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02년 울진 산불, 비 덕분에 주불 잡아
27일 의성 안동 청송 영양에 거의 안 내려
내달 4일까지 강수 확률도 대부분 10%
불타는 화선만 333.6㎞ 로 '역대급'
경북소방본부 119산불특수대응단이 27일 안동시 남후면에서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경북소방본부 제공


역대 최악의 산불이 타오르고 있는 영남지방에 27일 기대했던 만큼의 비는 내리지 않았다. 경남과 경북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거세게 확산한 대형 산불들 진화는 또 실패했다. 지금까지 27명의 사망자와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산불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과 안계면에서 잇따라 발생한 산불은 25일 강풍을 타고 동해안 영덕군으로 급속히 번진 데 이어 27일 오후까지 계속 확산했다. 산림당국은 이날 비 예보가 나오자 2002년 3월 울진 산불처럼 극적인 '종료 선언'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지만 비는 찔끔 내리고 말았다. 특히 산불이 가장 거센 경북 북부의 안동시에는 한 방울도 오지 않았다. 일부 지역에는 천둥번개가 쳤지만 진화에 도움이 될 만한 강수량은 아니었다.

날씨의 도움을 받지 못한 산림당국은 이날도 화마와 사투를 벌였지만 주불을 잡지 못했다. 오후 5시 기준 평균 진화율은 63.2%에 그쳤다. 산불이 타오르는 전체 화선 771.9㎞ 중 남은 화선이 283.9㎞나 된다. 지역별로는 의성 62%, 안동 63%, 청송 82%, 영양 60%, 영덕 55%다. 직간접적 피해가 예상되는 산불영향구역은 5개 시군을 합쳐 3만5,697㏊로 집계됐다. 역대 산불 중 가장 큰 규모다. 이날 영덕에서 산불감시원이 숨진 채 발견되면서 경북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23명으로 늘었다.

영남 산불 사망자. 그래픽=송정근 기자


앞으로가 더 문제다. 기상청에 따르면 산불이 꺼지지 않고 있는 의성, 청송, 영덕, 영양에는 내달 4일까지 강수 확률이 10% 수준이다. 사실상 비의 도움 없이 화마에 맞서야 하는데, 오전에 잠잠하던 바람이 오후부터 강해지는 패턴은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 인명과 산림 피해는 물론 진화시간도 2002년 3월 울진 산불(213시간), 2000년 강원 강릉·고성·동해 산불(191시간)을 넘어설 수 있다.

다만 25일 낮 최고기온이 28.8도(의성)까지 치솟은 고온 현상은 사라지고 30일 의성 지역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4도까지 떨어진다. 고온일 때 더 잘 생기는 상승기류가 줄어 급속한 확산의 주범인 비화(飛火)현상이 줄 것으로 예상된다.

경북소방본부 119산불특수대응단이 27일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 입구 대전사 주변에서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해 벌목한 나무 사이에 산불지연제를 살포하고 있다. 경북소방본부 제공


지난 21일 오후 발생한 산청·하동 산불도 1주일이 다 됐으나 진화율은 80%대에 머물러 있다. 기대한 비 대신 안개와 구름만 잔뜩 끼면서 헬기 운항은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그사이 불길은 지리산국립공원까지 밀고 들어갔다. 소방당국은 불이 지리산국립공원에 있는 덕산사(옛 내원사) 방면으로 번지자 절에 보관돼 있던 국보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을 동의보감촌 한의학박물관으로 옮겼다.

산청·하동 산불 진화율은 오후 5시 기준 81%다. 전체 화선은 70㎞, 잔여 화선은 13.5㎞(산청 12km, 하동 1.5km)로 집계됐다. 산불 영향 구역은 지리산국립공원 30~40㏊를 포함해 1,745㏊로 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초입에 있는 중산리 주민을 비롯해 1,800여 명은 선비문화연구원 등으로 대피했다. 같은 지리산권인 전남 구례군과 광양시 등 지자체도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그나마 울산 울주군 온양읍 산불은 진정세를 보였다. 이날 오전 약한 비가 내리면서 대기 중 습도가 오른 덕분이다. 산불영향구역은 900㏊ 정도이고, 오후 5시 기준 진화율은 89%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육안으로 봤을 때 이 정도면 주불은 100% 잡았다고 본다"며 "불길이 다시 살아나지 않도록 잔불 정리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88 권성동 "'내각 줄탄핵 경고' 민주당 초선·이재명 등 72명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7 [속보] 산림청, 경남 산청·하동 오늘 주불 진화 어려워…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86 경찰, 의성 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3.29
45985 "한국 0% 성장" 충격 전망 나와…관세·계엄 여파에 성장률 줄하향 랭크뉴스 2025.03.29
45984 권성동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었다…외교부 “30억원 인도적 지원 결정” 랭크뉴스 2025.03.29
45982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랭크뉴스 2025.03.29
45981 점복 대신 에이, 레몬 대신 귤…'폭삭',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5980 권성동 "'내각총탄핵'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9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 "혜안·도전정신 이어받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78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혜안·도전정신 이어받아 격랑 헤쳐 가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77 두터운 낙엽층에 파고든 불씨…지리산 산불 진화 애 먹는 이유 랭크뉴스 2025.03.29
45976 승객이 휴대폰 잃어버리자 비행기 돌린 이유는…"리튬 배터리 우려" 랭크뉴스 2025.03.29
45975 한덕수 또 탄핵하겠다는 조국혁신당 “월요일까지 마은혁 임명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74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 초선 72명 내란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3 석유 부국인데도 연료 없어서…‘주 13.5시간 노동’ 고육책 짜낸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72 미얀마 강진 "부상자 급증에 혈액 부족"…"여진 몇 달 갈수도" 랭크뉴스 2025.03.29
45971 권성동 "의회 쿠데타 배후엔 이재명·김어준…野 72명 내란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0 조국혁신당 "한덕수, 월요일까지 마은혁 임명 않으면 즉각 탄핵" 랭크뉴스 2025.03.29
45969 탄핵촉구 단체들 도심 집회·행진…"심판 지연 용납못해"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