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송파구 문정동 등 토허제 ‘불똥’
“집주인들 이제 매매 안될까 스트레스”
서울시가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소재 전체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한 가운데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2025.03.19 권도현 기자


“31억원에 나온 매물이 어제 29억5000만원 되더니 하루 사이에 28억5000만원까지 얘기하고 있습니다.”

서울 송파구 잠실리센츠 아파트 단지 내 공인중개사 A씨는 “전세를 끼고 사고 팔려면 이번 주 안에 계약해야 해서 다들 서두를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서울의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역에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지정을 발표한 이튿날인 20일 서울 강남 일대 부동산 현장에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토허제 재지정으로 전세를 낀 갭투자 거래가 막힐 것에 대비해 급하게 하루만에 호가를 1~2억원 내린 매물이 등장했다. 잠실 이외에 송파구 인근 지역에선 토허제 지정이라는 ‘불똥’으로 매매 거래가 끊길지 전전긍긍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지역은 지난 1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토허제를 해제했던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이다. 토허제 재지정으로 오는 24일부터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게 사실상 금지되기 때문이다.

가격 급등의 근원지였던 잠실의 엘스 아파트에선 이달 7일 전용면적 84㎡ 아파트가 ‘30억원’의 신고가를 찍었으나 전날 발표 직후 1~2억원의 호가를 내린 매물이 바로 나왔다. 잠실 리센츠에서도 2억원 가량 가격을 내린 곳이 등장했다.

부동산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나흘 전 신고가 찍고 샀는데 머리 아파 죽겠네요. 5000만원 계약금 보냈는데 취소하는 게 맞겠죠?” “갭투자하려고 알아본 집 계약서 이번주에 빨리 쓰라고 연락 왔는데 지금 매수하는 거 맞나요? 지켜봐야 하나요?”라는 고민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재지정 규제가 시작되는 24일 전에 급매물을 찾는 문의도 늘었다는 게 부동산 중개소들의 전언이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공인중개사 B씨는 “토허제 발표 이후 ‘이번주 안에 계약 가능한 급 매물을 찾아 달라’는 문의가 늘고 있다”며 “그런데도 매물이 잘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부 지역에선 이번 발표로 피해를 본다는 불만도 터져나온다. 송파구 잠실이 급등했다고 하지만 같은 구 안에서도 문정동, 가락동 등지에선 ‘집값도 오르지 않았는데 토허제 지정으로 피해를 본다’는 것이다. 송파구 전체가 토허제 지정된 이후 문정동에선 하루만에 4000만원을 낮춘 사례도 나왔다. 갭투자가 금지되기 전에 빨리 팔겠다는 것이다.

서울 송파구 문정동 공인중개사 C씨는 “투기와 상관 없는 나홀로 아파트까지 다 묶어버리니 집을 꼭 팔아야 하는 분들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며 “이사를 가려고 집을 내놓은 사람들의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하다”고 말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강남3구와 용산구에서 갭투자가 금지되면서 투자 수요가 인근 다른 지역으로 퍼지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가능성도 주의하고 있다.

강남 3구를 제외하고 성동구는 최근 아파트 상승률이 가장 가파른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이 이날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20일 기준)을 보면, 서울 자치구 가운데 전주 대비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가장 큰 세 곳은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강남구(0.83%), 송파구(0.79%), 서초구(0.69%)였고, 그 다음이 성동구(0.37%)였다. 성동구는 강남3구와 함께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용산구(0.34%)보다 상승폭이 컸다.

정부와 서울시는 ‘잠삼대청’에서 시작된 투기 과열 양상이 확대된 토허구역 지정에도 지속되면, 서울 다른 구도 추가로 지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86 젤리 훔친 6살 아이 딱 걸렸는데…"왜 도둑 취급하냐" 되레 폭발한 아빠 랭크뉴스 2025.04.01
46985 美테크기업, 전문직 비자 직원들에 "못들어올라…美 떠나지마라" 랭크뉴스 2025.04.01
46984 관세·공매도·미 침체 ‘삼각파도’…국내 증시 ‘검은 월요일’ 랭크뉴스 2025.04.01
46983 美, 경찰책임자 등 홍콩 고위인사 6명 제재…"자치 훼손" 랭크뉴스 2025.04.01
46982 “2차 국회 봉쇄 때 김봉식이 ‘청장님 지시’라면서 ‘포고령 따르자’ 무전” 랭크뉴스 2025.04.01
46981 “김새론 유족 등에 120억 손배소”…法, 김수현 사건접수 랭크뉴스 2025.04.01
46980 '챗GPT' CEO "GPU 녹아내려 사용 일시 제한" 새 이미지 생성 모델 얼마나 좋길래 랭크뉴스 2025.04.01
46979 초읽기 몰린 ‘헌재의 시간’… 문형배 결심 시선집중 랭크뉴스 2025.04.01
46978 4월로 가는 윤 탄핵심판 결정…‘헌재법 사각 메워라’ 야권 입법 총력전 랭크뉴스 2025.04.01
46977 의대생 전국 40곳 중 38곳 복귀에… 전공의도 “돌아가자” 술렁 랭크뉴스 2025.04.01
46976 명품 플랫폼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판매자들 “또 미정산, 망했다” 랭크뉴스 2025.04.01
46975 윤석열 탄핵 정국 속 문재인 기소 앞둔 검찰···계속된 ‘정치보복’ 논란 랭크뉴스 2025.04.01
46974 [And 건강] 여성질환 치료 쓰이는 ‘자궁 내 장치’ 유방암 위험 높인다 랭크뉴스 2025.04.01
46973 머스크, 테슬라주가 반토막 "내 탓" 인정…"장기적으론 잘될 것" 랭크뉴스 2025.04.01
46972 중학생 둘 끌고가 ‘죽이겠다’ 협박한 교사…“잘못 인정” 랭크뉴스 2025.04.01
46971 "저 애 아니면 다 죽을뻔"…산불에 할머니들 업고 뛴 인니 선원 랭크뉴스 2025.04.01
46970 하이브 CEO “어도어 사태 1년… 원칙에 따른 결과 나오고 있어” 랭크뉴스 2025.04.01
46969 몰도바, '내정간섭' 러 외교관 추방…러 '강경 대응' 경고 랭크뉴스 2025.04.01
46968 "레고처럼 손쉽게 쌓는 테러 방지용 블록" 홍보에 …레고 "브랜드 이미지 손상" 소송 랭크뉴스 2025.04.01
46967 관세 공포, 코스피·원화 급락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