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절차가 오늘(25일)로 마무리됩니다.

헌재가 윤 대통령과 청구인인 정청래 의원에게 무제한 진술을 허용한 가운데, 윤 대통령의 최후진술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로 가 보겠습니다.

이원희 기자, 변론이 시작됐습니까?

[기자]

네, 오후 2시부터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의 마지막 변론이 시작됐습니다.

시작에 앞서 국회 측은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파면 결정을 촉구한다는 메시지를 냈고, 윤 대통령 측은 사과 의사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답하지 않고 재판정으로 들어갔습니다.

오늘은 국회 측과 윤 대통령 양측이 2시간씩 종합 변론을 하게 됩니다.

국회 측은 대리인 9명이 번갈아 가면서 최종 변론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윤 대통령 측은 주말과 어제에 이어 오늘 오전에도 구치소에서 윤 대통령을 접견했는데요.

조대현 전 헌법재판관과 정상명 전 검찰총장 등이 최종 변론에 나설 걸로 보입니다.

양측 변론 뒤엔 사건 당사자들의 최종 의견 진술이 이어지는데요.

사건을 청구한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피청구인인 윤 대통령이 각각 진술하게 됩니다.

둘 다 당사자이기 때문에 시간제한 없이 발언할 수 있습니다.

현직 대통령 최초로 최후 진술에 직접 나서는 윤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관심이 집중되는데요.

윤 대통령은 대리인단과 상의하며 자필로 쓴 원고를 준비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이 불가피했고 정당했다는 점을 강조할 걸로 보입니다.

계엄 사태에 대해 대통령이 진솔하게 사과하고 국민 통합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는데, 실제 관련 언급을 할지도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반대로 국회 측 정청래 위원장은 최후진술에 대통령이 파면돼야 하는 이유와 함께, 대한민국이 어떻게 사태를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가야 할지를 담았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앞으로 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전해주시죠.

[기자]

네, 헌법재판소는 오늘 마지막 변론이 끝나면 재판관끼리 의견을 나누는 평의에 들어갑니다.

탄핵 여부에 대한 의견을 모은 다음, 표결을 통해서 결론을 내는데요.

이후에 주심 재판관이 다수 의견을 토대로 결정문을 쓰고, 소수 의견이 있으면 결정문에 반영하고 보완해서 확정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때는 최종 변론이 끝나고 선고 전까지 4번의 평의와 수시 평의를 거쳐서 14일 만에 선고가 진행됐고요.

박근혜 전 대통령 때는 8번의 평의와 평결 끝에 11일 만에 파면 선고가 이뤄졌습니다.

이번에도 비슷하게 진행된다면, 이르면 다음 달 중순쯤 윤 대통령에 대한 선고 결과가 나올 걸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이현모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17 [속보] 국회 측 “비상계엄, 헌법 파괴·민주공화국 전복 행위...尹 신속히 파면돼야” 랭크뉴스 2025.02.25
47316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차 심하게 떨려” “500m 밖에서도 굉음” 랭크뉴스 2025.02.25
47315 [2보] 헌재 '마은혁 임명보류' 권한쟁의 27일 결론…오전 10시 선고 랭크뉴스 2025.02.25
47314 [육성 공개] 김건희, 명태균에 “당선인이 전화해 ‘김영선 밀으라’ 했다” 랭크뉴스 2025.02.25
47313 이라크가 한국의 천궁-II를 구매한 소름 돋는 이유 [무기로 읽는 세상] 랭크뉴스 2025.02.25
47312 [속보] 헌재, 27일 ‘마은혁 재판관 불임명 권한쟁의심판’ 선고 랭크뉴스 2025.02.25
47311 ‘교량 붕괴’ 블박 영상 운전자 “5초만 늦었으면…끔찍” 랭크뉴스 2025.02.25
47310 FIU "업비트 3개월간 신규 고객 가상 자산 입출고 제한" 랭크뉴스 2025.02.25
47309 尹탄핵심판 마지막 변론…계엄군 단전·이재명 월담영상 증거로(종합) 랭크뉴스 2025.02.25
47308 임성근 사단장 오늘 무사히 전역‥"부하 죽음 앞에 석고대죄하라" 비판 랭크뉴스 2025.02.25
47307 KDI “기초연금 재정지출 과도…노인 소득 ‘하위 70%’에서 ‘중위소득’으로 지급 기준 바꿔야” 랭크뉴스 2025.02.25
47306 [속보] FIU "업비트 3개월간 신규고객 가상자산 입출고 제한" 랭크뉴스 2025.02.25
47305 FIU, 업비트에 영업 일부정지 3개월 및 대표 문책·직원 면직 랭크뉴스 2025.02.25
47304 [속보] 헌재 ‘마은혁 임명 보류’ 권한쟁의심판 27일 선고 랭크뉴스 2025.02.25
47303 [속보] 국회 측 "尹, 비상계엄 선포한 순간 대통령 스스로 포기한 것" 랭크뉴스 2025.02.25
47302 3년 끌고 끈 숙대 ‘김건희 석사 논문 표절’ 사실상 확정 랭크뉴스 2025.02.25
47301 대검차장 "'명태균 의혹' 尹·김여사 소환, 처음부터 다시 결정" 랭크뉴스 2025.02.25
47300 김성훈 측 “대통령 체포영장, 위법 가능성 1%만 있어도 저지할 수밖에” 랭크뉴스 2025.02.25
47299 명태균 의혹 불거진 창원 산단은 제외… "폐광 발견으로 보류" 랭크뉴스 2025.02.25
47298 [속보] 헌재, ‘마은혁 임명 보류’ 권한쟁의 사건 27일 선고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