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리 S. 트루먼호' 함재기 출격 ‥미국의 후티 공습 작전

미국 동부시각 3월15일 오후 2시.

미국은 예멘의 후티 세력에 대해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중동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 중인 항공모함 '해리 S. 트루먼'호의 함재기가 출격했고, 후티 기지와 지휘부가 있는 예멘 수도 사나, 북부의 사다·하자를 쑥대밭으로 만들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압도적이고 치명적인 힘을 사용하겠다"고 다짐할 만큼 이번 공습은 무겁고 중대한 군사작전이었습니다.




누군가 모든 작전계획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이 모든 군사 작전을 사전에 알고 있었던 언론 매체가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의 유명 월간지 애틀랜틱 몬슬리와 매체의 편집인 제프리 골드버그.

공격에 동원된 무기의 종류와 목표물, 공격 순서, 타격 시기 등 최고 전쟁 기밀 사항을 모두 알고 있었던 것이죠.

이 모든 사항은 시그널(Signal)이라는 상업용 채팅방에서 낱낱이 공개된 것입니다.

JD 밴스 부통령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미국의 핵심 안보 책임자인 이른바 프린시펄(Principal)들이 '후티 공격'을 위한 채팅방을 만들고 구체적인 작전을 논의했는데, 이 채팅방에 실수로 언론인 제프리 골드버그가 초대됐던 것입니다.

바로 이 채팅방에서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매우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군사작전 계획을 모두 공개해 버렸습니다.

채팅방에는 미국의 외교안보 핵심인사 18명이 참여했는데, 언론인 골드버그는 침묵을 유지한 채 논의를 지켜봤고, 아무도 그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고 합니다.

결국 골드버그 편집인은 자신이 본 내용 가운데 세부 군사계획을 제외한 내용을 잡지 웹사이트를 통해 보도했습니다.




채팅방엔 누가 초대했나?

골드버그 편집인은 3월11일 '마이크 왈츠'라는 인물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때까지 골든버그 편집인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라고는 상상을 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누군가 자신을 함정에 빠뜨리기 위한 속임수일 수도 있다는 생각까지 했다고 하죠.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대화의 수준은 높았고, 작전 내용은 구체적이었다고 합니다.

실화? 라고 생각했던 내용은 결국 현실이 되었고, 상상초월의 대형 보안사고가 확인된 것입니다.




왈츠 경질설‥그러나 트럼프 대응은 "기밀정보 없었다"

역대급 보안 사고가 터지자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른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퇴출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전쟁 계획을 일반 메신저에서 논의했고, 그 과정에서 언론인을 채팅방에 초대했으며, 이후 어떠한 해명도 내놓지 못했던 잘못까지.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할 만한 중대한 사고라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었습니다.

미국 의회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도 "황당한 일", "중대한 실수"라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청문회에 참석한 당국자들은 채팅방 논란에 대해 "합법적이었고, 기밀이 없었다"며 진화를 시도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선택도 왈츠였습니다.

트럼프는 NBC뉴스와 인터뷰에서 "기밀 정보는 없었고, 작은 결함(glitch)"일 뿐이라고 했습니다.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해 "마이크 왈츠는 교훈을 얻었고 그는 좋은 사람"이라고까지 두둔했습니다.

왈츠 보좌관이 사퇴하는 일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건데, 연간 1천조 원이 넘는 군사비를 지출하는 미국의 안보와 군사 보안이 이렇게 허술할 수 있냐는 비판은 여전히 미국 정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00 공매도 1년5개월 만에 재개…코스피 장초반 2.63% 급락 랭크뉴스 2025.03.31
46599 러 "미국과 희토류 개발 논의 시작"…우크라 점령지 광물 제공하나 랭크뉴스 2025.03.31
46598 [특징주] 트럼프 러시아 석유 관세 발언에… 석유株 동반 강세 랭크뉴스 2025.03.31
46597 김수현, 故 김새론 관련 의혹 기자회견 연다 랭크뉴스 2025.03.31
46596 "의사선생님 오늘 마지막‥" 공보의 없어 '의료난' 랭크뉴스 2025.03.31
46595 코스피 공매도 재개에 두달만에 2,500선 내줘…코스닥 2.6%↓(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94 지연되는 탄핵 정국, 갈피 못잡는 한국 경제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④] 랭크뉴스 2025.03.31
46593 이재명 49.5% 김문수 16.3%…李, 양자대결도 모두 앞서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92 조경태 "한덕수, 헌재 판단에 따라 마은혁 임명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591 [단독] '헌재 5:3설'에 野텔레방 난리났다…뚜렷한 근거는 없어 랭크뉴스 2025.03.31
46590 김수현, 오늘 기자회견…쟁점은 미성년 교제 여부 랭크뉴스 2025.03.31
46589 찰스 3세 英국왕, 韓산불 피해 위로… “어머니 환대 받았던 곳” 랭크뉴스 2025.03.31
46588 공매도 수요 폭발했나… 코스피, 2500 붕괴 랭크뉴스 2025.03.31
46587 [속보] 코스피, 2400대까지 추락…지난달 10일 이후 49일만 랭크뉴스 2025.03.31
46586 “바보야 문제는 경제였잖아”…MAGA는 어디에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①] 랭크뉴스 2025.03.31
46585 국민 인내심 한계 달해‥"이번 주는 선고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584 국토부, GTX-A 손실보전금 164억 원 지급…삼성역 개통 지연 탓 랭크뉴스 2025.03.31
46583 국민의힘 36.1% 민주당 47.3%, 격차 더 벌어졌다[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82 시민들 "이제 尹 얘기하기도 싫어" 집회 참석자들마저 "지친다" 랭크뉴스 2025.03.31
46581 국힘 36.1%, 민주 47.3%…오차범위 밖 벌어져[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