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압구정, 잠원까지 퍼진 집값
거래 늘자 매물 늘며 힘겨루기 들어간 잠삼대청
"정치적 불확실성·경기하방" 변수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단지 내 건설사들의 ‘정비구역 지정 고시’ 축하 현수막이 걸려 있다. 백주연 기자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백주연 기자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단지 내 건설사들의 ‘정비구역 지정 고시’ 축하 현수막이 걸려 있다. 백주연 기자

[서울경제]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이후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 아파트 매매가가 급등하면서 압구정동과 잠원동 단지까지 호가가 5억원씩 올랐다. 다만 고가 지역인 압구정동과 잠원동은 매도자들이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에 매물을 거둬들이며 실제 거래는 뜸한 상황이다.

17일 서초구 잠원동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신축으로 분류되는 6년차 래미안신반포리오센트 전용 84㎡는 매도 호가가 38억원부터 시작한다. 동일 면적이 지난해 9월 33억4000만원에 신고가를 기록한 후 올해 1월 32억7000만원에 하락 거래됐던 것에 비하면 5억원 이상 호가가 폭등한 셈이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 대표는 "잠원동은 반포동 단지를 따라 키 맞추기 하는 시장"이라며 "토허제 해제 이후 반포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잠원동도 시차를 두고 따라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달 초 이후 계약 건이 없는 상황에도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에 집주인들이 매도를 보류하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전용 면적 108㎡는 토허제 해제 직후인 지난달 19일 52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3월 거래가인 42억5000만원과 비교하면 10억원이 올랐고 두 달 전에 비해 2억원이 올랐다.

압구정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압구정동은 여전히 토허제로 묶여있어 매수 부담이 크지만 프리미엄 시장 특성상 계약이 한 건씩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며 "잠삼대청을 팔고 오는 수요보다는 집 크기를 넓히려는 같은 단지나 압구정동 안에서의 이동이 많은 편"이라고 말했다.

'잠삼대청'은 토허제 해제 이후 매물 2건 중 1건이 신고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허제 해제 이후 집값 상승 폭이 크지 않고 거래량이 급증하지 않았다는 서울시의 해명과는 달리 거래량이 증가하며 4년간 억눌렸던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토허제 해제 전·후 잠삼대청의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115건에서 168건으로 46.0%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잠실 68건→72건 △삼성 9건→34건 △대치 28건→34건 △청담 10건→28건으로 나타났다. 증가율은 삼성동이 277.7%로 가장 높았고 청담 180.0%, 대치 21.4%. 잠실 5.8% 순이었다.

신고가 비중은 잠실을 제외하면 모두 50%를 넘었다. 삼성의 경우 34건의 거래 중 24건의 신고가 기록이 나온 가운데 △청담(17/28) △대치(20/34) △잠실(26/72)의 순으로 신고가 비중이 높았다.

토허제 해제 이후 송파구의 잠실 엘스·리센츠·트리지움(엘리트)이 가장 큰 수혜 단지로 꼽혔지만 오히려 강남구의 삼성·청담·대치동 아파트 단지가 전고점을 뚫고 새로운 신고가를 기록 중인 셈이다.

강남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잠실이 오르면 강남 아파트 가격은 더 오를 수밖에 없다"며 "잠실 단지는 최근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매물이 쌓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청담자이 전용 84㎡의 경우 지난달 19일 37억50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전고점 대비 3억4000만원 오른 가격이다. 현재 호가 평균은 40억2000만원이다.

줄곧 토허제 해제로 인한 집값 상승이 없다고 주장해 온 서울시는 이달 16일에서야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집값이 평균 3.7% 올랐다며 집값 상승세를 인정했다.

이에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다. 이어 "확실히 일주일 동안 거래가 성사된 물량이 많이 늘었다. 이것은 이상 조짐"이라며 "거래량 변화와 가격 상승 정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말했다. 그는 앞서 10일에도 "집값 상승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면 다시 규제를 검토할 수 있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전문가들은 토허제 해제와 시의 대응으로 인해 매수 심리가 폭발했다고 분석하며 금리 인하 등으로 올해 하반기까지 상승장이 지속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탄핵 선고 결과에 따른 대선 가능성, 트럼프 발 경기 하방 가능성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해 다시 아파트 가격이 정체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강남3구의 매물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 앱 아파트실거래가에 등록된 매물량을 분석한 결과 서초구는 1만4166개로 20일 전 대비 9% 증가해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강남구는 1.8%, 송파구는 0.1% 증가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30 미얀마강진 사망 1천여명으로 급증…붕괴 건물서 시신 속속 발견(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6029 '기밀' 군사회담인데 떡하니…민간인 부인과 동석한 美국방장관 랭크뉴스 2025.03.29
46028 日 언론 “中 정부, 韓에 시진핑 APEC 참석 의향 전달… 공식방문 검토” 랭크뉴스 2025.03.29
46027 [날씨] 아침 영하권 꽃샘추위…건조하고 강풍 불어 산불 조심 랭크뉴스 2025.03.29
46026 밀착하는 새로운 '악의 축' CRINK…우크라 종전 여부에 갈림길 랭크뉴스 2025.03.29
46025 NC 창원 경기장 구조물, 관중 3명 덮쳤다…"머리 다쳐 수술 중" 랭크뉴스 2025.03.29
46024 “파면될 때까진 나와야죠”…꽃샘추위에도 광장 메운 ‘탄핵 촉구’ 시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23 마지막 1% 남은 지리산 산불…밤샘 진화 돌입(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6022 "산불, 대체 몇 수 앞 내다본 거냐"…충주맨 3주 전 올린 '영상' 뭐길래? 랭크뉴스 2025.03.29
46021 "방금 '껌' 하나 씹으셨죠? 미세플라스틱 3000개 드셨습니다" 랭크뉴스 2025.03.29
46020 "李 무죄에 천불" "尹 언제 파면"…꽃샘추위 속 '탄핵 찬반' 격돌 랭크뉴스 2025.03.29
46019 적십자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강진으로 아파트 붕괴… 90여명 매몰” 랭크뉴스 2025.03.29
46018 中, 7.7 강진 미얀마에 200억원 긴급 원조… “국제 구조대 가장 먼저 파견” 랭크뉴스 2025.03.29
46017 4·2 재보선, 전국 23개 선거구 사전투표율 7.94% 랭크뉴스 2025.03.29
46016 "옆 동네는 사람이 죽었는데 축제가 웬 말"…행사 축소에도 '진해군항제' 논란 랭크뉴스 2025.03.29
46015 진화율 99%…지리산 산불 잡기 총력 랭크뉴스 2025.03.29
46014 점복 대신 에이, 레몬 대신 귤…'폭싹',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6013 "어머, 이 눈 맞으면 큰일나겠는데?"…수도권서 '검은 눈' 주의보 랭크뉴스 2025.03.29
46012 결국 4월로 넘어간 尹선고…서울 도심서 '탄핵 찬반' 총력전 랭크뉴스 2025.03.29
46011 떨어진 신발 밑창 뚝딱 고치던 거리의 기술자, 사라지지 말아요[수리하는 생활]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