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현대차, 미국 생산… 관세 없어”
한국서 수출하는 차는 관세 언급 안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앞에서 미국에 31조원 규모의 투자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를 앞두고 유화책을 꺼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2일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내놓고 자동차와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은 따로 발표하기로 했는데, 현대차가 관세를 피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정 회장은 24일(현지 시각)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올해부터 2028년까지 4년 간 미국에서 자동차와 부품, 물류, 철강, 미래 산업 등에 210억달러(약 31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현대차가 1986년 미국에 진출한 이후 밝힌 투자 규모로 가장 큰 금액이다. 현대차그룹은 전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때는 현대차그룹 메트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50억달러, 로보틱스·도심항공모빌리티(UAM)·자율주행 소프트웨어에 55억달러 등 총 105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었다.

정 회장이 투자 계획을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는 위대한 기업”이라고 화답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은 미국에서 철강을 만들고 자동차를 생산할 것이다. 그 결과 그들은 미국에서 관세를 낼 필요가 없을 것(Hyundai will be producing steel and making its cars in America. As a result, they’ll not have to pay any tariffs.)”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에는 어느 정도 혜택을 주겠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정의선(왼쪽 두번째) 현대차그룹 회장이 24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세 번째)이 지켜보는 가운데 2028년까지 2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그러나 이 발언을 두고 현대차그룹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관세 정책을 통해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 내고 미국에 일자리를 만들었다고 자평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는 원론적인 언급일 뿐 한국에서 만들어 수출하는 차량에 대해서도 관세를 면제하거나 유예해 주겠다는 뜻이 아니라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동차, 목재, 반도체 등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를 며칠 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달 2일 부과 예정인 상호 관세는 국가별로 다르게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미(對美) 무역흑자 규모가 크고 미국 수출 기업에 불이익을 준다고 판단되는 국가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자동차 등 특정 품목에 부과되는 관세는 기업별로 다르게 적용되지 않는다. 31조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해도 현대차그룹만 특혜를 받을 수는 없는 것이다.

산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이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규모 투자를 약속한 기업을 한껏 치켜세운 후 돌연 태도를 바꾼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대만의 반도체 제조사인 TSMC의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3일 백악관을 방문해 미국에 총 1000억달러(약 147조원)에 이르는 투자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이 투자는 미국과 TSMC 모두에게 엄청난 일”이라고 칭송했지만, 불과 나흘 만인 7일 “대만이 우리에게 반도체 사업을 훔쳐갔다”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제정된 반도체 지원법(칩스법·CHIPS)을 폐기하겠다는 뜻도 거듭 밝혔다. 이 법은 미국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10월 미국 조지아주에 준공한 친환경차 전용 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전경. /현대차그룹 제공

완성차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이번 대규모 투자로 중장기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것으로 본다. 미국 내 생산 비중 확대, 완성차와 부품사의 공급망 강화 등 오랜 숙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 4년 임기 동안 미국 사업을 어려움 없이 진행할 발판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에서 현지 생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38%에 그쳤다. 최대 경쟁사인 도요타의 미국 생산 비중은 56%였고 혼다와 닛산은 60%를 넘었다. 지난해 현대차·기아는 미국에서 총 170만대를 판매했는데, 이번 투자를 통해 현지 생산량을 절반이 넘는 120만대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미국 현지 생산 확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이 없었어도 풀었어야 할 과제였다”며 “필요한 투자를 진행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칭찬까지 받아 미국 내 브랜드 마케팅 측면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23 흔적도 없이 사라진 집과 밭…“앞으로가 막막해요” 랭크뉴스 2025.03.30
46422 "살 쭉쭉 빠지길래 '다이어트 부작용'인 줄"…병원 가보니 '위암 말기'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421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한 전 비서 추가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420 [단독] 경찰, 성폭력 피해 상황 쓴 3년 전 글 확보‥장제원, 경찰조사서 혐의 전면부인 랭크뉴스 2025.03.30
46419 1월엔 쥐, 이번엔 바퀴벌레 나왔다…日 3대 규동 체인점 발칵 랭크뉴스 2025.03.30
46418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랭크뉴스 2025.03.30
46417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7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416 “유효 기간? 영구적”…‘관세 펀치’ 더 세게 날리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3.30
46415 "尹 기각될라"…한덕수 재탄핵에, 재판관 임기연장까지 꺼낸 野 랭크뉴스 2025.03.30
46414 실적 부담에 관세 불확실성… 목표가 낮아진 전력株 랭크뉴스 2025.03.30
46413 1분기 회사채 순발행 16.2조 최대…'IPO 대어 효과' 공모액 작년의 3배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0
46412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랭크뉴스 2025.03.30
46411 정전된 대피소서 음식 나누고 부둥켜안고... 이재민들 온기로 두려움 달랬다 랭크뉴스 2025.03.30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