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가천대 연구진, 보호막 코팅한 액체 로봇 개발

액체 금속. 국내 연구진이 보호막으로 둘러싼 액체 로봇을 개발했다. 수은 같은 액체 금속처럼 모양을 바꾸면서 장애물도 물 흐르듯 통과할 수 있다./UNSW


국내 연구진이 장애물을 물 흐르듯 통과하며 기능을 수행하는 부드러운 로봇을 개발했다. 의학에 적용하면 환자 몸 속에서 암세포를 감싸 제거하고 약물을 전달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와 가천대 공동 연구진은 물처럼 형태를 자유롭게 바꾸며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로봇에 PB란 이름을 붙였다. ‘입자 갑옷을 입은 액체 로봇(Particle-armored liquid roBot)’이란 뜻이다. PB는 액체에 안에 있고 표면은 소수성(疏水性) 입자로 둘러싼 형태이다. 소수성 입자는 지방처럼 물을 매우 강하게 밀어내는 성질을 갖고 있다. 연잎에 내린 비가 스며들지 않고 물방울이 돼 굴러버리는 것도 잎 표면이 소수성 물질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소수성 입자는 액체와 섞이지 않고 표면에 달라붙어 마치 갑옷처럼 보호막 역할을 한다.

이전에도 ‘액체 마블(liquid marble)’이라는 형태로 비슷한 개념이 연구된 바 있다. 액체 마블은 물방울 같은 액체를 초소수성 입자로 둘러싸 굴릴 수 있게 만든 구조물이다. 마치 물방울에 옷을 입혀 젖지 않고 이리저리 굴릴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다만 기존의 액체 마블은 입자의 양이 적어 변형이 어렵고, 구조가 쉽게 깨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서울대과 가천대 연구진이 개발한 액체 로봇. 두 액체 로봇이 터지지 않고 떨어져 합병되는 모습을 나타냈다./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이번 액체 로봇은 소수성 입자를 훨씬 많이 사용해 보호막이 더욱 튼튼하다. 덕분에 액체 방울이 터지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바뀔 수 있다. 연구진은 액체 로봇이 작은 기둥 사이를 물이 스며들듯 지나가거나, 유리구슬을 삼키고 다른 PB와 자연스럽게 합쳐지는 등 생명체처럼 유연하게 반응한다고 설명했다. 심지어 물 위를 미끄러지듯 빠르게 이동해 마른 지면에 도달할 수도 있다.

연구진은 액체 로봇을 굴려 특정 물질까지 전달했다. 마치 백혈구가 병균을 삼켜 먹듯 액체 로봇이 물질을 감싸고 해독제를 전달하거나 안전하게 수거하는 과정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향후 암세포만 감싸 제거하거나, 약물을 몸속 특정 부위에 정확히 전달하는 기술로도 발전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진은 “이번에는 로봇 내부의 액체로 물을 사용했지만, 다음에는 소수성 입자가 더 잘 달라붙는 액체로도 교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원하는 목표를 찾아가는 형태도 생각해볼 수 있다. 표면에 자성 입자를 붙여 외부에서 자석으로 이동시키거나,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물질을 붙여 유도 미사일처럼 쓰는 식이다.

김호영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이 로봇은 테두리의 입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액체라서 특정 물질을 운반한 뒤에는 자체 분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테플론 가루를 소수성 입자로 사용해 로봇을 구현했으나, 현재 꽃가루와 같은 식물 유래 성분을 사용해 인체에 적용할 수 있는 액체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참고 자료

Science Advances(2025), DOI: https://doi.org/10.1126/sciadv.adt5888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57 [산불 속보 (오후)] 경남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213시간 여 만 랭크뉴스 2025.03.30
46256 남편이 성폭행한 10대, 60대 아내는 4번이나 찾아가 "합의를" 랭크뉴스 2025.03.30
46255 [단독] 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4 尹탄핵 정국에 文 소환 통보…전주지검장 "어떻게 처분 안하냐"[이슈추적] 랭크뉴스 2025.03.30
46253 [속보] 213시간만에 꺼진 산청 산불, 축구장 2602개 면적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2 교민 인명피해 아직 없어‥"구조 기다리는 중" 랭크뉴스 2025.03.30
46251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 경남 산청 산불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50 "요즘 누가 밥을 먹어요, 빵 먹지" 확산에…CU 또 일냈다 '샐러드빵' 3종 출시 랭크뉴스 2025.03.30
46249 장미향 ‘시트로넬롤’, 고농도 쓰면 신경·행동 장애 유발 랭크뉴스 2025.03.30
46248 지리산 위협한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47 안철수 "이재명, 초선 앞세워 탄핵 협박 비겁" 김문수 "제정신? 적극 맞설 것" 랭크뉴스 2025.03.30
46246 [속보]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 경남 산청 산불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45 빚 독촉에 우울증 앓자…30대 딸 살해한 엄마, 징역 12년 선고 랭크뉴스 2025.03.30
46244 사람 목소리 구별하는 빅스비···삼성, 2025년형 비스포크 AI 라인업 공개 랭크뉴스 2025.03.30
46243 [속보]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부로 산청 산불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42 냉장고에 “청소해줘” 하니 청소기가 움직인다… 삼성 초연결 AI 가전 랭크뉴스 2025.03.30
46241 '외로운데 오늘 만날래요?' 이런 문자 요즘 뜸하더니…스팸신고 30% 줄었다 랭크뉴스 2025.03.30
46240 이재명 "조작인가요 아닌가요"…국힘 때리며 올린 사진 한장 랭크뉴스 2025.03.30
46239 [속보]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부로 산청 산불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38 라스베이거스 카지노서 사라진 중국인…"하룻밤 3억" 큰손 교체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