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자영업자들의 사업실적이 크게 악화돼 상당수가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에 따르면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자영업자 열 명 중 일곱 명(72.6%)은 2024년 매출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했으며 감소폭은 평균 12.8%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순이익 역시 열 명 중 일곱 명(72.0%)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밝혔으며 감소폭은 평균 13.3%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 과반은 올해도 이러한 사업실적 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매출 전망이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61.2%로 나타났으며 2025년 순이익 전망도 응답자의 62.2%가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하는 올해 매출과 순이익 평균 감소폭은 각각 6.5%, 7.2%로 집계됐다.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2024년 기준 1억 2천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월 이자 부담액은 84.3만원으로 연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이고 소액대출 금리가 6.9%인 점을 감안할 때 상당수 자영업자들이 은행 대출 이외에 제2금융권(비은행금융기관) 등에서도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 같은 상황에 자영업자 열 명 중 네 명 이상(43.6%)은 향후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하게 된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임차료, 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을 꼽았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에 따르면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자영업자 열 명 중 일곱 명(72.6%)은 2024년 매출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응답했으며 감소폭은 평균 12.8%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순이익 역시 열 명 중 일곱 명(72.0%)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밝혔으며 감소폭은 평균 13.3%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 과반은 올해도 이러한 사업실적 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매출 전망이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61.2%로 나타났으며 2025년 순이익 전망도 응답자의 62.2%가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하는 올해 매출과 순이익 평균 감소폭은 각각 6.5%, 7.2%로 집계됐다.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2024년 기준 1억 2천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월 이자 부담액은 84.3만원으로 연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이고 소액대출 금리가 6.9%인 점을 감안할 때 상당수 자영업자들이 은행 대출 이외에 제2금융권(비은행금융기관) 등에서도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 같은 상황에 자영업자 열 명 중 네 명 이상(43.6%)은 향후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하게 된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임차료, 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