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윌모어·윌리엄스, 지구 출발 287일 만에 귀환
당초 탔던 우주선에서 문제 발생해 장기 체류
트럼프·머스크, 전임 행정부 거론하며 비판도
NASA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62)와 수니 윌리엄스(59)를 태운 우주선이 멕시코만에 18일(현지시간) 착수하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지구 상공 400㎞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9개월여간 고립됐던 우주비행사 2명이 마침내 지구로 돌아왔다. 당초 예정된 임무 기간은 단 8일이었다. 지구 귀환용 우주선에 기술적 문제가 생기면서 예기치 못하게 우주에서 장기 체류한 것이다.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들이 전임 행정부에 의해 사실상 버려졌다”고 주장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ISS에 체류하던 NASA 소속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62)와 수니 윌리엄스(59) 등을 태운 스페이스X의 우주선 ‘드래건’이 지구로 돌아왔다고 발표했다. 드래건은 이날 오전 1시5분쯤 ISS를 떠나 약 17시간 비행한 끝에 같은 날 오후 5시57분쯤 멕시코만에 착수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수니 윌리엄스가 지난 18일(현지시간) 지구 도착 직후 엄지를 치켜올리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가 지난 18일(현지시간) 지구 도착 직후 스페이스X 관계자들의 부축을 받으며 우주선 ‘드래건’ 밖으로 나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드래건이 지구 대기권에 진입해 바다에 낙하하고, 우주비행사들이 동체 바깥으로 나오는 장면은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됐다.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드래건 밖으로 나온 뒤 주변을 향해 활짝 웃는 등 비교적 건강한 모습을 보였다.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지구를 떠난 지 287일만에 귀환했다. 9개월이 넘도록 ISS에 머문 것인데, 당초 예정된 체류 기간은 8일에 불과했다. 예기치 못한 장기 우주 임무를 수행한 것이다.

이런 상황이 벌어진 데에는 이유가 있다. 지난해 6월 두 사람은 미국 보잉사가 제작한 우주선 ‘스타라이너’를 타고 지구 상공 400㎞에 떠 있는 ISS에 도착했다. 그런데 ISS 도착 뒤 스타라이너 동체에서 헬륨 가스가 새는 등 기술적인 문제가 나타났다. NASA는 우주비행사를 스타라이너에 태워 지구로 데려오기에는 불안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스타라이너를 빈 상태로 지구로 귀환시킨 것이다.

이 때문에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자신들을 지구로 데려다 줄 다른 우주선을 기다려야 하는 처지가 됐다. NASA는 보잉의 스타라이너 대신 스페이스X의 우주선 드래건을 이용하기로 했다. 그런데 드래건을 이용한 ISS 우주비행사 교대 주기를 맞추려다보니 윌모어와 윌리엄스가 장기간 우주에 머무는 일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이들은 우주 체류 중 과학 실험과 ISS 시설관리 등을 수행했다.

윌모어와 윌리엄스가 ISS에 고립된 상태는 정치적 문제로도 번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에 의해 사실상 우주에 버려진 용감한 우주비행사 2명을 (지구로) 데려 오라고 일론 머스크와 스페이스X에 요청했다”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머스크도 비슷한 시기에 두 우주비행사를 더 일찍 귀환시키자는 자신의 제안을 바이든 행정부가 ‘정치적인 이유’로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NASA는 제한된 예산 등의 문제 때문에 윌모어와 윌리엄스를 신속히 데려오기 어려웠을 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백악관은 엑스(X)에 “약속은 지켜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9개월 동안 고립된 우주비행사들을 구출하겠다는 약속을 했었다”는 글을 게시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69 미얀마, 여진 속 필사의 '맨손' 구조활동…국제사회 지원 속도 랭크뉴스 2025.03.30
46368 글로벌 관세 전쟁, 서비스 분야로 확대될 수도… “美 빅테크에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3.30
46367 한덕수의 침묵... 총리실 "마은혁 임명에 아무 말도 없다" 랭크뉴스 2025.03.30
46366 강민국, '연쇄 탄핵' 압박에 "이런 국회 해산해야‥총사퇴 각오" 랭크뉴스 2025.03.30
46365 화재 취약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64 기동대 숙박비만 13억 썼다…尹선고 지연에 피로 쌓이는 경찰 랭크뉴스 2025.03.30
46363 야권,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권한쟁의심판·재탄핵···늦어지는 탄핵심판에 카드 총동원 랭크뉴스 2025.03.30
46362 한예슬에 "나잇값 좀 하자"…벌금형 받은 악플러 2심 무죄, 왜 랭크뉴스 2025.03.30
46361 BTS 뮤직비디오 ‘피 땀 눈물’ 유튜브 10억뷰 돌파 랭크뉴스 2025.03.30
46360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59 검찰, ‘사드 기밀 유출 의혹’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 소환 랭크뉴스 2025.03.30
46358 암 환자 절반 수술 한 달 밀려…의정 갈등에 전공의 공백 탓 랭크뉴스 2025.03.30
46357 '10조 필수추경'에 與 "적절" 野 "효과 의문"…협상 험로 예고 랭크뉴스 2025.03.30
46356 불 붙은 꿩 때문에 산불, 그래도 실화자 처벌…경북 산불 용의자는 랭크뉴스 2025.03.30
46355 한덕수 권한대행, “4월1일 마은혁 임명” 野 압박에도 ‘침묵’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54 의대생 '휴학' 단일대오 깨졌다…데드라인 앞두고 대규모 등록 러쉬 랭크뉴스 2025.03.30
46353 완공 앞둔 공장도 폭파한 완벽주의…수소·AI로 무장한 鐵의 제국 랭크뉴스 2025.03.30
46352 국민의힘 초선, '줄탄핵' 예고에 "'내란 정당' 민주당 해산 고려해야" 랭크뉴스 2025.03.30
46351 민주 초선들, 與 ‘내란선동죄 고발’ 방침에 ‘무고죄’ 맞불 예고 랭크뉴스 2025.03.30
46350 역주행 승용차, 경차 들이받아 80대 3명 숨져···운전자 ‘급발진’ 주장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