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영양군 영양군민회관에 마련된 대피소에서 26일 저녁 주민들이 저녁 식사를 하고 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이 전날 태풍급 바람을 타고 직선거리로 50여㎞ 떨어진 영양군을 덮쳤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경북 의성에서 난 산불은 닷새 동안 이어지며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경북 북부권을 집어삼켰다.

26일 동해를 바라보고 선 작은 바닷가 마을,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는 화염에 녹아내렸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 최초 발화지점에서 70여㎞나 떨어진 곳이다. 가파른 절벽에 자리잡은 집들은 폭격이라도 맞은 듯했다. 탈 때까지 타버린 지붕은 폭삭 주저앉았다. 집의 한 부분이었을 플라스틱은 흘러내렸다. 무엇이었는지도 모를 것들이 건어물처럼 오그라들어 주렁주렁 매달리고 바닥에 나뒹굴었다.

해안절벽의 집들이 따개비를 닮았다고 해 ‘따개비마을’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의 집을 밤새 시커멓게 태운 불은 미처 몸을 피하지 못한 어르신의 목숨을 앗아가고도 악착같이 열기를 토해냈다.

영덕읍 매정1리도 폐허가 됐다. 마을 주민 3명이 새카맣게 탄 집 곳곳에 물을 뿌려댔다. 집주인은 보이지 않았다. 남은 불씨가 혹여나 다시 번질세라 참지 못한 이들이 마을 들머리에 있는 소방호스를 꺼내 들었다. 전날 밤부터 끊긴 전기와 물은 이날 정오께가 돼서야 돌아왔다.

이 마을 주민 윤외생(78)씨는 “(25일) 저녁에 해 다 지고 불이 넘어온다는 마을 방송을 듣고 나왔는데 불티가 펄떡펄떡 날아서 저 바닥에 뒹굴뒹굴 굴러다니더라”며 “이웃 차를 타고 대피했다가 돌아와서 집에 문을 열어 슥 봤는데 전신에(전부 다) 끄슬림(그을음)이라. 열어보기도 싫다”고 했다.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매정1리가 산불로 폐허가 됐다. 주성미 기자

이 마을 주민 2명도 목숨을 잃었다. 강풍을 타고 넘나드는 불씨가 포탄처럼 집 위로 떨어졌단다. 불탄 집은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불씨만큼이나 어지러웠다. 전날 영덕군 주민들의 대피 행렬이 이어졌다는 7번 국도를 거슬러 올라가는 차들은 희뿌연 연기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았다. 왕복 4차선 도로 양쪽이 새카맣게 타들어갔고, 곳곳에 전깃줄이 끊겨 바람에 흔들렸다. 불씨는 여전히 건물과 산, 공장 곳곳을 태웠다. 연기가 피어오르고 나무를 태워 타닥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소방차는 한참 동안 오지 않았다. 넓게 퍼진 불씨에 비해 손이 부족한 탓이다.

영덕군 전 지역에는 전날 밤 9시께부터 전기가, 밤 10시께부터 통신이 끊겼다. 군은 이날 새벽 2시께 복구했다고 밝혔으나 휴대전화 통화와 무선인터넷은 여전히 불안정하다. 경북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에 사는 김선아(40대)씨는 다 타버린 집과 비닐하우스를 말없이 바라봤다. 그는 전날 오후 4시10분께 약 2~3㎞ 떨어진 산에 불이 붙은 것을 보고 영덕으로 대피했다. 아직 불이 반대쪽 산에 있어 여유가 있을 줄 알았지만 착각이었다. 김씨는 “분명히 불이 저쪽 산에 있었는데 불이 먼지처럼 날아올랐다”고 했다. 불은 바람을 타고 마을 인근으로 빠르게 번졌다. 차 2대에 나눠 여섯식구가 몸을 피하자마자 집은 곧바로 불길에 휩싸였다. 김씨는 “돌아와 보니 물도 그렇고 다 부족하다. 아직도 연기가 나고 있는데 이걸 수습할 길이 없다”고 했다.

