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군 지휘부 주요 진술로 본 ‘체포 지시’ 구체적 증거들


“문 부수라” 지시받은 곽종근

707 단장과 ‘국회 단전’ 논의


“계엄 미리 인지했다” 여인형

곽에 비화폰 기록 삭제 언급

‘체포 지시’ 증거 은폐 정황도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군 지휘부에 수차례 “국회의원들을 체포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국회와 수사당국,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등에 나온 군 관계자들이 당시 체포 지시 정황들에 대해 밝힌 내용이 점점 더 구체적으로 확인되면서다.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체포 지시는)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얘기”라던 윤 대통령의 주장이 갈수록 힘을 잃고 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 비상계엄을 수행한 핵심 관계자들은 모두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체포 지시자’로 지목했다. 이들이 밝힌 당시 ‘계엄의 밤’ 관련 진술은 시간이 갈수록 구체적인 내용으로 전해지고 있다.

24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진우 전 사령관은 지난해 12월 군검찰에서 계엄 선포 이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총 4차례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윤 대통령이 두 번째 통화에서 “화를 내며 ‘4명씩 들어가면 1명씩은 데리고 나올 수 있지 않냐’고 했다”고 진술했다. 이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체포’라는 말을 들었다”며 “윤 대통령이 ‘4명이 들고 나오라’고 할 때 확 마음이 닫혔다”고 말했다. “체포하라는 대통령의 지시를 (부하들에게) 입 밖으로 되풀이한 것은 제정신으로 한 것은 아니었다”고도 말했다. 이 전 사령관은 최근까지도 내란 공범으로 기소된 자신의 상황 때문에 공개적인 발언을 회피해 왔으나 수사를 받으며 했던 발언들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이 전 사령관은 당시 국회 앞에서 시민들이 계엄군을 막아서자 윤 대통령이 세 번째로 전화를 걸었다고 했다. 이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소리를 엄청 크게 지른 건 기억난다”며 “문을 부수란 얘기도 기억나고 ‘총’이라는 단어도 기억난다”고 했다. 다만 “총으로 어떻게 하라는 내용은 기억이 안 난다”며 “(윤 대통령이) ‘어, 어?’ 이러면서 악을 썼다”고 말했다. “문을 부수라”는 지시까지 하자 이 전 사령관은 “‘의사당 안에 있는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뜻으로 이해했다”고 했다. 당시 국회의사당에서는 계엄 해제를 위한 표결이 진행 중이었다.

특전사 병력 투입 지시를 받고 국회에 출동한 곽종근 전 사령관도 “윤 대통령이 직접 전화해 ‘의결정족수가 아직 안 된 것 같다.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국회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했다”고 밝혔다. 곽 전 사령관은 군검찰에서 “처음에 (국회) 봉쇄로 알고 갔고, 그 뒤에 추가로 계엄 해제 요구 표결 방해 임무를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문을 부수라”는 지시를 두고 곽 전 사령관과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국회 단전’ 논의를 한 정황도 확인됐다. 곽 전 사령관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보면 곽 전 사령관은 “의결정족수가 넘으면 안 된다는 생각에 김현태에게 ‘의원 150명 넘으면 안 된다’고 말했을 수 있다”며 “(국회 안에) 못 들어가면 전기로 표결을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는지 논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 단장이 지난 18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단전은 표결을 방해하려는 목적이 아니었다”고 증언한 것과 배치된다.

체포 지시 등의 증거를 은폐하려 한 정황도 속속 나오고 있다. 곽 전 사령관은 군검찰에서 “지난해 12월4일 오전 4시30분 계엄 해제 이후 여인형과의 통화에서 여인형이 ‘비화폰 통화기록을 삭제해야 한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당일 김 전 장관으로부터 이른바 ‘체포조 명단’을 전화상으로 들었다고 군검찰에서 진술했다.

그는 “전화로 이름을 불러주면서 ‘잡아라’ ‘일단 국회로 가라’고 했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이 기억하는 체포 대상 명단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모두 14명이다.

계엄 선포를 미리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정황과 진술도 나왔다. 여 전 사령관은 “첩보를 통해 미리 인지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전 사령관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한 결과 계엄 선포 전날인 지난해 12월2일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문을 열 거나 부수는 데 사용하는 도구’를 검색했고, 계엄 당일 오전에는 ‘국회 해산이 가능한가요’를 검색한 사실도 확인됐다.

계엄 당일 밤 10시30분 김 전 장관이 계엄사령관으로 임명한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은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계엄포고령을 하달하란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았고, 이를 이행했다고 군검찰에서 진술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80 [속보] 최상목 대행 “여야 협의로 지속가능한 연금개혁안 마련되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9 쿠팡, 유통업계 1위 굳힌다…1년 결제액만 '55조원'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8 최상목 “기업 투자가 살 길”···17년 만에 그린벨트 푼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7 [속보] 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서 붕괴 사고…소방, 대응 2단계 발령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6 최재형, 광화문 집회 간 친구에게 "마음 알지만 탄핵은 불가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5 [속보] 한은, 기준금리 2.75%로 인하…성장률 1.9%→1.5%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4 국민의힘 "상법개정안·'명태균 특검' 통과시 재의요구권 요청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3 [속보] 천안 고속도로 공사현장서 구조물 붕괴…작업자 8명 매몰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2 [속보]한은, 올해 성장률 1.9→1.5%로 대폭 하향 조정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1 [단독] 계엄 이틀 뒤, 국회협력단서 나온 종이가방 4개…검찰, 출입내역 확보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0 정부 “해제할 수 있는 그린벨트 총면적, 17년 만에 확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9 새내기주 잔혹사 끝났나…엘케이켐, 260% ‘불기둥’ [줍줍리포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8 [속보] 정부, 전략산업 육성 위해 17년 만에 그린벨트 푼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7 [속보] 한은, 금리 0.25%p 낮춘 2.75%‥올해 성장률은 1.5%로 0.4%p 낮춰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6 한동훈 “이재명, 대한민국서 가장 위험…유죄 막으려 계엄 할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5 한은, 기준금리 2.75%로 내렸다…올 성장률 전망도 1.5%로 하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4 경기 추락부터 막는다…한은, 금리 0.25%p 낮춰 '내수살리기'(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3 [속보] 한은, 금리 2.75%로 인하… 다시 열린 2% 기준금리 시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2 與, 상법 강행하면 崔 대행에 거부권 행사 요청키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61 [속보]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3%→2.75%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