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토허제 효과 미미 판단… 해제 급급
해제 권한 쥔 국토부도 ‘책임 소재
’일각선 “조기 진화 과감한 선택”
오세훈(왼쪽) 서울시장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관련 합동 브리핑을 마친 뒤 인사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서울 집값 급등세가 이어지면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확대 지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토부와 서울시가 합동 점검반을 가동해 부동산 투기 수요 조기 차단에 나서기로 했다. 윤웅 기자

서울시는 지난달 12일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잠삼대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할 때만 해도 과도한 집값 급등을 예견하지 못했다. 해제 조치 35일 만인 19일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용산구 소재 아파트 전체로 허가구역을 확대 지정하면서 당시 판단은 ‘패착’으로 평가될 수밖에 없게 됐다.

서울시가 당시 5년 만에 ‘잠삼대청’에 대한 허가구역 해제를 결정한 것은 규제 효과가 미미해졌다고 판단해서다. 허가구역 지정 직후에는 부동산 거래량이 줄고 집값이 다소 안정되지만 2~3년이 지나면 정책 효과가 사라진다는 연구 용역 결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오세훈 서울시장은 허가구역 지정을 재산권 행사를 방해하는 규제로 인식했다. 그는 지난 1월 14일 개최된 ‘규제 풀어 민생 살리기 대토론회’에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가 생긴 뒤 많은 분들로부터 ‘내 재산을 사고 파는데 왜 규제가 있느냐’는 취지의 요청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당시 토론회에 참석한 한 시민은 “토허제의 순기능보다 다른 지역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는 역기능이 발생하는 상황”이라며 토허제 철폐를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을 강남구 도곡동에서 22년간 활동한 공인중개사라고 소개했다.

오 시장은 당시 토론회에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할 수 있기 때문에 (허가구역을) 과감하게 풀지 못했다”며 “그동안 풀고 싶었는데 당연히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허가구역 해제를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됐다. 서울시의 규제 철폐 ‘드라이브’ 속에서 잠삼대청에 대한 허가구역 해제는 급물살을 탔다. 약 한 달 뒤인 지난달 12일 전격적으로 해제 조치가 발표됐다.

하지만 서울시는 당시 허가구역 해제 과정에서 부동산 정책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사전 협의를 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해제가 발표되자 “신중히 검토해 달라는 의견과 우려 사항을 실무진 차원에서 시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국토부와 별도 사전 협의를 거치지 않았다는 사실도 강조했다.

오 시장은 이번 결정으로 정책에 큰 혼란을 가져왔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강남권 집값 급등에 ‘백기’를 들고 결국 더 강도 높은 규제 카드를 꺼낸 셈이 됐다. 오 시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허가구역을 풀면서 예상 외로 가격 급등 현상이 나타나 뼈아프게 생각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국토부도 책임을 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국토부는 서울시가 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전적으로 쥐고 있다는 이유로 지정 해제 당시부터 사안에 한발 물러서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만 이번 발표가 부동산 과열 분위기를 차단한 과감한 선택이었다는 시각도 있다. 오 시장은 “조기 진화하겠다는 저희들의 정책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잠실과 강남 지역에 국한돼 있던 허가구역을 (향후 집값이) 오를 수 있는 지역까지 확장할 수 있는 전화위복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
46536 찰스 3세, 한국 산불피해 위로…여왕 안동 방문도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535 野 "마은혁 임명" 압박에…與 "그럼 문형배·이미선 후임도 뽑자" 랭크뉴스 2025.03.31
46534 대학 강의실에 부장님이?… 신용보증기금이 금융교육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1
46533 “다 오릅니다” 라면·우유·버거 줄인상… 정국 불안 노렸나 랭크뉴스 2025.03.31
46532 [단독] ‘21년째 비정규직’ 노인 일자리사업 담당자를 아시나요···노조 첫 출범 랭크뉴스 2025.03.31
46531 [단독] 국내 위스키 1·2·3위 모두 매물로 나와 랭크뉴스 2025.03.31
46530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1
46529 트럼프 "휴전합의 안 하면 원유 25% 관세" 랭크뉴스 2025.03.31
46528 공매도 전면 재개…“개미들은 떨고 있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