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이재명 대표는 2심 선고 직후 검찰을 강하게 비판했고요.

곧바로 안동 산불 현장으로 내려갔습니다.

오늘 판결과 향후 정치적인 파장에 대해서 정치팀 이기주 기자와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이기주 기자, 이재명 대표가 2심 선고 후에 검찰을 강하게 비판했잖아요.

어떤 의도였을까요?

◀ 기자 ▶

이재명 대표는 판결 직후 소회의 상당 분량을 검찰 비판으로 채웠습니다.

"사필귀정이다", "검찰이 자신들의 행위 되돌아보고, 더 이상 국력을 낭비하지 말라"고 했거든요.

검찰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는 동시에 향후 검찰개혁을 시사한 것 아니냐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이 대표 재판에는 검사가 10명이나 배석했는데, 김성훈 경호처 차장 실질심사에는 검사가 출석조차 하지 않았잖아요.

민주당은 그동안 윤석열 정권이 정적 제거에만 악착같이 검찰권을 남용하느냐고 비판해 왔습니다.

또, 검찰이 대선 낙선자를 과도하게 기소했다는 주장도 꾸준히 제기됐었죠.

공직선거법 264조를 보면 법 위반 주체를 "당선인"이라고 명확히 해놓고 있어요.

법 취지가 당선인이 법을 위반했을 때 당선 무효로 하라는 건데 이 대표는 낙선자였잖아요.

무리하게 기소했다는 검찰에 대한 불만이 오늘 한꺼번에 터져 나온 걸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재판부가 검찰 주장을 다 배척한 것은 아니고요.

무죄 선고를 하면서도 공소권 남용으로 볼 수는 없다고 선을 긋긴 했거든요. 검찰 측의 손도 일부 들어주면서 균형을 맞춘 걸로 보입니다.

◀ 앵커 ▶

오늘 무죄 선고를 받으면서 이재명 대표의 대선 가도에 있어서 큰 걸림돌이 제거됐다, 이런 평가들이 많은데 사실 아직 조기대선이 열릴지부터 확정된 게 아니잖아요.

그래도 이 대표로서는 유력 대선주자로서의 입지를 굳힌 만큼, 여야 모두 헌법재판소 결정에 더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게 됐네요.

◀ 기자 ▶

네, 이 대표는 오늘 판결로 피선거권이 박탈되는 상황을 피하게 됐고, 오히려 역전극 같은 상황을 연출하면서 정치적 효과를 극대화하게 됐습니다.

헌재의 결정이 언제 나오더라도, 사법리스크 때문에 불안하다는 시선에서 한껏 자유로워진 겁니다.

다만, 아직 헌재 결정이 언제 나올지, 또 어떤 결과일지는 여전히 알 수 없습니다.

오늘 무죄 판결로 야권 지지자들은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라고 헌재를 강하게 압박할 걸로 보이고요.

동시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재명 대표가 유력한 주자로 부상한 상황에서 탄핵을 기각하라고 헌재를 압박할 걸로 보입니다.

◀ 앵커 ▶

그럼 조기대선이 치러진다면, 어떤 변수들이 있을까요?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된 상황이고, 조기대선 역시 사실상 윤석열 대 이재명 구도 아니겠냐, 이런 전망도 많은데요.

◀ 기자 ▶

지금까지도 그랬지만 오늘 판결로 이재명 대표가 민주당의 후보가 될 가능성은 확정적이다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대표의 보폭도 넓어지고 발언 수위도 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여권의 누구와 붙느냐가 문제인데요.

아직 구심점이 보이진 않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석방된 상태라는 게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이 조기 대선 국면에서 적극적으로 정치적으로 메시지를 내고 국민의힘 후보 선출에도 관여한다면 조기 대선 역시 윤석열 대 이재명의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난 대선과 달라진 게 있다면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형사재판을 받는 피의자 신분이고, 이재명 대표는 일단은 사법리스크를 벗어났다는 건데요.

이런 차이가 조기대선 국면에 어떻게 작용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 ▶

이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 문명배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75 '이대남 코인러' 200만…억대 큰손은 40대男·50대女 많아 랭크뉴스 2025.03.30
46374 국토부,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지원주택‥2년간 무상 거주 랭크뉴스 2025.03.30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
46371 "삼일절 연휴 급여 달라"는 홈플러스 임원들…법원에 조기변제 신청 논란 랭크뉴스 2025.03.30
46370 휴대전화 수리 맡겼다가…대리점 여직원에 2억 뜯긴 90대, 뭔일 랭크뉴스 2025.03.30
46369 미얀마, 여진 속 필사의 '맨손' 구조활동…국제사회 지원 속도 랭크뉴스 2025.03.30
46368 글로벌 관세 전쟁, 서비스 분야로 확대될 수도… “美 빅테크에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3.30
46367 한덕수의 침묵... 총리실 "마은혁 임명에 아무 말도 없다"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