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던진 마지막 승부수는 개헌이었다. 윤 대통령은 25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최종변론에서 “잔여 임기에 연연해하지 않고, 개헌과 정치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해 87체제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직무복귀를 전제로 임기단축 개헌 카드
를 꺼낸 것이다.

그러나
끝내 12·3 불법계엄에 대한 반성은 없었다. 정치권에서 기대했던 ‘결과에 대한 승복’ 메시지도 없었다. 오히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을 북한과 결탁한 내란 공작 세력이라고 강변
했다. 이로써 국민의힘은 ‘계엄의 강’을 건너기엔 너무 큰 암초를 만났다. 탄핵 인용 결정 시 조기 대선 모드로 전환해 중도 확장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통합보다는 분열의 메시지에 가까운 윤 대통령의 최후 진술에 여당 전체가 발목 잡힐 가능성이 커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최후진술을 통해 “제가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면 먼저 87체제를 우리 몸에 맞추고 미래세대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개헌과 정치개혁의 추진에 임기 후반부를 집중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결국 국민통합은 헌법과 헌법가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개헌과 정치개혁이 올바르게 추진되면 그 과정에서 갈라지고 분열된 국민들이 통합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되면 현행 헌법상 잔여 임기에 연연해할 이유가 없고 오히려 제게는 크나큰 영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개헌 구상은 구체적이지 않았다. 1만9,000여 자 분량 중 700여 자 분량 정도의 작은 비중이었다.

당초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이 하야를 통해 정면으로 상황을 돌파하려 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하야는 헌재를 압박할 수 있는 최후의 카드로 거론됐다. 하지만 결과는 실체가 모호한 개헌과 책임 회피성 임기 단축이었다. 여권 관계자는 “(계엄이)
헌법 위반 소지가 있지만 대통령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겠다고 한다면 헌재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일방적으로 선고하는 데 부담을 느낄 수 있었을 것
”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구체적 개헌 플랜 없이, 그것도 탄핵 기각을 가정해 직무복귀 계획을 언급한 건 민심에 역행하는 일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 교수는 "
성찰 없는 자기 합리화"라며 "(개헌 등 최후 진술이) 헌재 재판관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고, 국민들에게도 감동을 주지 못할 것"
이라고 평가했다.

오히려 최후진술로 국론분열 양상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고조됐다. 야당을 반국가세력이라고 규정한 기존 문법 그대로였고 통합이나 화합의 메시지는 전무했다. 서부지법 폭동 등으로 드러난 일부 2030 지지층을 겨냥해 “계엄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로 이미 많은 국민과 청년들께서 상황을 직시”, “저의 구속 과정에서 벌어진 일들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청년”이라고 부추겼다. ‘헌재 선고 결과에 대한 승복 메시지’가 없다는 점에서 중도 확장이 절실한 여당은 되레 궁지에 몰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민의힘의 평가는 엇갈렸다. 한 지도부 핵심 의원은 "
윤 대통령이 잔여 임기에 연연하지 않고 개헌과 정치개혁을 말한 대목은 의미심장하다
”라며 “대통령의 고민을 당이 어떻게 받아 보조를 맞출 것인지 고민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택한 상황을 진솔하게 설명했다”라며 “
윤 대통령의 변론이 국민을 설득할 수 있을 거라고 본다"
고 말했다.

반면 사과가 부족한 데다, 국면 전환용 개헌 카드에 진정성이 없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당의 다른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12·3 계엄 직후 ‘문제 될 거 없다’는 대국민 담화를 냈는데, 최후 변론도 다를 것 없는 내용”이라며 “
당시 질서 있는 퇴진 등의 약속을 모두 뒤집었기 때문에 이번 개헌 등도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고 지적했다. 수도권 다선 의원은 “
국민들은 개헌을 상황 모면용이라고 보지 진정성 있게 생각하지 않을 것
”이라며 “다만 논의가 가열된다면 의미가 있을 수는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67 국회 “권력으로 주권자 공격” 윤 측 “계엄은 경고성”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66 비트코인, 9만달러선 붕괴…한때 8만5천달러대 거래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65 독일 중앙은행, 고금리 탓 45년 만에 적자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64 88억짜리 '황금 변기' 5분 만에 뜯어갔다… 98㎏ 금은 어디에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63 불법 투견 암암리 ‘성행’…훈련장은 단속 사각지대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62 윤 "복귀하면 임기단축개헌·책임총리제"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61 뉴욕증시, 기술주 매도에 급락 출발… 나스닥 1.83%↓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60 "죽은 승객이 4시간 동안 옆 좌석에"…이탈리아 여행 가던 부부 '봉변'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9 “다리 통과 5초 후 와르르… 차가 흔들렸다”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8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오늘 결심공판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7 1.5% 쇼크…한은 올 성장률 0.4%P 낮췄다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6 英, 2027년까지 국방비 GDP 2.5%로 증액…국제지원은 삭감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5 '윤 탄핵심판' 변론 종결‥반성은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4 “AI야, 내 얘기 좀 들어줄래?” 10대들 상담창구라는데…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3 윤 “임기 연연 않겠다” 임기단축 개헌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2 "경력은 있지만 신입입니다!"…포스코 '중고 신입' 모집 논란,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1 [尹 최후진술 전문] “비상계엄은 ‘대국민 호소’…개인 위한 것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50 트럼프와 디리스킹 [유레카]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49 "화장실 하루 10번, 23㎏ 빠졌다" 세계 1위 유튜버 투병 고백 new 랭크뉴스 2025.02.26
47548 윤석열, ‘간첩’ 얘기만 25회…“멀쩡해 보여도 국가 위기 상황” new 랭크뉴스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