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헌법재판소 법정에서 최후진술을 한다. 탄핵심판을 받는 대통령이 법정에서 직접 최후진술을 하는 건 헌정 사상 처음이다. ‘운명의 날’을 맞는 윤 대통령의 심경과 관련, 윤 대통령의 최측근은 “워낙 민감해서 말 한마디, 단어 하나, 글자 하나조차도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이 측근은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 대통령을 접견하는 변호인단 중 한 명이다. 이 측근은 지난 22일 구치소를 찾아 윤 대통령과 최후진술에 관해 논의한 직후 중앙일보와 전화 인터뷰를 했다.


Q : 탄핵이 기각돼야 한다는 대통령 생각에는 변함이 없나.

A :
“당연하다. 대통령은 자신이 탄핵당할 만큼 잘못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부도덕했나? 권력을 탐했나? 그렇지 않다. (윤 대통령이) 탄핵에 주관적 거부감이 있다.”

Q : 옥중 근황은 어떠한가.

A :
“의연하고 담담하다. 갇혀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분노와 화를 참고 있다.”

Q : 최후진술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고 있나.

A :
“그렇다. 최후진술은 원고를 토대로 법정에서 대통령의 입장과 생각을 정리해서 발표하는 거다. 이런저런 의견들이 대통령께 전달돼 있고, 그 가운데 당신이 고민해서 직접 고치고 다듬지 않겠나.”

Q : 우호적인 여론을 만들기 위해 임기 단축 등 파격적인 방안을 제시하나.

A :
“글쎄, 어떤 얘기를 하면 (탄핵심판에) 플러스가 되냐, 마이너스가 되냐 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 이런 부분을 놓고 (윤 대통령과 변호인단이) 막상 논의하면 (의견이) 나뉘더라. 유리한 결론, 즉 탄핵 기각에 도움이 되고, 우리 지지자들이 흩어지지 않느냐 하는 부분이 참 어렵더라.”

Q : 계엄의 불가피성, 사회적 혼란에 대한 사과 등이 언급되나.

A :
“짐작할 수 있는 얘기는 담기겠지… 계엄은 뭘 해보려 해도 도대체 안 되니까, 일 좀 하게 해달라는 거였다. 얼마나 (야당이) 깽판을 쳤나, 언론은 그런 패악질을 제대로 견제 내지는 비판하지 않아 그런 건 온데간데없고 마치 대통령만 이상한 일을 한 사람처럼 돼버렸다. 그런 부분을 충분히 얘기할 것이다.”

Q : 기각될 경우 직무에 복귀해 어떤 일을 하겠다고 약속하나.

A :
“남은 기간의 정치 일정이랄까, 복귀 후 앞으로의 구상을 얘기한다. 어떤 큰 틀에서 방향을 제시하지, 구체적으로 어떤 워딩을 할지 등은 내가 지금 언급하기가 조심스럽다.”

Q : 하야설이 돌았다.

A :
“윤 대통령이 하야하는 일은 없다. (야당의) 사악한 상상력이자 희망사항이다.”

Q : ‘질서 있는 조기 퇴진설’, 즉 임기 단축을 꺼낼 수 있다는 관측이 있다.

A :
“(윤 대통령은) 구질구질한 스타일은 아니다. 이미 속내를 내비친 적이 있다. 윤 대통령이 이미(1월 15일) 체포영장이 집행되기 직전 ‘나라가 위기인데 2년반을 더 해서 무엇하겠느냐’고 말씀한 적이 있지 않으냐. 당시 아무도 이 말을 진지하게 듣지 않았다. 임기에 연연해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국가적 혼란에 대해 책임지겠다는 생각이다.”
조기 퇴진과 개헌이 최후진술에 담기는지 다시 물었다. 이 측근은 “모르겠다”고 했다. “아니다”라고 딱 잘라서 부정하지 않았다. 최후진술에 조기 퇴진과 개헌을 언급할 수 있다는 뉘앙스로 들렸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16 [단독] 한덕수 복귀 가능성에…"실적 준비하라" 바빠진 총리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215 이창용 "시장 예상대로 올해 금리 2~3회 인하 전망" new 랭크뉴스 2025.02.25
47214 [속보] 경기 안성서 고속도로 공사 중 교각 위 구조물 붕괴... 10명 매몰 랭크뉴스 2025.02.25
47213 [속보]안성 고속도로 공사현장 교량상판 붕괴…2명 사망·7명 부상, 1명 매몰 랭크뉴스 2025.02.25
47212 [단독]‘서부지법 난입’ 무전에서 드러난 ‘우왕좌왕’ 경찰···“부르면 답 해야지!” 랭크뉴스 2025.02.25
47211 [단독] 한덕수 복귀 가능성에…“실적 준비하라" 바빠진 총리실 랭크뉴스 2025.02.25
47210 한동훈 “이재명이 가장 위험, 유죄 판결 막으려 계엄 할 수도”…28일 책 출간 랭크뉴스 2025.02.25
47209 광주에 등장한 '전두환 흉내' 중국인 영상... "기가 찰 노릇" 랭크뉴스 2025.02.25
47208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이르면 내달 6일, 늦어도 내달 13일’…“만장일치 탄핵” 전망도 랭크뉴스 2025.02.25
47207 "친구야, 미안하지만 尹탄핵은 불가피"…최재형이 보낸 답신 랭크뉴스 2025.02.25
47206 [단독] 김건희 여사 숙대 논문 표절 최종 확정 랭크뉴스 2025.02.25
47205 기준금리 인하에 이복현 "가계대출 쏠림 이어지지 않게 관리해야" 랭크뉴스 2025.02.25
47204 [속보] 이창용 “올해 금리인하 횟수, 2월 포함 2~3회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25
47203 “덕분에 합격했는데…” 아내에 피살된 부동산 1타 강사 ‘충격’ 랭크뉴스 2025.02.25
47202 [단독] "판세 잘 짠다" 평판에 명태균 '스카우트'... 갈등 빚다 尹 부부 뇌관으로 랭크뉴스 2025.02.25
47201 중대재해 처벌 강화했는데…여전히 위험한 일터 [낮은곳 향하는 죽음]① 랭크뉴스 2025.02.25
47200 [속보] 17년 만에 그린벨트 손보는 정부…최상목 “해제 면적 확대” 랭크뉴스 2025.02.25
47199 [속보] 서울~세종 고속도로 천안 구간 교각 위 구조물 붕괴... 10명 매몰 랭크뉴스 2025.02.25
47198 [3보]천안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인부 3명 사망·5명 부상 추정 랭크뉴스 2025.02.25
47197 한동훈 “이재명이 가장 위험…유죄 막으려 계엄 할 수도”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