대피소도 안전하지 않았다. 애초 대피소였던 청송국민체육센터 인근에 불이 번져 주민들은 걸어서 13분 거리인 청송문화예술회관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다. 덕천3리 주민 서순자(69)씨는 “대피소도 위험하다는 안내를 받아서 밤에 다시 이동했다. 무서워서 잠도 거의 못 잤다”고 했다.

경북 및 경남 산불 현황. 송권재 기자 [email protected]

불줄기가 약 5㎞ 앞까지 다가온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 주민들도 피난길에 나섰다. “어젯밤에 놀라서 맨손으로 풍산에 있는 손녀 아파트로 도망쳤어. 열아홉살에 처음 이 마을에 와서 이제 아흔이 다 되어가는데 이런 난리는 없었어.”

하회마을에서 만난 이순용(85)씨는 검은색 승용차 조수석에 앉아 창문을 살짝 내린 채 물건을 챙기는 딸을 바라보며 말했다. 결혼 뒤 하회마을에 와 처음으로 피난을 떠난다는 이씨는 “물건을 아무것도 못 챙겨서 오늘은 잠깐 필요한 것만 챙겨서 나가려고. 별일이 없어야 할 텐데…”라고 읊조렸다.

유희억(85)씨는 “살림살이 하나라도 더 챙겨 가야 하니까 아직 여기 있는 거지 불이 가까워지면 피난을 갈 것”이라며 “여기서 나서 평생을 살았는데 정말 이런 일은 상상도 못 했다”고 했다.

영양군으로 퍼진 산불을 피해 영양군민회관으로 대피한 박아무개(80·입암면)씨는 “100m 정도 떨어진 산에 시뻘건 불이 막 올라오고 있었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금방이라도 우리 집까지 넘어올 것 같아 뒤도 돌아보지 않고 왔다”고 했다. 화매리의 집이 모두 불탔다는 한 주민은 눈물을 흘렸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23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3.29
4592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미 지질조사국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21 윤택 "연락 닿지 않는 자연인 있다… 산불 피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3.29
45920 "천국에서 만나요"...의성 산불 끄다 숨진 헬기 기장 영원히 하늘로 랭크뉴스 2025.03.29
45919 경남 산청 산불 9일째, 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권역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29
45918 남부 지역엔 벚꽃, 중부 지역엔 눈보라…이상 현상에 시민들 “황당” 랭크뉴스 2025.03.29
45917 국군 장병 600명, 오늘도 산불 끄러 간다…“필요시 5100명 추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
45916 머스크, 자신의 AI 기업 xAI에 2022년 인수한 X 매각 랭크뉴스 2025.03.29
45915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 구조…사망자 1000명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29
45914 “즉각 인용” vs “원천 무효”… 尹 대통령 탄핵 찬반 단체 전국서 집결 랭크뉴스 2025.03.29
4591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12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서” 랭크뉴스 2025.03.29
45911 산불 예방 위해 팔공산 등 7개 국립공원 탐방로 추가 통제 랭크뉴스 2025.03.29
45910 민주, 윤석열 탄핵 선고 촉구…“지연된 정의는 정의 아냐” 랭크뉴스 2025.03.29
45909 진화율 97%…지리산 산불 잡기 총력 랭크뉴스 2025.03.29
45908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랭크뉴스 2025.03.29
45907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이 시각 산불 현장 지휘소 랭크뉴스 2025.03.29
45906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 명, 부상 2천여 명 집계" 랭크뉴스 2025.03.29
45905 “수고 많았고 사랑해요”…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해 순직한 조종사 발인 엄수 랭크뉴스 2025.03.29
45904 오늘도 광장은…윤석열 탄핵 선고 지연에 “파면” “각하” 양측 총집결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