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어제(26일) 새벽, 영덕군 영덕읍 석리에 홀로 살던 101살 노인이 산불을 피하지 못하고 집에 있다 숨졌습니다.

산불이 확산한 뒤 연락이 닿지 않자, 가족들이 대구에서 영덕으로 급하게 달려갔지만, 집은 이미 불에 타 무너진 후였습니다.

[사망 할머니 손녀: (26일) 새벽 3시쯤 대구에서 영덕으로 출발했어요. 갔더니 거기 아직 산불도 타고 있고. 할머니 집이 다 무너져 내려서, 아버지랑 동생이 치워보려고 했는데 저희 아버지랑 동생 힘만으로는 가능한 게 아니라서.]

희생자는 영덕읍 최고령자였습니다.

거동이 불편한 데다 순식간에 불길이 덮치자, 대피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사망 할머니 손녀: (동네 분들께) 저희 할머니 대피했냐고 물어봤는데 못했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러니까 불이 너무 순식간에 번져서 다시 데리러 갈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고. 마을에서 가장 고령이셨거든요. 걷는 것도 편치 않으셔서 그런지 대피를 못 하셨어요.]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무너져 버린 집, 가족들은 그 틈에서 고인의 유골을 찾고 흐느꼈습니다.

[사망 할머니 손녀: 모셨다가도 다시 돌아가셨거든요. 본인 집으로 불편하다고 아무래도 바닷가에서 자연이랑 사시던 분이라 답답하셨나 봐요. 말도 못 하죠. 지금 아버지한테는 묻지도 못할 정도고, 솔직히 마음이 너무 참담하실 것 같아서. 오늘도 할머니 사진 보면서 울고 그랬는데 저희 할머니가 연세는 많으셨어도 그렇게 고통스럽게 가실 줄은 몰랐거든요.]

워낙 거센 불길이 순식간에 밀려오긴 했지만, 손녀는 행정당국이 더 적극적인 대피 조치를 했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을 전했습니다.

[사망 할머니 손녀: 거기는 젊은 사람들이 없어요. 큰 스피커 같은 걸로 그냥 '대피하세요' 이렇게 하면은 대피를 하는 시스템이라. 시골이고 언덕인 데다가 길이 저희 같은 보통 성인들도 절대로 뛰지는 못하는 길이고요. 가파르고 좀 길이 좀 잘 안 돼 있어서.]

그러면서 같은 피해가 다시 일어나지 않기 위해선, 산불과 같은 급작스런 재난 때 고령층을 위한 대피 방안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사망 할머니 손녀: 어르신들 계신 지역은 대피 시스템 자체를 동일하게 하면 안 될 것 같고요. 귀가 잘 안 들리실 수도 있고.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저희 할머니처럼 걷는 게 빠르지 않다거나, 불편하신 분들은 그런 비상 상황에서 그 마을의 젊은 사람이나 누가 같이 대피할 수 있게 해 주시거나. 대피를 좀 유난스럽다고 할지라도 안전 문제니까….]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24 [속보] 경남 산청·하동 산불, 오후 3시 현재 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23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3.29
4592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미 지질조사국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21 윤택 "연락 닿지 않는 자연인 있다… 산불 피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3.29
45920 "천국에서 만나요"...의성 산불 끄다 숨진 헬기 기장 영원히 하늘로 랭크뉴스 2025.03.29
45919 경남 산청 산불 9일째, 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권역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29
45918 남부 지역엔 벚꽃, 중부 지역엔 눈보라…이상 현상에 시민들 “황당” 랭크뉴스 2025.03.29
45917 국군 장병 600명, 오늘도 산불 끄러 간다…“필요시 5100명 추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
45916 머스크, 자신의 AI 기업 xAI에 2022년 인수한 X 매각 랭크뉴스 2025.03.29
45915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 구조…사망자 1000명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29
45914 “즉각 인용” vs “원천 무효”… 尹 대통령 탄핵 찬반 단체 전국서 집결 랭크뉴스 2025.03.29
4591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12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서” 랭크뉴스 2025.03.29
45911 산불 예방 위해 팔공산 등 7개 국립공원 탐방로 추가 통제 랭크뉴스 2025.03.29
45910 민주, 윤석열 탄핵 선고 촉구…“지연된 정의는 정의 아냐” 랭크뉴스 2025.03.29
45909 진화율 97%…지리산 산불 잡기 총력 랭크뉴스 2025.03.29
45908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랭크뉴스 2025.03.29
45907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이 시각 산불 현장 지휘소 랭크뉴스 2025.03.29
45906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 명, 부상 2천여 명 집계" 랭크뉴스 2025.03.29
45905 “수고 많았고 사랑해요”…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해 순직한 조종사 발인 엄수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