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와 관련해 지난달 19일 서울서부지법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문재원 기자
지난달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태 당시 경찰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던 사실이 경찰 무전 기록을 통해 확인됐다. 현장 지휘가 원활하지 않아 혼선을 자초한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나면서다. 경찰의 경비 실패도 윤석열 대통령 극렬 지지자의 난동의 한 원인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확보한 지난달 18~19일 서울경찰청 지휘망 무전 녹취록을 보면, 법원 경비를 담당한 현장 경찰이 안정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나온다. 현장 지휘관에 서울경찰청 지휘부가 질책하는 등 조직 내 혼선을 빚는 모습도 노출됐다.
녹취록에 따르면 지난달 18일부터 서울경찰청 지휘부는 연락이 제대로 되지 않는 관할 현장 지휘관인 마포경찰서 경비과장을 계속해서 호출하며 질책했다. 서울경찰청 경비계장은 “경력(경찰병력)들이 마포 무전망으로 찾으면 대답을 하라”며 “마포무전망으로 지금 경력들이 계속해서 마포 경비과장, 경비계장을 호출하는데 대답을 안 한다고 계속해서 서울경찰청 상황지휘센터로 전화가 온다”고 말했다.
이어 “법원 후문 쪽으로 이동해 현장에서 지휘를 해서 시위자들 사이에 집단 마찰 등이 더 확장되지 않도록 차단하라”고 지시했다. 마포서 경비과장은 “정문 쪽에 있는데 바로 조치하겠다”고 답했다. 서울경찰청 경비계장은 다시 “과장이 정문 쪽에 있으면 후문 쪽은 마포 경비계장을 보내던지 마포 경비계 직원을 보내던지 임무를 분담하라”고 구체적으로 명령을 내렸다. 현장에서 지휘를 해야 하는 경비과장이 이곳저곳을 오가면 안 된다는 지적이었다.
지난달 19일 오전 1시쯤 서울경찰청 경비과장은 “집회 참가자들이 월담을 할 수도 있으니 정문, 담벼락 등에 경력을 촘촘히 배치해서 월담을 시도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수비를 잘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이 지시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오전 3시쯤 서부지법이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지지자들은 격앙된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서울경찰청 경비계장은 “시위자들의 돌출 행동 등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치 준비 바란다”고 말했다.
뒤이어 상급자인 서울경찰청 경비과장이 “지시한 대로 위협물을 투척하거나 안쪽 진입을 하거나 한 시위자에 대해서는 현행범 검거하라”고 지시했다. 마포경찰서장은 오전 3시12분쯤 “10명이 검거됐고, 계속 검거 중”이라며 “후문이 파손돼서 두텁게 경력을 배치해서 준비하겠다”고 했다. 그러자 서울경찰청 경비과장은 “후문에 경력 증가해서 수비를 잘하라”며 “후문 쪽으로 이동하는 시위자가 있다는 첩보”라고도 알려줬다.
사태가 점점 심각하게 돌아가자 오전 3시30분쯤 더 상급자인 서울경찰청 공공안전차장이 “더는 기물파손, 집단 불법행위 없도록 경력 빨리 들어가서 4인1조로 검거 조치를 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지시는 제 때 이뤄지지 않았고 현재 위치를 묻는 무전에도 마포서 경비과장은 약 20초간 답변이 없다가 뒤늦게 나타났다. 오전 3시52분에는 경비과장을 찾는 무전에 마포경찰서장이 대신 답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오전 3시58분 두 차례 무전에 뒤늦게 답해 서울경찰청 경비계장이 “지휘센터 무전을 잘 들어라. 부르면 대답을 해야지”라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경찰청은 서부지법 사태 당시 서울 마포경찰서장, 마포서 경비·정보과장의 경력 운용이 미흡하다고 보고 ‘직권 경고’ 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