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 이어 KB은행도 예금 금리 2%대
기준금리 인하 예고에 "곧 2%대 대세"
대출금리 인하 더뎌...이자 수익 껑충
기준금리 인하 예고에 "곧 2%대 대세"
대출금리 인하 더뎌...이자 수익 껑충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의 창구 모습. 뉴시스
주요 시중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금리가 속속 연 2%대에 진입
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예고돼 있어 연 3%대 이자 받기는 갈수록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24일
KB국민은행은 대표 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만기 1년 기준)를 기존
연 3%에서 연 2.95%로
0.05%포인트 낮췄다. 이 상품의 최고금리가 다시 2%대로 내려온 건 2022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앞서 20일에는 신한은행이 '쏠편한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3%에서 연 2.95%로 내렸다. 이 상품의 2%대 금리는 2022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이었다.최근 은행권 예·적금 금리는 줄줄이 내려가는 추세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미리 반영하면서
시장금리가 일찌감치 떨어지기 시작한 탓
이다. "시장 상황을 반영한 조정"이라는 설명과 함께 SC제일은행은 17일부터 거치식 예금 상품 4종의 금리를 최대 0.5%포인트 낮췄고, 하나은행도 14일 '하나의 정기예금' 등 3개 상품의 12~60개월 만기 기본금리를 0.2%포인트 인하했다.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이날 기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대표 예금상품 금리 상단은 연 3%다. 당장 25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가 유력하게 점쳐지는 만큼, 앞으로도 수신금리 하락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관계자는 "여론 등을 고려할 때 금통위 직후 곧바로 정기예금 금리를 떨어뜨리기는 어렵겠지만 다들 준비는 하고 있을 것"이라며 "
조만간 2%대 금리가 대세가 될 것
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예금금리가 빠르게 떨어지는 반면,
대출금리는 가계대출 관리 등을 명분으로 더디게 내리고
있다는 점이 문제
로 지적된다.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경우 예대금리차는 계속 벌어지고, 결국 은행의 이자 수입만 늘어난다는 비판도 커질 수밖에 없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신규 취급액 기준 예금은행의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는 1.43%포인트로 4개월 연속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