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정문을 사이에 두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반대 집회가 동시에 열렸다. 뉴시스


졸업식과 개강 시즌을 앞두고 대학가가 술렁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이 다가오면서 대학마다 탄핵 찬반 집회와 시국선언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학교 측에선 안전을 우려해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고, 교직원들에게도 비상대기령을 내리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4일 서울 동작구 숭실대 정문 앞에는 윤 대통령 지지자 30여명과 유튜버 10여명이 모여들어 탄핵의 부당성을 담은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취재진을 향해 고성을 지르거나 참가자들끼리 싸움을 벌여 경찰이 이를 제지하기도 했다.

고성과 욕설이 오가는 집회에 재학생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숭실대 재학생 김모(23)씨는 “정문을 완전히 막고 서있는 시위대를 보고 겁이 많이 났다”며 “학교는 정치적 싸움을 하는 곳이 아닌데, 외부인들이 학교 앞에 모여있는 모습이 보기 좋지 않다”고 말했다. 다른 김모(21)씨 역시 “학교에서 건강한 토론이 오가는 건 좋지만, 고성이 오가고 폭력사태가 번지는 모습을 보면서 당황스러웠다”며 얼굴을 찌푸렸다.

이날 숭실대에는 70여명의 경찰이 투입돼 만일의 상황에 대비했다. 학교도 ‘비상대응팀’을 운영해 일부 교직원들도 함께 현장을 통제했다. 숭실대 관계자는 “고려대 등에서 시위대 간 충돌이 있어 학생들의 피해가 우려돼 현장에 나왔다”며 “학생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현장을 관리했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대에서 열린 탄핵 찬반 집회에서는 양측 참가자들이 욕설을 하며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고려대에서도 유튜버들이 몸싸움을 벌여 부상을 입은 2명이 구급차로 이송됐다.

24일 서울 숭실대학교 정문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숭실인들’ 주최로 탄핵반대 시국선언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26일부터는 이화여대, 인하대, 단국대를 시작으로 서강대, 성균관대 등에서도 탄핵 관련 시국선언이 예고돼있다. 집회를 앞둔 학교들은 경찰 투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성균관대 관계자는 “탄핵 찬반집회가 동시에 열려 맞붙을 경우를 대비해 두 진영을 분리할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경찰 투입을 요청할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 집회가 예정되지 않은 대학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경희대 관계자는 “아직 집회신고가 들어오진 않았지만, 다른 학교 상황들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며 “학교 밖에서 갑작스럽게 집회를 여는 상황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안전대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지난 2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에서 유튜버들이 몸싸움을 벌이다 바닥에 누운 모습. 윤예솔 기자


학생들도 학교 측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하고 있다. 이화여대 재학생 강모(21)씨는 “고려대 집회 당시에 유튜버들이 캠퍼스에 들어와 학생들을 마구 찍어 얼굴이 노출됐는데, 이번 집회 때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까 두렵다”며 “집회 당일이라도 재학생이 아닌 경우 캠퍼스 출입을 통제하는 방안을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세대 재학생 이모(27)씨는 “학교는 공부하는 곳인 만큼 다른 집회보다 소음에 예민한데, 무분별한 욕설이나 소음은 규제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63 [속보] 한은, 금리 2.75%로 인하… 다시 열린 2% 기준금리 시대 랭크뉴스 2025.02.25
47162 與, 상법 강행하면 崔 대행에 거부권 행사 요청키로 랭크뉴스 2025.02.25
47161 [속보]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3%→2.75% 랭크뉴스 2025.02.25
47160 [속보]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성장률도 1.5%로 하향 조정 랭크뉴스 2025.02.25
47159 [1보]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연 3.00→2.75% 랭크뉴스 2025.02.25
47158 [단독] '선거조작·조폭' 손가락질했는데…중국인 범죄율 실체는? 랭크뉴스 2025.02.25
47157 국방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에 기소휴직 명령 랭크뉴스 2025.02.25
47156 “외국에서 퇴짜” 해외 리콜제품 국내에서 알리·테무 통해 유통 랭크뉴스 2025.02.25
47155 최상목 "해제 가능 '그린벨트 총면적' 17년 만에 확대" 랭크뉴스 2025.02.25
47154 尹 탄핵 심판, 오후 2시 마지막 변론… ‘무제한’ 최후 진술 랭크뉴스 2025.02.25
47153 워런버핏의 '피맥 파티'가 의미하는 것[3월 주식시장 키워드③] 랭크뉴스 2025.02.25
47152 [속보] 국방부, 전 계엄사령관 박안수 총장 기소휴직 랭크뉴스 2025.02.25
47151 신상 털린 사이버레커 뻑가 "잃을 거 없다, 총력 다해 맞설 것" 랭크뉴스 2025.02.25
47150 [속보] 與, 崔대행에 상법·명태균특검법 거부권 행사 요청키로 랭크뉴스 2025.02.25
47149 최상목 “17년 만에 해제할 수 있는 그린벨트 총면적 확대” 랭크뉴스 2025.02.25
47148 정부 “해제 가능 그린벨트 총면적 확대…1·2급지도 개발 허용” 랭크뉴스 2025.02.25
47147 유튜브·인스타로 옮겨간 ‘일베 놀이’…10대, 극우에 물든다 랭크뉴스 2025.02.25
47146 "尹, 구질구질한 스타일 아니다…임기 연연해 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2.25
47145 [속보] 최상목 "해제할 수 있는 그린벨트 총면적 17년 만에 확대" 랭크뉴스 2025.02.25
47144 국민의힘에도 ‘비명계’ 생기나···대선 국면서 탄핵 반대파에 ‘역공’ 주목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