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81명 제2·3경추 신경차단 시술
통증 7.4점서 최고 2.6점까지 낮아져
통증 7.4점서 최고 2.6점까지 낮아져
약물치료에도 낫지 않는 난치성 두통에 효과적인 치료 대안이 제시됐다. 뒤통수의 감각을 관장하는 제2, 3 경추 신경을 국소 마취제로 마비시키는 방법이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외과 정문영 교수와 인제대 부산백병원 이원희 교수 연구팀은 난치성 두통 환자에게 제2, 3 경추 내측까지 신경차단술이 유효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대한신경외과학회지 최신호에 발표했다.
두통은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경험하는 의학적 문제 중 하나지만 현재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춘 치료에 머물러 있다. 특히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두통 환자에게는 효과적인 치료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난치성 두통은 전체 환자의 3~4%가량이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2019년 1월~2022년 3월 제2, 3 경추 내측 가지 신경차단술을 받은 난치성 두통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107건의 치료 효과를 분석했다. 신경차단술은 X선 영상을 보면서 로피바카인이라는 국소 마취제를 한 번 혹은 경우에 따라 반복적으로 주입하는 방식이다.
분석 결과 시술 전 평균 통증 척도(VAS)는 10점 만점에 7.4점이었으나 시술 후 1~3일째는 2.6점, 3~7일째는 3.6점으로 많이 감소했다. VAS는 3개월 후에도 4.5점을 유지해 장기적인 효과가 입증됐다.
또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조사 결과 시술 3일 차에 90% 이상 통증 감소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환자는 40.2%였다. 통증 감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유지됐다.
이론적으로 머리 뒤쪽 절반과 목 위쪽의 감각은 제2, 3 경추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된다. 정 교수는 24일 “경추 2, 3 신경은 두통의 가장 흔한 형태인 ‘일차성 두통’의 발생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척수삼차신경핵’에 직접 연결돼 있어 그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신경차단술이 난치성 두통 환자들에게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