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림청 보유 헬기 50대 중 대형은 고작 7대


의성 산불 현장에 투입된 산림청 헬기
(의성=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발생 이틀째인 23일 의성군 산불 발화지점 인근 야산에서 산림청 헬기가 산불 진화를 하고 있다. 2025.3.23 [email protected]


(의성=연합뉴스) 나보배 기자 = 경북 의성에서 난 산불이 닷새째가 지나도 꺼지지 않자 정부의 초기 대응이 적절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산불 진화의 가장 핵심인 헬기 부족이라는 구조적인 문제는 이번에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26일 산림청 중앙대책수습본부에 따르면 현재 산림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헬기는 모두 50대다.

하지만 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32대는 담수용량 1천ℓ 이상∼5천ℓ 미만의 중형이고 11대는 1000ℓ 미만 소형이다.

담수 용량 5천ℓ 이상으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을 뿌리며 큰 역할을 하는 대형 헬기는 고작 7대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들 헬기가 산불 현장에 모두 투입되는 것도 아니다. 수급 부족과 점검 등으로 하루에 30대∼35대밖에 운용할 수 없다.

산불 진화의 주력인 KA-32 카모프(3천ℓ급) 기종의 중형 헬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부품 수급이 어려워 29대 중 8대가 멈춰있고, 1대는 지난해 사고가 나 조사 중이다.

또 헬기 특성상 50시간을 비행하면 점검을 해야 하기때문에 가동률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기종 역시 노후화됐다. 기령이 20년을 초과한 헬기는 약 65%(33대) 정도인데, 이 중 30년 이상 된 헬기도 12대 가량에 달한다.

산림청 한때 '전국 산불 현장 헬기 운항 중단'
(영양=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서 진화 헬기 추락 사고가 발생한 26일 이와 관련 전국 산불 현장 헬기 운항 중단이 내려진 가운데 경북 영양군 영양읍에 산불 진화 헬기가 세워져 있다. 2025.3.26 [email protected]


물론 지방자치단체와 소방도 헬기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경북도만 봐도 보유하고 있는 임차 헬기의 용량이 작고 노후화되기는 마찬가지다.

경북도가 보유한 19대의 헬기 중 대형 헬기는 한 대도 없고 5대는 소형, 14대는 중형이다.

또 19대 중 13대는 기령이 30년을 초과했으며, 1962년에 제작된 헬기도 1대 있다.

전문가들은 산불 진화의 핵심인 대형 헬기부터 갖춰야 한다고 지적한다.

강신원 전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국장은 "가격이 비싼 헬기가 수급 문제 때문에 8대가 움직이지 못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그 정도의 헬기라면 일반 헬기의 30대에 준하는 능력이다. 빠르게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연구사도 "국내에는 헬기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번에도 하루에 여러 건의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는데 보유한 헬기 수가 아주 부족해 진화율이 떨어졌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산림청 중앙대책수습본부 관계자는 "예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산불진화 헬기 보유량을 급격하게 늘리기 어렵다"며 "담수용량 1만ℓ짜리 대형 헬기 1대를 계약하기로 했고, 내년에도 수리온 헬기 3대를 추가로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66 방콕서 지진에 왜 '건설 중' 33층 건물만 붕괴?‥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265 국민의힘, '줄탄핵' 경고에 "명백한 내란 자백‥정당해산 심판 대상" 랭크뉴스 2025.03.30
46264 혁신당, 헌재에 ‘화병’ 위자료 집단소송 추진…“4일까지 선고일 지정” 랭크뉴스 2025.03.30
46263 한부모 월평균 양육비 58만 원인데…10명 중 7명 “한 푼도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3.30
46262 [가족] "내일 안락사 확정"… 봉사자 다급한 전화로 구조된 강아지 '빵떡이' 랭크뉴스 2025.03.30
46261 핵무장론 부추기는 외교부의 '민감국가' 해명... 논란은 끝나지 않았다 [문지방] 랭크뉴스 2025.03.30
46260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민주당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59 [속보]산림청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발생 213시간 만에 꺼졌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8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진화‥역대 2번째 오래 탄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57 [산불 속보 (오후)] 경남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213시간 여 만 랭크뉴스 2025.03.30
46256 남편이 성폭행한 10대, 60대 아내는 4번이나 찾아가 "합의를" 랭크뉴스 2025.03.30
46255 [단독] 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4 尹탄핵 정국에 文 소환 통보…전주지검장 "어떻게 처분 안하냐"[이슈추적] 랭크뉴스 2025.03.30
46253 [속보] 213시간만에 꺼진 산청 산불, 축구장 2602개 면적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2 교민 인명피해 아직 없어‥"구조 기다리는 중" 랭크뉴스 2025.03.30
46251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 경남 산청 산불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50 "요즘 누가 밥을 먹어요, 빵 먹지" 확산에…CU 또 일냈다 '샐러드빵' 3종 출시 랭크뉴스 2025.03.30
46249 장미향 ‘시트로넬롤’, 고농도 쓰면 신경·행동 장애 유발 랭크뉴스 2025.03.30
46248 지리산 위협한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47 안철수 "이재명, 초선 앞세워 탄핵 협박 비겁" 김문수 "제정신? 적극 맞설 것"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