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형수 브래드 시그먼. 사진 제공=사우스캐롤라이나 교도소

[서울경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한 사형수가 자신의 사형 방법으로 ‘총살형’을 직접 선택했다. 총살형이 진행된다면 사우스캐롤라이나 역사상 첫 사례이자 미국 전체에서는 15년 만의 집행이다.

지난 22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한 교도소에 수감 중인 브래드 시그먼(67)은 오는 3월 7일 자신의 사형 집행 방법으로 총살형을 선택했다. 앞서 교도소 측은 시그먼에게 고압 전류로 감전시켜 사형하는 ‘전기 의자’, 주사로 약물을 투여하는 ‘독극물 주사’, 총으로 심장 등을 저격하는 ‘총살’ 등 세 가지 선택을 제시했다고 한다.

현재 미국에서 총살형을 법적으로 허용하는 주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유타, 미시시피, 오클라호마, 아이다호 등 총 5개 주다. 다만 실제로 총살형이 집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미국 근대 역사에서 총살형을 집행한 주는 유타뿐이었다. 유타에서는 1977년과 1996년에 이어 가장 최근인 2010년까지 사형 방법으로 총살이 이용됐다. 총살형은 그간 가장 폭력적인 처형 방식으로 지적됐다.

각각의 사형 방법 중 실패율이 가장 높은 것은 주사형이다. 주사형은 7.12%로 가장 실패율이 높다. 전기 의자형은 1.92%로 낮은 실패 확률을 가졌지만 간혹 실패하기도 한다. 총살은 유일하게 실패율이 0%인 사형 방법이다. 시그먼 담당 변호사 제러드 보 킹에 따르면 그는 “(전기의자는) 나를 산 채로 구워버릴 것”이라며 총살형을 선택했다고 한다. 그 역시 총살형이 가장 폭력적이라고는 생각하지만 실패율이 높은 주사 역시 선택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보 킹은 이어 과거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독극물 주사가 잘 듣지 않아 20분 이상의 고통을 겪다 숨진 사형수들의 사례를 언급하며 “전기 의자는 너무 잔인하고, 독극물 주사는 신뢰할 수 없다. 그래서 그에게 남은 옵션은 총살형뿐이었다”고 했다.

보 킹은 사형수에게 직접 죽음의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교정 당국을 비난하기도 했다. 그는 “이것은 정의가 아니다”라며 “사형수들에게 극도로 끔찍한 방식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강요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시그먼은 가장 덜 고통스러운 방식이 무엇인지 스스로 결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에서 총살형을 법적으로 허용하는 주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유타, 미시시피, 오클라호마, 아이다호 등 총 5개 주다. 다만 실제로 총살형이 집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미국 근대 역사에서 총살형을 집행한 주는 유타뿐이었다. 유타에서는 1977년과 1996년에 이어 가장 최근인 2010년까지 사형 방법으로 총살이 이용됐다.

한편 시그먼은 2001년 사우스캐롤라이나 테일러스에서 전 여자친구의 부모를 살해한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당시 시그먼은 전 여자친구 납치 시도까지 했지만, 전 여자친구가 차량에서 탈출해 도망치면서 이는 미수에 그쳤다. 시그먼은 도망치는 전 여자친구를 향해 총을 쏘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는 당시 조사에서 “내가 그녀를 가질 수 없다면 다른 누구도 그녀를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자백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80 尹 “직무 복귀하면 개헌에 집중…남은 임기 연연 안해”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9 [속보] 尹 대통령 "국민께 혼란과 불편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8 [속보] 尹 "잔여 임기 연연 않겠다"…임기단축 개헌 꺼냈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7 피할 새 없이 5초 만에 '와르르'… 콘크리트 구조물 붕괴로 작업자 4명 참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6 “尹 파면”“공산당 가라”… 인근 찬탄·반탄 집회로 난장판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5 [속보] 윤 대통령 “국가 위한 계엄이었지만 혼란·불편 끼쳐 죄송”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4 불난 집 뜯은 문, 소방관이 배상?…"예산 있다" 소방청장 해명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3 [속보] 尹 “비상계엄, 망국적 상황을 알리는 것… 상당 부분 목적을 이뤘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2 스위스까지 날아가 ‘존엄사’…“존엄하게 죽을 권리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1 [속보] 윤 대통령 "서서히 끓는 솥 안 개구리처럼 벼랑 끝 현실 보여"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70 尹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고 감사하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9 尹대통령 "직무 복귀하면 개헌에 집중…잔여임기 연연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8 제주·송도? 요샌 여기다…한가인도 픽한 '국제학교 대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7 [속보] 윤석열, 최종변론 7시간 지각 출석…저녁 9시께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6 [속보] 윤 대통령 “복귀하면 개헌 추진…잔여 임기 연연하지 않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5 정청래 소추단장 “헌법·민주 말살하려 한 윤 대통령 파면돼야 마땅”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4 윤 대통령 최후진술 진행 중…이 시각 헌법재판소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3 ‘땅! 땅! 엔진 굉음’ 진에어 긴급 회항…승객들 ‘공포’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2 “저는 계엄으로 계몽되었습니다” 헌재 변론서 ‘14개월 딸엄마’ 밝힌 김계리 변론이…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61 [속보]윤석열 최후 진술 “비상계엄, 합법적 권한 행사···목적 상당 부분 이뤄”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