 기자
업계는 삼성전자가 올해 더 적극적으로 해외법인 돈을 끌어와 국내 반도체 시설에 투자할 것으로 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삼성 반도체 회복 전망은 밝지 않다. 이럴 때 일수록 국내 반도체 시설에 총력을 모을 것”이라며 “반도체가 살아나 영업이익이 늘어나면 해외에서 자금을 쓸 수 있는 여력도 더 생긴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반도체부문은 지난해 15조1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올해 영업이익은 11조~12조원으로 증권가는 전망하고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93 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무역센터점 축소…경영 효율화(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192 제주 유튜버, '폭싹 속았수다' 리뷰 수익금 4·3재단에 기부 랭크뉴스 2025.04.01
47191 변론 종결 35일 만에, 윤석열 탄핵심판 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90 [속보] 경찰, 헌재 인근 100m '진공상태화' 조기 착수…"갑호 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1
47189 “가족들에 미안하다” 장제원, 유서 발견…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88 구조물 떨어져 20대 관중 사망… 프로야구, 안전 점검 조치로 오늘 전 경기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87 野 박홍근 “헌재, 불의한 선고하면 불복” 랭크뉴스 2025.04.01
47186 검찰, 882억원 부당대출 기업은행 본점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1
47185 “그 가격에 안 사”...‘토허제 풍선효과’ 후보들, 거래는 아직 ‘잠잠’[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4.01
47184 "집유 받고도 더 큰 범행"…암투병 중 14억 사기 친 30대女 결국 랭크뉴스 2025.04.01
47183 '11억원이면 아이비리그' 대입 컨설팅...입시도 돈으로 '미국판 스카이캐슬' 랭크뉴스 2025.04.01
47182 박찬대 "최고의 판결은 내란수괴 尹 파면 뿐… 만장일치 확신" 랭크뉴스 2025.04.01
47181 권성동 "헌재 선고기일 지정 다행‥헌재 판결 승복할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80 尹 탄핵 선고 4일 오전 11시... 재판관 8명 중 6명 이상 인용 땐 파면 랭크뉴스 2025.04.01
47179 [속보]대통령실, '尹 선고일' 지정에 "차분하게 헌재 결정 기다릴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78 [르포] 앞차 돌발 후진에 “빵빵”… 안전요원도 없는 中 로보택시, 운전 실력 놀랍네 랭크뉴스 2025.04.01
47177 [속보] 경찰, 헌재 인근 100m '진공상태화' 조기 착수…집회 측에 통보 랭크뉴스 2025.04.01
47176 헌재, 尹 탄핵 ‘각하’ ‘기각’ ‘인용’ 세 가지 결정 가능 랭크뉴스 2025.04.01
47175 [속보]권영세 “탄핵 기각 희망하지만, 어떤 결론 나오든 당연히 승복” 랭크뉴스 2025.04.01
47174 [속보] 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