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윌모어·윌리엄스, 지구 출발 287일 만에 귀환
당초 탔던 우주선에서 문제 발생해 장기 체류
트럼프·머스크, 전임 행정부 거론하며 비판도
NASA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62)와 수니 윌리엄스(59)를 태운 우주선이 멕시코만에 18일(현지시간) 착수하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지구 상공 400㎞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9개월여간 고립됐던 우주비행사 2명이 마침내 지구로 돌아왔다. 당초 예정된 임무 기간은 단 8일이었다. 지구 귀환용 우주선에 기술적 문제가 생기면서 예기치 못하게 우주에서 장기 체류한 것이다.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들이 전임 행정부에 의해 사실상 버려졌다”고 주장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ISS에 체류하던 NASA 소속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62)와 수니 윌리엄스(59) 등을 태운 스페이스X의 우주선 ‘드래건’이 지구로 돌아왔다고 발표했다. 드래건은 이날 오전 1시5분쯤 ISS를 떠나 약 17시간 비행한 끝에 같은 날 오후 5시57분쯤 멕시코만에 착수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수니 윌리엄스가 지난 18일(현지시간) 지구 도착 직후 엄지를 치켜올리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가 지난 18일(현지시간) 지구 도착 직후 스페이스X 관계자들의 부축을 받으며 우주선 ‘드래건’ 밖으로 나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드래건이 지구 대기권에 진입해 바다에 낙하하고, 우주비행사들이 동체 바깥으로 나오는 장면은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됐다.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드래건 밖으로 나온 뒤 주변을 향해 활짝 웃는 등 비교적 건강한 모습을 보였다.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지구를 떠난 지 287일만에 귀환했다. 9개월이 넘도록 ISS에 머문 것인데, 당초 예정된 체류 기간은 8일에 불과했다. 예기치 못한 장기 우주 임무를 수행한 것이다.

이런 상황이 벌어진 데에는 이유가 있다. 지난해 6월 두 사람은 미국 보잉사가 제작한 우주선 ‘스타라이너’를 타고 지구 상공 400㎞에 떠 있는 ISS에 도착했다. 그런데 ISS 도착 뒤 스타라이너 동체에서 헬륨 가스가 새는 등 기술적인 문제가 나타났다. NASA는 우주비행사를 스타라이너에 태워 지구로 데려오기에는 불안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스타라이너를 빈 상태로 지구로 귀환시킨 것이다.

이 때문에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자신들을 지구로 데려다 줄 다른 우주선을 기다려야 하는 처지가 됐다. NASA는 보잉의 스타라이너 대신 스페이스X의 우주선 드래건을 이용하기로 했다. 그런데 드래건을 이용한 ISS 우주비행사 교대 주기를 맞추려다보니 윌모어와 윌리엄스가 장기간 우주에 머무는 일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이들은 우주 체류 중 과학 실험과 ISS 시설관리 등을 수행했다.

윌모어와 윌리엄스가 ISS에 고립된 상태는 정치적 문제로도 번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에 의해 사실상 우주에 버려진 용감한 우주비행사 2명을 (지구로) 데려 오라고 일론 머스크와 스페이스X에 요청했다”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머스크도 비슷한 시기에 두 우주비행사를 더 일찍 귀환시키자는 자신의 제안을 바이든 행정부가 ‘정치적인 이유’로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NASA는 제한된 예산 등의 문제 때문에 윌모어와 윌리엄스를 신속히 데려오기 어려웠을 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백악관은 엑스(X)에 “약속은 지켜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9개월 동안 고립된 우주비행사들을 구출하겠다는 약속을 했었다”는 글을 게시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632 새로운 車보험 비교·추천 20일 출시… 온라인 채널과 보험료 일원화 랭크뉴스 2025.03.19
31631 강남3구·용산 전체 아파트 ‘토허제’ 묶인다…갭투자 차단 랭크뉴스 2025.03.19
31630 고개 숙인 오세훈 "예상 밖 집값 급등 뼈아파...심려 끼쳐 송구" 랭크뉴스 2025.03.19
» »»»»» [영상]‘ISS 9개월 고립’ 우주비행사들, 마침내 지구 귀환…정치적 문제 비화도 랭크뉴스 2025.03.19
31628 [속보] 40개 의대 총장들 "의대생 집단 휴학계, 모두 반려 조치" 랭크뉴스 2025.03.19
31627 지난해 지구 ‘기후변화 마지노선’ 1.5도 처음 돌파…WMO "더 늦기 전에 전세계 노력해야" 랭크뉴스 2025.03.19
31626 머리 아파 약 많이 먹었더니 더 심해진 두통··· 약 끊어야 낫는다 랭크뉴스 2025.03.19
31625 ‘새마을식당 직원 블랙리스트 있다?’…백종원 또 논란 랭크뉴스 2025.03.19
31624 박지원·박은정 “윤석열 선고 21일 예상…늦어질수록 혼란 심화” 랭크뉴스 2025.03.19
31623 이재명 "최상목, 몸 조심해라... 이 순간부터 국민이 체포 가능" 랭크뉴스 2025.03.19
31622 검찰, '1.4조 먹튀' 코인 업체 대표 법정에서 찌른 50대에 징역 10년 구형 랭크뉴스 2025.03.19
31621 '러시아 귀화 15년차' 빅토르 안, 이젠 "러 쇼트트랙의 상징" 평가까지 랭크뉴스 2025.03.19
31620 헌재 숙고 두고 "만장일치 위한 것"‥"국민적 저항에 논의 격렬" 랭크뉴스 2025.03.19
31619 강남 집값 밀어올린 '토허제 해제'...정부, 한 달 만에 "확대 재지정" 랭크뉴스 2025.03.19
31618 “변화하는 AI·반도체 시장에 대응 못했다”… 467만 주주 앞에서 반성·사과 반복한 삼성전자 랭크뉴스 2025.03.19
31617 두산밥캣, 배터리팩 사업 진출…LG엔솔과 건설장비용 제품 개발 맞손 랭크뉴스 2025.03.19
31616 이재명 "최상목 몸조심"…野, 이런 발언 세 달간 25번 쏟아냈다 랭크뉴스 2025.03.19
31615 유령회사 세우고, 가족에게 몰아주고···국고보조금 부정수급 ‘역대 최다’ 적발 랭크뉴스 2025.03.19
31614 푸틴 시간끌기 성공…'무늬만 휴전' 관측에 속타는 우크라 랭크뉴스 2025.03.19
31613 SK하이닉스, 업계 최초로 ‘HBM4’ 샘플 공급…6세대 경쟁 본격화 랭크뉴스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