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승희(왼쪽), 김도헌 연구위원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DI FOCUS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인 소득 ‘하위 70%’에 주는 기초연금의 지급(선정) 기준이 유지되면서 재정이 과도하게 지출되고 있다는 국책연구원 분석이 나왔다. 지급 기준을 ‘중위소득’으로 개편해 비용을 절감하면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을 두텁게 지원할 수 있을 것이란 제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기초연금 선정 방식 개편 방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현행 기초연금은 전체 노인 인구 중 소득인정액 하위 70%에 지급된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자산소득·사업소득 등 소득평가액과 자산을 소득화한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것이다.

현행 제도를 유지하는 경우 기초연금 수급자는 올해 736만명에서 2050년 1324만명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기초연금 지출 규모는 현재 정부가 시행 중인 복지 사업 중 가장 크다. 기초연금 지출액은 2014년 6조8000억원에서 2023년 22조6000억원, 올해 27조원, 2050년 46조원 등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KDI는 설명했다.



KDI는 고령층의 소득과 자산 규모가 커지면서 노인 빈곤이 개선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소득의 중간값인 기준중위소득(2인 가구 기준) 대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2015년 56%에서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94%까지 올랐다. 추세대로라면 이 비율은 2030년에 10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인구의 소득보다 노인 인구의 소득이 더 빠르게 늘어나면서 중위소득에 가까운 노인까지 연금을 받게 되는 것이다. KDI는 “노인의 경제상황이 나아지더라도 선정기준액이 같이 상승하면서 결과적으로 (소득과 무관하게) 70%의 노인이 기초연금의 수혜를 받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KDI는 현 ‘노인 중 소득인정액 하위 70%’인 선정기준액을 ‘전체 인구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첫째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자로 일괄 조정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자에서 시작해 매년 일정한 비율로 감소시켜 2070년 기준중위소득 50% 이하까지 낮추는 방식이다.

KDI는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 2070년까지 누적 재정지출이 1905조원에 달한다고 봤다. 반면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 100%로 고정할 경우 누적 재정지출은 약 1710조원으로, 현행 대비 약 195조원(약 10%) 절감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 100%에서 50%로 줄여 나갈 때 누적 재정지출은 1465조원으로, 현행 대비 440조원(약 23%) 절감될 것으로 내다봤다.

재정지출 감소를 통해 월 기준연금액도 높일 수 있다. 기준중위소득 100% 고정일 경우 현행 39만9000원에서 2026년엔 44만1000원으로 인상할 수 있다.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 100%에서 50%로 줄일 경우엔 2026년엔 51만1000원까지 높일 수 있다. 보고서는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에 연동할 경우 저소득층 노인의 빈곤 완화에 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65세 이상 1인가구 월소득 228만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올해부터 65세 이상 단독가구는 월소득이 228만원 이하, 부부가구는 364만8000원 이하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을 이같이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노인 가구별 월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보다 적으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 소득인정액은 노인 가구의 근로·연금소득과 일반·금융재산, 부채 등을 합쳐 월소...https://www.khan.co.kr/article/202501011201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85 교각 상판 빔 설치도중 210m 구간 ‘와르르’…“상부 구조물 결함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84 이수지 '대치맘 패러디' 뜨자…한가인, 라이딩 영상 돌연 비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83 [속보] 윤 대통령 측 “대왕고래 예산 사실상 전액 삭감…산유국 꿈 물거품 위기”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82 고양 중식당서 치정문제로 다투다 살인…50대 내연녀 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81 尹 "비상계엄 심판대상 아냐"…국회측 "파면만이 답"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80 의대 11명 추가모집에 4천813명 몰려…평균 경쟁률 438대 1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9 권영세 "조기 대선 가능성은 반반‥대선 언급 자제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8 서울 중랑·동대문·성동 26만 세대 단수...시 "자정까지 복구 목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7 [탄핵심판 최종] 윤 대통령 하야, 가능한가?‥법적 쟁점 정리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6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국토부 “교량 보 설치후 장비 철수하다 붕괴”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5 국회 측 최종변론…이광범 “尹, 민주 헌정질서 짓밟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4 서울세종고속도로 공사장 교량 '와르르'… 4명 사망 5명 중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3 [속보] 尹 측 “계엄은 야당의 정책 발목잡기·입법 폭거 때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2 국회 측 "尹 복귀하면 제2 계엄"…尹측 "입법독재로 국가 마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1 윤석열, 헌재 2시간 넘게 ‘지각 출석’…국회 변론 시간엔 빈자리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70 아동환자 299명 건드린 '성폭행 의사'…"악랄한 행동 했다" 佛발칵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69 경기 안성 고속도로 공사현장서 구조물 붕괴…4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68 [속보] 윤 대통령 측 “야당의 입법 폭거·예산 일방 삭감 등에 계엄 결심”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67 [속보] 서울 중랑·동대문구 전체, 성동구 일부 26만가구 5시부터 단수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66 "주차료 1대당 20만원 추가"…아파트 주민들 '충격'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