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경남과 경북, 울산 일대에서 시작된 산불이 오늘도 계속 꺼지지 않고 있습니다.

사회팀 변윤재 기자와 함께 MBC에 들어온 시청자 제보 영상들 보면서, 현장 상황 짚어보겠습니다.

변 기자, 다양한 영상들이 들어오고 있다고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산불이 시작된 직후부터 MBC에 현장 상황이 담긴 영상들이 잇따라 접수됐는데요.

특히 산불의 규모가 컸던 경남 산청군과 경북 의성군에 제보가 집중됐습니다.

하나씩 같이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산청군에서 시작된 산불이 약 60킬로미터 떨어진 하동군까지 번진 모습입니다.

화산이 분출되는 것처럼 많은 양의 잿빛 연기가 치솟고 있고, 군데군데 빨간 화염도 볼 수 있습니다.

소방헬기들도 이 지역까지 날아와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

다음은 산림청이 직접 제공한 야간 진화 장면이 담긴 영상입니다.

빨간색 옷차림의 진화대원들이 이렇게 산으로 들어가 물을 뿌리고, 풀더미를 제거하고 있는데요.

헬기가 뜨지 못하는 밤시간대 진화 작업이 어려운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

경북 의성군의 점곡면의 모습입니다.

붉은 화염이 아예 산자락을 뒤덮은 채로 활활 타오르고 있는데요.

숲에 마치 용암을 부은 것처럼 온통 시뻘건 모습입니다.

화면으로만 봐도 열기가 느껴질 정도로, 연기도 그로부터 쉴 새 없이 새어나오고 있습니다.

*****

오늘 낮 시간대 들어 진화율이 50%대를 넘어선 의성군 안평면 모습입니다.

온통 잿빛으로 마을이 타버렸는데요.

숲에 있는 나무들 위에 잿가루가 내려앉은 것처럼 모두 타버린 걸 볼 수 있겠습니다.

*****

이밖에도 울산시 울주군에선 산불이 도로 옆으로 번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연기가 도로에까지 내려와 운전자 시야를 가려 자칫 사고로 번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산림청은 오늘 오전 9시 반쯤 산불 3단계를 발령해 울주군에 대한 대비태세를 격상했습니다.

◀ 앵커 ▶

굉장히 심각한 상황입니다.

논이며 밭이며 살림들, 집이며 검게 타버린 모습들 보니까 앞으로 어떡하나 걱정도 되는데요.

이 산불이 더 커질 수 있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지 않습니까?

정부가 앞으로 마련하고 있는 대책이 있나요?

◀ 기자 ▶

예, 정부는 방금 전인 저녁 6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중대본 3차 회의를 열었습니다.

대부분 정부 부처와 17개 시·도가 참석한 이 회의에서 최 대행은 재난사태를 선포했던 3개 시·도에 '특별교부세'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그만큼 이번 산불의 여파가 크다는 건데요.

오늘 오후 4시를 기준으로 경북 의성의 진화율을 59%, 울산 울주는 70%의 진화율을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번 산불로 전국 산림 6천3백여 헥타르, 주택 39개 동이 피해를 입었다고 집계했는데요.

이 과정에서 임시 대피주민은 천514명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정부는 헬기 111대를 총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는 한편, 산불대응 중대본을 가동해 사용 가능한 자원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51 미 연구진 “껌 씹으면 최대 3000개 미세 플라스틱이 입 안으로” 랭크뉴스 2025.03.26
44650 처남댁 구하러 불길 속 들어갔다…영양군 이장 일가족 참변 랭크뉴스 2025.03.26
44649 [속보]대구 달성군 함박산에서도 산불…당국 “인근 주민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648 가족·주민 구하려다 불길에 참변…영양군 추가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647 ‘이재명 무죄’에 헌재 더 죄는 민주당…“尹선고 기일 정하라” 랭크뉴스 2025.03.26
44646 화마 5㎞ 앞 접근 '하회마을 방어전'… "국가유산 못 지키면 세계적 망신" 랭크뉴스 2025.03.26
44645 항소심 무죄 뒤 안동 산불 대피소 찾은 이재명…“최선 다해 복구” 랭크뉴스 2025.03.26
44644 [속보]대구 달성군 함박산에 산불…당국 “인근 주민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643 고대 의대생 절반 '제적' 확정…"등록기간 연장좀" 문의 쇄도 랭크뉴스 2025.03.26
44642 [속보] 법무부 “산불 확산에 안동 교도소 수용자 이송 진행” 랭크뉴스 2025.03.26
44641 "불길 병산서원 2km 앞까지"…하회마을·병산서원 인근 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6
44640 영양 산불 대피소 500여명 지친 표정…집 다 탄 주민은 눈물만 랭크뉴스 2025.03.26
44639 [속보] "병산서원 앞 2㎞ 산불 접근…바람은 잔잔, 선제적 진화 예정" 랭크뉴스 2025.03.26
44638 김새론 유족, 기자회견 연다 “미성년자 당시 교제 입증 자료 공개” 랭크뉴스 2025.03.26
44637 무죄 직후 산불 챙기러 안동으로‥'사법리스크' 고비고비 역전극 랭크뉴스 2025.03.26
44636 "불이 사람보다 빨리 나왔어"‥'괴물 산불' 연기에 갇힌 안동 랭크뉴스 2025.03.26
44635 [속보] “병산서원 앞 2㎞ 산불 접근…바람은 잔잔, 선제적 진화 예정” 랭크뉴스 2025.03.26
44634 전국 곳곳 산불로 26명 사망…2만 6천 명 대피 랭크뉴스 2025.03.26
44633 불덩이 속 혼돈‥"전화는 먹통, 대피는 어려워" 랭크뉴스 2025.03.26
44632 李 무죄 선고되자 "판사 처단"…광화문선 '尹탄핵촉구' 트랙터 견인 랭크뉴스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