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27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받았지만, 야권은 대화와 타협의 길로 돌아오지 않았다. 민주당 원내지도부는 27일 헌법재판소를 상대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조속한 파면을 거듭 요구했고, 민주당 출신 우원식 국회의장도 담화문을 내고 헌재의 신속한 결정을 촉구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오늘로 12·3 내란 발발 115일째, 탄핵소추 104일째”라며 “(헌재는) 선고가 늦어지면 늦는 이유라도 밝혀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헌재가 헌법 수호라는 중대한 책무를 방기하는 사이 헌재의 존재 이유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감도 커졌다”며 “오늘 바로 선고기일을 지정하고 내일 당장 윤 대통령을 파면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원내에서도 강경 투쟁의 고삐도 바투 잡았다. 민주당은 당초 이날 국회 본회의가 열리면 최상목 경제부총리에 대한 탄핵안을 보고하고,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야당 단독으로 통과시킨 ‘피청구인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기일 신속 지정 촉구 결의안’도 전원위원회 소집을 요구해 처리할 계획이었다. 본회의가 산불 비상 상황으로 무산됐으나, 민주당의 탄핵안·결의안 처리 계획엔 변함이 없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최 부총리 탄핵은 다음 본회의에서 무조건 넘긴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재탄핵 및 내각 총 탄핵 가능성까지 거론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SBS라디오에서 “(한 대행의) 위헌, 위법이 계속 드러나면 우리 당도 어떤 판단과 결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민 원내정책수석부대표도 이날 유튜브 방송에서 “(탄핵 소추를) 몇 명까지 한다는 데에 제한은 없다”며 “(국무위원이) 반수 이하로 떨어지면 국무회의 개의가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국무회의는 과반수(11명) 출석으로 개의하는데, 탄핵으로 국무위원들의 직무가 정지되면 아예 국무회의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이처럼 민주당 강경 기류 뒤에는 헌재 선고 지연에 따른 불안감이 깔렸다. 박성준 수석은 전날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4월 18일까지 헌재가 선고를 끈다는 이야기가 있다”며 “원내 투쟁을 당 전체로 확대하는 전략을 만들자고 최고위원회에서 의견을 교류했다”고 보고했다고 한다. 4월 18일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의 임기가 종료되는 날로, 두 사람이 퇴임하면 남은 재판관 숫자(6명)가 심판정족수(7명)에 미치지 못해 헌재 기능이 정지하게 된다.

다만 대응 방식을 두고 당내에선 이견이 적지 않다. 전날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서영교 의원은 “정형식, 조한창, 김복형 재판관은 실명을 짚어 몰아붙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형식 재판관은 윤석열 대통령, 김복형 재판관은 조희대 대법원장이 지명했으며, 조한창 재판관은 국민의힘 추천 몫이다. 국회 탄핵소추단장인 정청래 의원이 “헌법재판관 실명공개를 하는 건 자제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가 얻을 실익이 없다”고 만류하는 장면도 있었다고 한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27일 오후 국회 의장접견실에서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한편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담화문을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선고가 지연될수록 우리 사회가 감당할 혼란이 커지고, 그 대가는 국민이 치르게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우 의장은 한 대행을 향해서도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속히 임명하라”며 “한 대행이 스스로 헌법 위반의 국기 문란 상태를 끌고 가면서 국민께 어떤 협력을 구할 수 있겠느냐”고 호소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15 "尹 기각될라"…한덕수 재탄핵에, 재판관 임기연장까지 꺼낸 野 랭크뉴스 2025.03.30
46414 실적 부담에 관세 불확실성… 목표가 낮아진 전력株 랭크뉴스 2025.03.30
46413 1분기 회사채 순발행 16.2조 최대…'IPO 대어 효과' 공모액 작년의 3배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0
46412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랭크뉴스 2025.03.30
46411 정전된 대피소서 음식 나누고 부둥켜안고... 이재민들 온기로 두려움 달랬다 랭크뉴스 2025.03.30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
46403 기후변화에 '괴물 산불' 예상해 대책 세웠지만...속절없이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