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고려대 의대가 26일까지 올해 1학기 미등록·미복학한 학생들을 제적 처리하기로 했다. 재적 학생의 절반가량으로 추산된다. 전국 40개 의대 중 처음으로 제적 처리를 확정했다.

이날 고려대 의대 관계자는 “21일까지 등록을 완료하지 않은 학생과 등록을 하고도 이날까지 복학 신청을 하지 않은 학생들이 제적 대상”이라며 “28일 최종적으로 제적 통보서가 문자와 e메일, 등기로 발송될 예정”이라고 했다. 고려대 의대는 지난 21일까지 등록한 학생(등록금 납부)을 대상으로 이날 오후 5시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다.



의대생 절반 제적…본부도 “의대 결정 존중”
의료계에 따르면 21일까지 등록하지 않아 제적 통보된 고려대 의대생은 전체 재적학생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재적학생(737명) 수를 고려하면 300~350명 수준이다. 고려대 관계자는 “등록하고 복학하지 않은 학생까지 고려하면 조금 더 늘어날 수도 있겠지만, 대다수 등록 학생들은 복학 신청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실질적인 제적 절차는 본교 총장의 승인 이후 진행된다. 고려대 본교 측은 “의대의 결정을 존중해 절차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학교 관계자는 “학생을 제적하는 게 학교에 상당한 부담이지만, 의대생들에게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 왔으며 다른 학부 학생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금 등록 안 될까?’ 의대생 200명 면담 쇄도
지난 24일 오후 고려대 의과대학의 한 강의실이 불 꺼진 채 텅 비어 있다. 이후연 기자
고려대 의대는 제적 처리와 별도로 27일부터 학생 상담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휴학·복학에 대한 학생 문의가 쇄도했기 때문이다. 의대 관계자는 “‘복학이 가능한가’ ‘등록 기간을 연장해 줄 수 있느냐’ 등의 문의가 쇄도하면서, 학교 측에서 긴급 면담 시간을 마련했다”며 “전날(25일) 오후 8시 30분 전체 문자를 통해 학생들에게 면담이 가능하다고 공지했는데, 이날까지 신청한 학생만 200명이 넘는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내일부터 1대 1 교수 면담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단, 학교 측은 이 면담이 ‘구제 절차’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의대 관계자는 “제적 절차는 이미 이날 오후 5시부로 마감된 상태”라며 “그러나 복학을 강력히 희망하거나 등록을 원하는 학생이 예상보다 많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제적 절차와는 별개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상담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고려대의대 전직 학생대표 5인의 입장문.
대규모 제적 위기 속에서 일부 의대 선배들도 실명으로 글을 올리며 “각 학생이 복귀 여부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다은 제35대 고려대 의예과 학생회장 등 고려대 의대 전 학생 대표 5명은 전날(25일) ‘존경하는 고려대 의대 학우 여러분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복귀생) 리스트 작성 및 공유, 무분별한 마녀사냥, 서로에 대한 비난과 감시 등이 이어지는 동안 학우 여러분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게 사실”이라며 “더는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했다.



학내 갈등 우려도
하지만 의대생 제적이 현실화할 경우 학내 갈등이 고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강경파 의대생들을 중심으로 “실제 복귀자는 많지 않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고 있으며, 복귀 마감을 앞둔 서울대 등에선 ‘집단 투표’를 통해 복귀 여부를 결정하자는 움직임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일부 의대 교수 단체에선 “학생 제적이 이뤄지면 교단을 떠나 단식 투쟁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울산대도 이날 자정까지 등록하지 않은 학생은 제적 대상이 된다. 대학 관계자는 “현재까지 얼마나 등록했는지는 알 수 없다”며 “31일이 개강인만큼 그때까지 더 기다려볼지 추후 논의 예정”이라고 했다. 임영석 울산대 의대 학장은 지난 21일 아산의학관 개관식에서 취재진과 만나 “제적이라는 압박 카드를 사용할 생각은 없다”며 “학생들과 공감대를 넓혀 복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91 명태균 수사팀, ‘칠불사 회동’ 천하람 원내대표 참고인 조사 랭크뉴스 2025.03.29
45990 권성동 “‘내각 총탄핵’ 예고 민주당 초선의원·이재명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9 부동산 계약 체결 후 잔금지급기일 이전 매도인이 사망하면?[이철웅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랭크뉴스 2025.03.29
45988 권성동 "'내각 줄탄핵 경고' 민주당 초선·이재명 등 72명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7 [속보] 산림청, 경남 산청·하동 오늘 주불 진화 어려워…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86 경찰, 의성 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3.29
45985 "한국 0% 성장" 충격 전망 나와…관세·계엄 여파에 성장률 줄하향 랭크뉴스 2025.03.29
45984 권성동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었다…외교부 “30억원 인도적 지원 결정” 랭크뉴스 2025.03.29
45982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랭크뉴스 2025.03.29
45981 점복 대신 에이, 레몬 대신 귤…'폭삭',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5980 권성동 "'내각총탄핵'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9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 "혜안·도전정신 이어받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78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혜안·도전정신 이어받아 격랑 헤쳐 가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77 두터운 낙엽층에 파고든 불씨…지리산 산불 진화 애 먹는 이유 랭크뉴스 2025.03.29
45976 승객이 휴대폰 잃어버리자 비행기 돌린 이유는…"리튬 배터리 우려" 랭크뉴스 2025.03.29
45975 한덕수 또 탄핵하겠다는 조국혁신당 “월요일까지 마은혁 임명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74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 초선 72명 내란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3 석유 부국인데도 연료 없어서…‘주 13.5시간 노동’ 고육책 짜낸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72 미얀마 강진 "부상자 급증에 혈액 부족"…"여진 몇 달 갈수도"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