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75%로 인하했습니다.
현재 내수와 수출 모두 힘들다고 진단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도 1.5%로 낮춰잡았습니다.
하누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3.0%에서 2.75%로 0.25%포인트 낮췄습니다.
기준금리가 2%대로 내려간 건 2022년 8월 이후에 2년 6개월 만입니다.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이어 0.25%포인트씩 낮췄고, 지난달 동결하며 한 차례 쉬어 갔지만, 오늘 또 내렸습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한 건 경기 침체 전망 때문입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이라며 "금리를 인하해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은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1.5%로 낮춰 잡았습니다.
지난해 11월 발표 때는 1.9%로 전망했는데, 이번에 0.4%포인트를 한꺼번에 내렸습니다.
기획재정부가 전망한 올해 성장률 1.8%, 한국개발연구원 KDI의 전망치 1.6%보다 더 낮은 수치입니다.
한은은 현재 내수면 내수, 수출이면 수출, 다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경제 심리가 위축돼 내수 회복이 늦어지고, 미국 관세 정책 탓에 수출 증가도 더딜 거라고 예상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1월에는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 상황이 주요한 요인이었다면, 이번 전망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관세정책 등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올해 물가는 1.9% 올라 목표 수준인 2%를 밑돌 거라고 봤습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직후 금융당국은 은행 압박에 나섰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대출금리에 파급되는 효과를 면밀히 보겠다"고 말했습니다.
기준금리가 내리는데도 대출금리는 오르는 현상에 개입하겠다는 뜻입니다.
어제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금리에 시장 원리가 작동해야 한다"며 공개적으로 압박했습니다.
KBS 뉴스 하누리입니다.
영상편집:김철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