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성·안동 지역 산불 목격 SNS 영상 퍼져
캠퍼스 코앞까지 거센 불길과 연기
안동시 안내문자 발송에 대피령 발령
25일 X에 올라온 경북 안동시 산불 목격 영상. X 캡처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안동 등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확산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긴박했던 피해 지역의 산불 목격담과 사진 및 영상이 속속 올라왔다. 대학에서는 강의 중 대피령과 재난문자가 쏟아졌고, 캠퍼스 코앞까지 닥친 불길에 학생들은 체육관으로 피신해야 했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전국에서 발생한 중·대형 6개 산불로 인해 경북 14명, 경남 4명 등 총 18명이 사망했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진화율과 산불영향구역은 △경남 산청·하동 80%·1,685㏊(헥타르) △경북 의성·안동 68%·1만5,158㏊ △울산 울주 온양92%·494㏊ △울산 울주 언양 98%·61㏊이다.

특히 의성·안동 지역은 진화율이 68%로 가장 낮은 만큼 피해가 계속돼 산불 관련 사진 등이 SNS상에 지속적으로 올라오고 있다. 안동시에 자리한 경국대 안동캠퍼스(전 안동대)에서도 학생들이 캠퍼스에서 산불을 목격해 관련 사진과 영상을 SNS에 올리며 소식을 전했다.

이 학교 재학생인 엑스(X) 이용자는 전날 "
안동 산불로 인해 강의 중에도 계속 울리는 비상대피령…오늘 겪었다. 안전안내문자 100개 실화인가
"라는 글과 함께 휴대폰에 온 안전안내문자 인증 사진을 올렸다. 사진에는 영양군·의성군·안동시·한국도로공사 등 다양한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 온 문자가 줄줄이 쌓여있었다. 실제로
산불로 인해 거주지로부터 대피한 주민 총 2만7,079명 중 의성·안동이 2만313명으로 가장 많다
.

25일 한 X 이용자가 안동 산불로 비상대피령 등 안전안내문자를 끊임없이 받았다며 올린 인증 영상. X 캡처


거세진 불길에 경국대에도 산불 대피령이 내려졌다.
안동시는 전날 오후 7시 38분쯤 "관내 산불이 안동대 주변으로 확산 중이니, 학생 및 주변 시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고 안내
했다. 경국대는 국립안동대학교와 경북도립대학교가 지난 1일 통합해 출범한 4년제 국립대학교다.

당시 SNS에 게시된 산불 영상을 보면,
경국대에서도 육안으로 관측될 만큼 거대한 불길이 솟아오르며 연기가 자욱한 재난 상황이 공유
됐다. 이 학교 재학생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시내에서 온 건지 모르겠지만 식량과 물 보급이 학교로 들어왔다"고도 했다.

한때
경국대 앞까지 불길이 다가오며 학생과 요양병원 환자 등 약 1,100명이 학교 안 체육관으로 피신했다는 언론 보도
가 나오기도 했다.

걷잡을 수 없이 번진 대형 산불에 정부도 비상대응에 나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기존의 예측방법과 예상을 뛰어넘는 양상으로 산불이 전개되고 있는 만큼 전 기관에서 보다 심각한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대응해 줄 것을 거듭 당부드린다"며 "정부는 이재민들께서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긴급구호를 비롯하여 행·재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25일 X에 올라온 경국대(전 안동대)에서 촬영한 산불 목격 사진. X 캡처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75 [속보]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껑충…부상자 1천670명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74 “지금 사도 안늦었나요?”...비트코인보다 더 잘나가는 ‘이것’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73 ‘검은 봄’ 경고…“산불, 이게 끝이 아닐 것 같다는 걱정”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72 최저임금 2.5배 오르는 동안, 임금 동결된 이 업계 "그래도 일은 사랑하니까"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71 스벅통장·당근통장·CJ통장...내맘대로 입출금에 이자도 두둑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70 日 소프트뱅크, 美에 1470조원 AI 산업단지 구축 검토… “손정의가 발표할 듯”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9 두 아이 키우려 퇴사…어느새 난 "무능력한 아내"가 됐다 [이혼의 세계]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8 "3년간 도지사에 보고 안했다"…10조원 '전북도 금고'에 무슨일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7 "할아버지 산소가 타고 있어요"…의성 산불 최초 신고자 녹취록 들어보니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6 한덕수 권한대행 “이재민 일상 회복에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5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6월부터 韓 서비스 예상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4 불은 꺼졌지만 돌아오지 못하는 희생자들...침통한 분향소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3 “외딴집 이틀째 연락 안되더니”…경북 북부 산불 희생자 26명으로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2 “고아 아니고 미아인데 입양 당했다”…진실화해위 “국가는 사과하라”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1 ‘여든살 아이들’이 증언하는 제주4·3…“진실 밝혀야”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60 [속보] '경북 산불' 영양·의성서 사망자 2명 추가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59 韓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58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으로 잔해 파헤쳐…'아비규환' 미얀마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57 [속보] 韓대행 “이재민 일상 회복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3.29
45856 피해 ‘눈덩이’ 미얀마 강진, 각국 항공기·구호대 급파…트럼프도 지원 약속 new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