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에서 주민이 집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불을 가리키며 안타까워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의성에서 난 산불이 여기까지 올 줄 누가 알았겠니껴. 밤새도록 한숨도 못잤니더.”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 이 마을에 살고 있는 이영희(65)씨는 집 뒷산에서 지금도 일렁이고 있는 불꽃을 바라보며 말했다. 그는 “여기서 40년 넘게 살고 있지만 이렇게 지독한 산불은 처음”이라며 “산불진화대원들이 불을 꺼도 꺼도 계속 되살아난다”고 했다.

이씨는 전날 오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는 명령에도 집을 떠나지 못했다. 그는 “산에서 시뻘건 불이 능선을 타고 내려오고 있는데 집을 버리고 대피했다가 모두 다 타버리면 누가 책임져 주나”라며 “농기계와 각종 자재는 멀리 옮겨두고 집 주변에 계속해서 물을 뿌리면서 집을 지켰다”고 말했다.



“여기까지 산불 넘어올 줄 몰랐다”
전날 오후부터 의성을 넘어 안동까지 산불이 번지면서 경계지역인 길안면에 화선이 형성됐다. 문제는 여전히 산불 확산이 멈출 기미가 없다는 점이다. 바람이 잦아드는 주간에는 연기가 짙게 내려앉아 헬기가 뜨기 어렵고, 헬기가 뜨지 못하는 야간에는 다시 강한 바람이 불어 산불이 확산되는 악순환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25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에서 주민이 집 뒷산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불을 지켜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산림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은 바람을 타고 동쪽으로 번지고 있다. 산불피해영향구역은 1만2565㏊로 추정되며 총 화선은 214.5㎞로 늘어났다. 이 중 118.2㎞를 진화해 잔여 화선은 96.3㎞로 파악됐다. 진화율은 전날 약 70%까지 올랐다가 이날 오전 5시 기준 55%로 내려앉았다.

이번 의성 산불의 피해 규모는 국내 산불 중에서 역대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2000년 4월 발생한 강원 강릉·동해·삼척·고성 산불(2만3913㏊), 2022년 3월 경북 울진·강원 강릉·동해·삼척 산불(2만523㏊)에 이어 큰 규모다.

산림당국은 25일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 62대를 투입하고 진화인력 2673명, 진화차량 453대 등을 동원해 진화 작업에 총력을 쏟고 있다.
경북 의성 산불이 안동 길안면으로 번져 25일 이틀째 확산하는 가운데 진화대원들이 불을 끄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오전 현재 산불 현장 인근의 바람은 평균 초속 1m 안팎의 잠잠한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이 때문에 산불이 뿜어내는 연기도 흩어지지 않아 헬기가 뜨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후에 또 강풍…산불 확산 우려
실제 화선이 형성된 안동시 길안면 일대는 매캐한 연기가 안개처럼 자욱하게 내려앉은 모습이었다. 연기 탓에 중앙고속도로 의성나들목에서 안동분기점 사이 20㎞ 구간 양방향이 차단됐다가 5시간 25분 만에 풀리기도 했다.

오후부터는 다시 강하게 바람이 불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기상청은 이날 오후부터 경북권 전역에 순간풍속이 초속 15m 이상, 산지의 경우 초속 20m 이상으로 강하게 불겠다고 예고했다. 산불이 났을 때 강풍이 불면 확산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피해 구역이 더욱 넓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안계리에서 발생한 산불의 불씨가 강풍을 타고 북동쪽으로 20여㎞ 이상 떨어진 안동시 길안면까지 덮쳤다. 연합뉴스

산불 진화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대피한 주민 수도 늘어나고 있다. 현재 안동과 의성 주민 2816명(의성 1552명·안동 1264명)이 실내체육관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주택 23곳과 공장 1곳, 창고 30곳 등 모두 92곳의 시설물에 산불 피해가 났다. 아직 산불 진화가 끝나지 않아 축사나 과수 피해는 집계조차 시작하지 못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야간동안 지상 진화인력을 배치해 민가로 향하는 산불을 최대한 저지한 데 이어 일출과 동시에 진화헬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있다”며 “진화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진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05 "기일 지정하자 환율 떨어지고 주가 반등" 외신 시선은 랭크뉴스 2025.04.01
47304 전두환 장남 아들 출판 도매업체 북플러스, 결국 파산 랭크뉴스 2025.04.01
47303 尹탄핵 선고 방청 신청 폭주… '796대1' 朴때 경쟁률 넘어설듯 랭크뉴스 2025.04.01
47302 장제원 전 의원 유서에 가족 향한 내용…경찰 "타살 혐의점 없어" 랭크뉴스 2025.04.01
47301 돌아온 ‘대국민 티케팅’…윤석열 탄핵 선고 방청 신청 폭주, 경쟁률이 벌써 랭크뉴스 2025.04.01
47300 그래서, 조작이라고? 김수현 카톡 검증 믿을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4.01
47299 '유전자변형 감자 수입' 노골적 韓 압박…美 보고서 보니 랭크뉴스 2025.04.01
47298 [단독] 정도원 회장 재판 와중에…삼표, 시멘트업계 '산재 1위' 랭크뉴스 2025.04.01
47297 尹 선고일 발표되자 헌재로 간 시위대… 경찰은 ‘진공상태화’ 조기 착수 랭크뉴스 2025.04.01
47296 외교부 "검찰총장 자녀 채용 공익감사 청구…채용 결정 유보"(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1
47295 尹선고일 전국경찰 갑호비상…3일 오전 9시부터 서울 을호비상 랭크뉴스 2025.04.01
47294 헌재, 尹선고 사실상 결론냈다…오늘 의견종합 평결 마무리 랭크뉴스 2025.04.01
47293 ‘계엄에 미군 투입 가능’ 주장에 주한미군 “허위 정보” 랭크뉴스 2025.04.01
47292 덜 내고 보장 덜 받는 실손보험 개혁…비급여 자부담 50%로 랭크뉴스 2025.04.01
47291 윤석열 파면이냐 복귀냐…조기 대선 땐 ‘6월3일’ 선거일 유력 랭크뉴스 2025.04.01
47290 요즘 MZ 프사는 다 이거… 챗GPT ‘지브리’ 이미지 열풍 랭크뉴스 2025.04.01
47289 尹 선고 당일 헌재 출석할까… 대리인단 "아직 미정" 랭크뉴스 2025.04.01
47288 “비결이 뭘까”...불경기에도 국회의원 80% 재산 증가 랭크뉴스 2025.04.01
47287 "겁나 험한 게" 영화인 분노‥박해일도 참여 "尹 파면!" 랭크뉴스 2025.04.01
47286 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결론 이미 내렸다…선고 전까지 평의는 계속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