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영양군 영양군민회관에 마련된 대피소에서 26일 저녁 주민들이 저녁 식사를 하고 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이 전날 태풍급 바람을 타고 직선거리로 50여㎞ 떨어진 영양군을 덮쳤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경북 의성에서 난 산불은 닷새 동안 이어지며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경북 북부권을 집어삼켰다.

26일 동해를 바라보고 선 작은 바닷가 마을,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는 화염에 녹아내렸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 최초 발화지점에서 70여㎞나 떨어진 곳이다. 가파른 절벽에 자리잡은 집들은 폭격이라도 맞은 듯했다. 탈 때까지 타버린 지붕은 폭삭 주저앉았다. 집의 한 부분이었을 플라스틱은 흘러내렸다. 무엇이었는지도 모를 것들이 건어물처럼 오그라들어 주렁주렁 매달리고 바닥에 나뒹굴었다.

해안절벽의 집들이 따개비를 닮았다고 해 ‘따개비마을’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의 집을 밤새 시커멓게 태운 불은 미처 몸을 피하지 못한 어르신의 목숨을 앗아가고도 악착같이 열기를 토해냈다.

영덕읍 매정1리도 폐허가 됐다. 마을 주민 3명이 새카맣게 탄 집 곳곳에 물을 뿌려댔다. 집주인은 보이지 않았다. 남은 불씨가 혹여나 다시 번질세라 참지 못한 이들이 마을 들머리에 있는 소방호스를 꺼내 들었다. 전날 밤부터 끊긴 전기와 물은 이날 정오께가 돼서야 돌아왔다.

이 마을 주민 윤외생(78)씨는 “(25일) 저녁에 해 다 지고 불이 넘어온다는 마을 방송을 듣고 나왔는데 불티가 펄떡펄떡 날아서 저 바닥에 뒹굴뒹굴 굴러다니더라”며 “이웃 차를 타고 대피했다가 돌아와서 집에 문을 열어 슥 봤는데 전신에(전부 다) 끄슬림(그을음)이라. 열어보기도 싫다”고 했다.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매정1리가 산불로 폐허가 됐다. 주성미 기자

이 마을 주민 2명도 목숨을 잃었다. 강풍을 타고 넘나드는 불씨가 포탄처럼 집 위로 떨어졌단다. 불탄 집은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불씨만큼이나 어지러웠다. 전날 영덕군 주민들의 대피 행렬이 이어졌다는 7번 국도를 거슬러 올라가는 차들은 희뿌연 연기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았다. 왕복 4차선 도로 양쪽이 새카맣게 타들어갔고, 곳곳에 전깃줄이 끊겨 바람에 흔들렸다. 불씨는 여전히 건물과 산, 공장 곳곳을 태웠다. 연기가 피어오르고 나무를 태워 타닥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소방차는 한참 동안 오지 않았다. 넓게 퍼진 불씨에 비해 손이 부족한 탓이다.

영덕군 전 지역에는 전날 밤 9시께부터 전기가, 밤 10시께부터 통신이 끊겼다. 군은 이날 새벽 2시께 복구했다고 밝혔으나 휴대전화 통화와 무선인터넷은 여전히 불안정하다. 경북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에 사는 김선아(40대)씨는 다 타버린 집과 비닐하우스를 말없이 바라봤다. 그는 전날 오후 4시10분께 약 2~3㎞ 떨어진 산에 불이 붙은 것을 보고 영덕으로 대피했다. 아직 불이 반대쪽 산에 있어 여유가 있을 줄 알았지만 착각이었다. 김씨는 “분명히 불이 저쪽 산에 있었는데 불이 먼지처럼 날아올랐다”고 했다. 불은 바람을 타고 마을 인근으로 빠르게 번졌다. 차 2대에 나눠 여섯식구가 몸을 피하자마자 집은 곧바로 불길에 휩싸였다. 김씨는 “돌아와 보니 물도 그렇고 다 부족하다. 아직도 연기가 나고 있는데 이걸 수습할 길이 없다”고 했다.

