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석달 만에 지난해보다 70% 급증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미국 증시의 성적이 지난해보다 떨어지자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가 올해 들어 배당주에 엔비디아만큼 투자하고 있다. 관세 충격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현금 수익에 관심이 쏠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는 올해 들어 25일까지 찰스슈와브의 ‘슈와브 US 디비던드 에퀴티 ETF(티커 SCHD·슈드)’ 2억 5872만 달러어치(약 3794억 원)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학개미의 엔비디아 순매수 규모(2억 9265만 달러)에 육박한 규모다.

슈드는 미국 대표 고배당주 100개에 투자하는 종목이다.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서학개미가 배당주의 안정성에 베팅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분기만 해도 서학개미가 슈드에 투자한 규모는 1억 5136만 달러(약 2219억 원)에 불과했다. 1년 만에 70% 넘게 증가한 셈이다. 반면 테슬라를 비롯한 매그니피센트7(M7) 등 인공지능(AI) 관련 종목들은 지난해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자 투자자의 관심이 식어 가고 있다.

금리 인하 국면에 접어들면서 채권 투자자들도 배당주에 합류하고 있다. 금리 인하로 채권금리가 떨어지면 대체 상품인 배당주로 갈아타는 투자자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협상 카드임이 명확해진 만큼 배당주 중심의 경기 방어주보다는 경기 민감주 대응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안소은 KB증권 연구원은 “시장은 이미 관세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했기 때문에 부진한 경제지표에 더 이상 흔들리지 않고 있다”며 “경기 둔화에 대해 시장의 민감도가 약해졌기 때문에 경기 방어주의 상대적인 성과는 약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18 中, 7.7 강진 미얀마에 200억원 긴급 원조… “국제 구조대 가장 먼저 파견” 랭크뉴스 2025.03.29
46017 4·2 재보선, 전국 23개 선거구 사전투표율 7.94% 랭크뉴스 2025.03.29
46016 "옆 동네는 사람이 죽었는데 축제가 웬 말"…행사 축소에도 '진해군항제' 논란 랭크뉴스 2025.03.29
46015 진화율 99%…지리산 산불 잡기 총력 랭크뉴스 2025.03.29
46014 점복 대신 에이, 레몬 대신 귤…'폭싹',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6013 "어머, 이 눈 맞으면 큰일나겠는데?"…수도권서 '검은 눈' 주의보 랭크뉴스 2025.03.29
46012 결국 4월로 넘어간 尹선고…서울 도심서 '탄핵 찬반' 총력전 랭크뉴스 2025.03.29
46011 떨어진 신발 밑창 뚝딱 고치던 거리의 기술자, 사라지지 말아요[수리하는 생활] 랭크뉴스 2025.03.29
46010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 종료…투표율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 랭크뉴스 2025.03.29
46009 산청 산불 진화율 99%…마지막 불길 400m 남아 랭크뉴스 2025.03.29
46008 "경찰 피하다 최루탄 맞았다"... 튀르키예 반정부 시위에 왜 피카츄가? 랭크뉴스 2025.03.29
46007 프로야구 NC-LG 창원 경기 중 구조물 추락…관중 3명 부상 랭크뉴스 2025.03.29
46006 영남 산불 사망 30명·부상 43명, 피해 면적 482㎢…의성 재발화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6005 국회의장에 경고한 국민의힘…“중립 지켜달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9
46004 경찰, '문형배 살인 예고' 글 올린 유튜버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3.29
4600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부상자 2천376명 랭크뉴스 2025.03.29
46002 "심우정 딸이나 수사해라!" 문재인 소환 통보에 민주당 '분노' 랭크뉴스 2025.03.29
46001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내란선동 고발"…野 "황당무계 헛소리"(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6000 “존경하는 여덟분의 재판관님” 헌재앞 민주당 의원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9
45999 미얀마 군정 “사망자 1,002명 확인”…“사상자 수 1만 명 넘을 수도”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