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한길 파산 때 곁 지켰다"는 김호창씨
"광주 가서 계엄령 옹호...참을 수 없었다"
"반성 없으면 하늘 나라에서도 안 본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한국사 강사 전한길(왼쪽)씨와 그의 친구 김호창씨가 과거에 함께 찍은 사진. 김호창씨 페이스북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한국사 강사 전한길에게 “쓰레기”라고 욕한 그의 친구가 심경을 토로했다. 그는 “친구로서 반드시 해줘야 했던 말”이라며 전씨를 향해
“내가 너에게 한 가장 큰 욕은 ‘쓰레기’가 아니라 ‘내 장례식에 오지 마라’는 말”
이라며 재차 비판했다.

입시전문가
김호창 업스터디 대표
는 24일 오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올린 장문의 글에서 “저는 친구가 정치적 색깔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한길이가 윤석열을 옹호할 때도 그에게 ‘마음 상하지 마라, 건강부터 챙겨라’고만 했다”며 “저와 정치적 색깔이 다르다고 친구를 ‘쓰레기’라고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전씨가 “
광주에 내려가 계엄령을 옹호하겠다는 기사를 보고 더 이상은 참을 수가 없었다
”고 밝혔다. 김 대표는 “형제를 잃고 부모를 잃은 그들 앞에서 ‘계엄령이 계몽령’이라고 하는 것은 아주 악랄한 조롱”이라며 “그래서 그에게
‘광주에 가지 마라, 가려면 가서 사죄해라. 네가 광주에 가서 그 사람들에게 계엄령을 옹호하는 말을 하는 것은 세월호 때 자식을 잃은 부모들이 단식을 할 때, 바로 그 옆에서 짜장면을 배달시켜 먹으며 히히덕거리던 일베놈과 다를 것이 없다. 네가 간다면 정말 쓰레기다’
라고 편지를 써서 보냈고, 페북에도 글을 올렸다”고 썼다.

김 대표는 이후 전씨가 “페북의 글을 내려달라”고 요구했고 자신에게 “친구로서는 하지 못할 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다시 한번 “인연을 끊자 쓰레기야”라고 했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전씨가 어려울 때 물심양면으로 도왔던 사이라고 했다. 그는 “전한길이 대구에서 파산을 하고 저에게 왔을 때 우리집 원룸으로 데려와 편하게 지낼 수 있도록 재워주고 먹여주고 했다”며 “그가 마지막 파산의 끝에서 자살을 선택하려 할 때도 저는 옆에서 밤새 뜬눈으로 그를 잡고 놓아주지 않고 지켰다”고 회상했다.

김 대표는 전씨를 비판하는 건 친구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
친구가 잘못된 길을 갈 때, 그걸 잘못됐다 말하는 것이 친구
”라며 “제가 전한길에게 쓰레기라고 한 것은 정치적 입장이 달라서가 아니라 그가 쓰레기 같은 짓을 계속 하고 있기에 친구로서 반드시 해줘야 할 말이었기 때문”이라고 썼다.

전씨의 반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도 남겼다. 김 대표는 “한길아, 네가 내게 ‘쓰레기’라는 소리를 들은 것보다 내가 너에게 한 가장 큰 욕은 ‘내 장례식에 오지 마라’는 말이다”라며 “내가 전두환을 싫어하는 것은 학살자여서이기도 하지만, 반성하지도 않고 죽은 것이다. 너도 반성하지 않으면 하늘 나라에서도 너 볼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전씨는 지난 23일 광주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반대 광주·전남 애국시민 총궐기 집회에 참여해 “정치를 시작한 뒤 친구들과 적이 됐다. 연락이 되지 않고, 제일 친한 친구가 저보고 쓰레기라고 하고, 아내는 이혼하자고 한다”면서도 “결국 대통령이 탄핵 기각돼 직무 복귀하면 국가가 정상화될 것”이라는 말로 윤 대통령을 옹호했다.

연관기사
• 전한길 "가라지들은 날 욕해"... 전광훈 "역사 어디서 공부했냐"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0614130004578)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42 "이대로 가면 일본은 추락한다"…경제 연구소가 예측한 '50년 후' 상황 보니 랭크뉴스 2025.03.29
45941 미얀마 군정 발표, “사망자 1,002명·부상자 2,376명”…미국 USGS “사상자 만 명 넘을 듯” 랭크뉴스 2025.03.29
45940 산청 신촌마을 대피령‥산불 확산 우려 랭크뉴스 2025.03.29
45939 100㎝ 낙엽층에 파고든 불씨…식생·지형에 지리산 산불 장기화 랭크뉴스 2025.03.29
45938 "싱크홀 사고로 딸급식이 빵" 불만 올린 김경화 전 아나 결국 랭크뉴스 2025.03.29
45937 "그냥 두고 볼 수 없어…위로 되길" 백종원, 각종 논란 속 이재민 위해 나섰다 랭크뉴스 2025.03.29
45936 경찰, ‘경북 산불’ 최초 발화 추정 지점 현장 조사 랭크뉴스 2025.03.29
45935 정부 "지진 피해 미얀마에 30억원 긴급 지원" 랭크뉴스 2025.03.29
45934 주불 진화·잔불 정리…이 시각 안동 랭크뉴스 2025.03.29
45933 정부, ‘강진 피해’ 미얀마에 30억원 전달… “인도적 지원, 필요시 추가” 랭크뉴스 2025.03.29
45932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랭크뉴스 2025.03.29
45931 중상자 1명 추가 사망‥총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930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부상자 2천376명(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929 "MZ들이 쓸어 담더라"…불교박람회 품절 대란 '스밀스밀'이 뭐야? [이슈, 풀어주리] 랭크뉴스 2025.03.29
45928 가방에 뭘 주렁주렁 다냐고? 귀여운 게 최고잖아요 랭크뉴스 2025.03.29
45927 꽃샘추위에도 "탄핵무효"…탄핵반대 광화문 대규모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926 "해고된 직원이 가게 인스타 삭제, 분통터져요"…보복성 행위에 법원이 내린 판결 랭크뉴스 2025.03.29
45925 90년 삶이 알려준 것...“용서하고 베풀고 사랑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24 [속보] 경남 산청·하동 산불, 오후 3시 현재 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23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