대피소도 안전하지 않았다. 애초 대피소였던 청송국민체육센터 인근에 불이 번져 주민들은 걸어서 13분 거리인 청송문화예술회관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다. 덕천3리 주민 서순자(69)씨는 “대피소도 위험하다는 안내를 받아서 밤에 다시 이동했다. 무서워서 잠도 거의 못 잤다”고 했다.

경북 및 경남 산불 현황. 송권재 기자 [email protected]

불줄기가 약 5㎞ 앞까지 다가온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 주민들도 피난길에 나섰다. “어젯밤에 놀라서 맨손으로 풍산에 있는 손녀 아파트로 도망쳤어. 열아홉살에 처음 이 마을에 와서 이제 아흔이 다 되어가는데 이런 난리는 없었어.”

하회마을에서 만난 이순용(85)씨는 검은색 승용차 조수석에 앉아 창문을 살짝 내린 채 물건을 챙기는 딸을 바라보며 말했다. 결혼 뒤 하회마을에 와 처음으로 피난을 떠난다는 이씨는 “물건을 아무것도 못 챙겨서 오늘은 잠깐 필요한 것만 챙겨서 나가려고. 별일이 없어야 할 텐데…”라고 읊조렸다.

유희억(85)씨는 “살림살이 하나라도 더 챙겨 가야 하니까 아직 여기 있는 거지 불이 가까워지면 피난을 갈 것”이라며 “여기서 나서 평생을 살았는데 정말 이런 일은 상상도 못 했다”고 했다.

영양군으로 퍼진 산불을 피해 영양군민회관으로 대피한 박아무개(80·입암면)씨는 “100m 정도 떨어진 산에 시뻘건 불이 막 올라오고 있었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금방이라도 우리 집까지 넘어올 것 같아 뒤도 돌아보지 않고 왔다”고 했다. 화매리의 집이 모두 불탔다는 한 주민은 눈물을 흘렸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65 '액션영화 같은 점프!' 태국에서 '국민 남편' 된 한국인 남성 [World now]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64 편의점서 일하던 전처 살해한 30대…경찰 사전안전조치에도 범행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63 헌재 인근 3호선 안국역, 일부 출구 폐쇄…4일엔 무정차 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62 실손보험 비중증 비급여 자부담 50%로↑…보상 일 20만원 한도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61 재판관 8인 제체 선고, 탄핵 아니면 4대4 전망…무게추는 파면에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60 문재인 소환 통보에 전주지검 달려간 친문 의원들..."정치검찰의 끝은 파멸뿐"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9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8 한덕수 대행, ‘상법개정안’ 재의 요구…연금법 개정안 공포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7 커피도 콜라도 아니었다…편의점 매출 1위 음료는 ‘이것’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6 [속보] 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4월4일 오전 11시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5 전원일치면 이유부터 낭독이 관례…尹 탄핵 선고 절차는?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4 [속보]대통령실, 윤석열 선고 기일 지정에 “차분하게 헌재 결정 기다릴 것”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3 장제원 유서엔 가족 향한 내용…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2 헌재 “尹 탄핵 선고 생중계… 일반인 방청 허용”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1 안철수 "윤석열·정치권, 헌재 어떤 결정 하더라도 승복해야"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50 헌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월 4일 오전 11시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49 한덕수 상법 거부권 행사하며 "고심 거듭" …마은혁 임명은 침묵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48 장제원 전 의원 유서엔 가족 향한 내용…경찰 "타살 혐의점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47 장제원, 유서 남기고 숨진 채 발견…‘성폭력 피소’ 종결 전망 new 랭크뉴스 2025.04.01
47146 "닷새째 새벽 6시에 나와…짬 버리더라" 원희룡 산불 봉사 목격담 new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