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경력 속이고 신안군에 설치 제안
필리핀과 중국에서 조각상 들여와
필리핀과 중국에서 조각상 들여와
하의도에 설치된 천사상 조각상. 신안군 제공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향인 전남 신안 하의도에 있는 천사상이 존폐의 갈림길에 섰다. 조각상을 납품한 조각가가 학력과 경력을 속인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25일 신안군 등에 따르면 대구지법 제12형사부는 지난 20일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A씨(72)에 대해 징역 2년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했다.
A씨는 전남 신안군과 경북 청도군에 허위 이력을 내세워 조각 작품을 납품한 혐의를 받는다. 재판부는 청도군의 경우 “학력을 속여 접근한 기망 행위가 있었다”고 유죄 판결한 반면, 신안군은 “경력을 속인 것은 맞지만 사기 고의가 있다고 보기는 보기 어렵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A씨는 지난 2019년 6월 하의도에 개관한 ‘천사상 미술관’ 조성사업에 대표작가로 참여했다. 이 미술관은 섬 곳곳에 318점의 천사조각상과 3점의 기념조형물 등 321점의 작품을 납품받아 조성됐다.
당시 A씨는 신안군에 기부 의사를 밝히는 편지를 보내며 자신이 파리 7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일본 ‘나가사키 피폭 위령탑’ 조성 등에도 참여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김 전 대통령의 고향인 하의도를 ‘평화의 섬, 천사의 섬’으로 조성하겠다며 조각상 설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의도에 설치된 천사상 조각상. 신안군 제공
군은 A씨가 국내에서 천주교 성상제작 등에 참여한 사실과 관련 언론보도 등을 확인하고 작품을 구매했고 대금으로 19억원을 지급했다. 또 A씨에게 미술관 조성사업의 공로를 인정해 명예군민증을 수여했다.
하지만 A씨는 파리 7대학 교수로 재임할 당시 청송보호소에 수감돼 있었으며, 나가사키 피폭 위령탑 조성에도 참여하지 않은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또 그가 설치한 조각상은 필리핀과 중국의 조각 공원에서 들여온 것으로 드러났다.
군은 A씨의 학력과 경력이 허위로 드러나자 지난해 조각상 설치 경위를 설명한 표지석을 철거하고 안내문에서도 A씨의 이력을 삭제했다.
군은 조각상 작품의 존치 여부에 대해서는 공론화를 통해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검찰의 항소 여부 등을 고려해 판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