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우크라이나 국민은 미사일과 폭탄이 언제 머리 위로 떨어질지 모른단 공포 속에 살고 있습니다.

현지를 연결해서 우크라이나 인들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들어보겠습니다.

오늘(24일) 만나실 테티아나 씨는 키이우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며 두 나라의 가교 역할을 해왔고, KBS 통신원으로 현지 소식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테티아나 씨, 안녕하시냔 인사도 사실 조심스럽습니다.

전쟁에 휘말린 지난 3년, 우크라이나 국민에겐 어떤 의미입니까?

[답변]

2022년 침공 이전에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최소 11년 동안,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로 뺏어간 이후부터는 생명, 그리고 국가로서의 우크라이나의 존재에 대한 위협을 느껴왔고요.

지난 3년은 더욱더 공포, 분노, 걱정으로 가득했습니다.

제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가 북부에 계시는데, 러시아군이 침공했던 첫 한 달은 기억하기도 싫은 기간이고요.

심지어 제가 키우는 강아지마저 밤에 드론이 날아오는 소리가 나면 벌벌 떨어요.

그런 걸 생각하면 너무 화가 나서 이가 앙다물어져요.

[앵커]

지금 미국이 주도해서 종전협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협상에 참여하질 못하고 있죠.

이 점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답변]

굳이 젤렌스키 대통령이 협상 자리에 올 필요가 없다는 트럼프의 발언은 말도 안 됩니다.

우리는 이 전쟁의 피해자이고 방어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방어를 포기하지 않아서 오래전에 끝낼 수 있던 전쟁을 끝내지 못했다는 발언도 말도 안 됩니다.

마치 아무 이유 없이 아내를 때리는 남편을 편드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우리나라를 침공했고, 수십만 명의 군인과 민간인들이 죽고 더 많은 사람들이 다쳤고요.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종전 협상을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정부가 있고, 이 협상 과정에서 그저 대상이 아니고 중심이 돼야 합니다.

[앵커]

미국의 종전 구상을 보면, 지금 전선을 새 국경으로 하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영토 20%를 러시아에 넘겨주란 말인데, 우크라이나 국민 의견은 어떻습니까?

[답변]

12월에 진행한 키이우국제사회연구소 여론조사에 따르면 50% 정도의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지금도 영토를 포기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예전보다 적지만, 땅을 내주더라도 휴전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도 종전 조건에 따라 다른데 바로 우크라이나가 유럽연합과 나토에 가입하겠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앵커]

이번 전쟁이 설사 끝난다고 해도, 러시아가 또 침공할 거다, 이런 공포가 있다면서요?

[답변]

공포가 아니라 확신입니다.

러시아를 믿을 수는 없습니다.

지금 종전이나 휴전이 이뤄져도 다시 쳐들어오는 것도 물론이고 우리가 못 버티면 유럽까지 침공할 것이 분명합니다.

우리 힘으로 나라를 지키기 힘든 상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 같아서 같은 대륙에 있는 유럽 나라도 적극 전장에 나섰으면 합니다.

[앵커]

우크라이나가 진정으로 바라는 종전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크라이나의 점령된 땅을 되찾아 러시아가 2014년에 크림반도를 빼앗아 가기 전 국경으로 국토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러시아가 제왕적이고 지배적인 생각을 포기하게 하고 우리 무력 침공 공포에서라도 벗어나는 것입니다.

[앵커]

네, 테티아나 씨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영상편집:이웅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02 도로 달리다 10m '붕' 떴다…세계 최초 '하늘 나는 차' 영상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4
47001 대낮 제주 호텔서 중국인 피살… 용의자는 중국인 4명 new 랭크뉴스 2025.02.24
47000 김건희 "당선인 뜻, 잘 될 것" 명태균 "고맙습니다"…육성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9 제주 호텔서 중국인 남성 피살...중국인 3명 긴급체포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8 바이비트, 北 추정 해킹에 2조원 날렸다… 코인 지키려면 ‘개인지갑’ 필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7 '우리들의 블루스' 발달장애인 배우 겸 화가 정은혜 5월 결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6 [제보는 MBC] "후기 쓰면 돈 드려요"‥'팀 미션' 이라더니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5 머스크, 공무원 230만 명에 "보고하라"‥계속되는 월권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4 김부겸 "개헌의견 분명히 밝혀야"…李 "지금은 내란극복 집중"(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3 10차례의 탄핵심판 변론, 재판관들은 무엇을 물었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2 5·18 묘지 찾은 김상욱 "탄핵 반대집회 송구"… 친한계 단톡방은 탈퇴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1 김건희, 명태균에 “당선인이 전화했다, 김영선 밀라고”···통화 육성 첫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90 이재명 만난 김부겸 “개헌 필요”… 입장 차이 확인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89 연금 소득대체율 44% 안팎·자동조정장치 줄다리기…여야 접점 찾을까(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88 김부겸 “개헌 입장 요구에 이재명은 ‘탄핵 집중’…공방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87 김건희-명태균 통화 육성 첫 공개…“잘될 거니까 지켜보자”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86 윤석열 ‘입’에 전전긍긍…여당, 결별 못한 ‘업보’[뉴스분석]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85 빨라진 대선시계‥여야 속내는? new 랭크뉴스 2025.02.24
46984 아이 180㎝ 키운다고?…그 집착에 한국서 폭주한 병 new 랭크뉴스 2025.02.24
» »»»»» “러시아 재침공은 공포 아닌 확신” new 랭크뉴스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