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토바이 주행 30대 중심선 50m 부근 매몰…수색 오래 걸려
서울시 “사고 전 민원 접수, 조사 결과 이상무”…주민들 불안
포탄 떨어진 듯 25일 서울 강동구 대명초교 입구 교차로 인근에 전날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이 드러나 있다. 이 사고로 이곳을 지나던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싱크홀에 빠져 숨졌다. 이준헌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규모 싱크홀(땅 꺼짐)에 빠져 매몰된 3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과 서울시 등은 사고 현장 수습과 함께 싱크홀 발생 원인 조사에 나섰다.

강동소방서는 25일 브리핑에서 “오전 11시22분쯤 싱크홀에 빠져 매몰된 박모씨(34)를 심정지 상태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소방 관계자는 “땅 꺼짐 발생 중심선으로부터 50m 부근에서 박씨를 발견했다”며 “박씨는 90㎝ 깊이에 매몰돼 있었다”고 밝혔다. 앞서 소방당국은 이날 새벽 박씨의 휴대전화와 오토바이를 발견했다. 박씨는 운영하는 사업이 어려워지면서 몇년 전부터 부업으로 배달 일을 시작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박씨는 전날 오후 6시28분쯤 오토바이를 타고 명일동 동남로를 지나다가 갑자기 발생한 지름 20m 크기의 싱크홀에 빠졌다. 이 도로는 지하철 9호선 터널 공사 현장 위를 지난다. 박씨의 오토바이에 앞서 달리던 승합차는 간신히 추락을 면했고 운전자 허모씨(48)는 경상을 입어 치료를 받았다. 지하철 공사 현장에서 일하던 인부 4~5명은 사고 현장을 벗어나 화를 피했다.

싱크홀 하부가 지하철 공사 현장의 터널과 이어지면서 수색 범위가 넓고 깊어지다 보니 박씨를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땅 꺼짐 현상은 11m 깊이로 발생했는데, 하부에 있는 7~9m 높이 지하철 지하 공사 현장의 터널 상층부도 무너져 지면에서 바닥까지의 깊이는 약 20m에 달했다. 싱크홀 내부는 160m 길이의 지하철 공사 현장의 터널 구간으로 이어졌다. 이곳으로 박씨가 떠내려간 것으로 추정됐지만, 상수도 배관이 파열돼 약 2000t의 물이 쏟아져 터널 내부가 흙탕물로 가득 찼다. 배수 작업을 완료한 후에도 지하철 공사 관련 중장비들이 터널 내부에 엉키고 진흙이 굳으면서 구조에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소방대원들이 삽으로 토사를 파헤치고, 굴착기 2대 등 중장비를 동원해 진흙을 긁어내며 구조 작업을 벌였다. 한때 싱크홀 천장 부근에 균열이 발견돼 안전상의 이유로 구조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싱크홀 경사면을 안정시킨 뒤에야 수색을 이어갈 수 있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복구 계획을 검토하고 있지만 원인조사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복구 시기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고 발생 이전에도 인근 도로 땅바닥이 갈라지는 등 싱크홀 발생 조짐이 있었다’는 질의에 “민원이 접수돼 지난 20일 조사를 했고 지반 침하에 대한 이상이 없다고 확인됐다. 이후 계측기 등을 설치해 계속 점검했지만 이상이 없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지하철 공사와의 연관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종합적으로 정밀히 조사해 원인을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사고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지하철 공사 시공업체 등을 상대로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며 “지하철 9호선 공사뿐 아니라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원인을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근 주민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특히 반경 약 1㎞ 안에 초등학교 3곳, 중학교 1곳, 고등학교 4곳이 몰려 있어 학부모들이 불안감을 호소했다. 한영중고등학교, 한영외국어고등학교, 대명초등학교 등 4곳은 이날 재량 휴업을 실시했다. 초등학교에 아이를 등교시키던 전모씨(39)는 “주말마다 아이들과 놀러 나갈 때 자주 이용하던 도로라서 사진만 보고도 어딘지 바로 알았다”며 “사고 현장 아래 지하철 공사가 4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아는데 다시 사고가 일어날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75 '이대남 코인러' 200만…억대 큰손은 40대男·50대女 많아 랭크뉴스 2025.03.30
46374 국토부,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지원주택‥2년간 무상 거주 랭크뉴스 2025.03.30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
46371 "삼일절 연휴 급여 달라"는 홈플러스 임원들…법원에 조기변제 신청 논란 랭크뉴스 2025.03.30
46370 휴대전화 수리 맡겼다가…대리점 여직원에 2억 뜯긴 90대, 뭔일 랭크뉴스 2025.03.30
46369 미얀마, 여진 속 필사의 '맨손' 구조활동…국제사회 지원 속도 랭크뉴스 2025.03.30
46368 글로벌 관세 전쟁, 서비스 분야로 확대될 수도… “美 빅테크에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3.30
46367 한덕수의 침묵... 총리실 "마은혁 임명에 아무 말도 없다" 랭크뉴스 2025.03.30
46366 강민국, '연쇄 탄핵' 압박에 "이런 국회 해산해야‥총사퇴 각오" 랭크뉴스 2025.03.30
46365 화재 취약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64 기동대 숙박비만 13억 썼다…尹선고 지연에 피로 쌓이는 경찰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