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연구는 계속 해야하나, 과도한 우려는 금물”
질병관리청이 중국에서 사람 전파 가능성이 있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새롭게 발견했다는 발표에 대해 실제 전파 가능성이 작다며 확대 해석을 지양해달라고 밝혔다.
김은진 질병청 신종병원체분석과장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에 발표된 연구는 실험실에서 세포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라며 “아직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다는 충분한 정확 증거는 없다”고 말했다.
중국과학원(CAS)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은 지난 18일 국제 학술지 ‘셀(Cell)’에 박쥐에서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바이러스의 이름은 ‘HKU5-CoV-2′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처럼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간 세포에 대한 침투력이 약해 감염 가능성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보다 훨씬 낮다는 것이 연구진의 결론이다.
연구진도 “인간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한 것은 아니며, 실험실에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질병청도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의 위험성에 대해 확대 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가 발표된 이후 코로나19를 이을 새로운 감염병이 출현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김 과장은 최근 전 세계에서 바이러스의 인수 공통 감염이 확대되는 상황이라 연구는 지속해야 한다”면서도 “신종 바이러스의 인체 수용체 결합력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나 코로나19에 비하면 상당히 약한 편이라고 나와 인간에 감염될 가능성은 낮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외부 전경. 질병관리청은 최근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이 박쥐에서 발견한 신종 바이러스에 대해 인체 감염 가능성이 크지 않다며 과도한 우려는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로이터 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이 중국에서 사람 전파 가능성이 있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새롭게 발견했다는 발표에 대해 실제 전파 가능성이 작다며 확대 해석을 지양해달라고 밝혔다.
김은진 질병청 신종병원체분석과장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에 발표된 연구는 실험실에서 세포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라며 “아직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다는 충분한 정확 증거는 없다”고 말했다.
중국과학원(CAS)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진은 지난 18일 국제 학술지 ‘셀(Cell)’에 박쥐에서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바이러스의 이름은 ‘HKU5-CoV-2′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처럼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간 세포에 대한 침투력이 약해 감염 가능성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보다 훨씬 낮다는 것이 연구진의 결론이다.
연구진도 “인간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한 것은 아니며, 실험실에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질병청도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의 위험성에 대해 확대 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가 발표된 이후 코로나19를 이을 새로운 감염병이 출현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김 과장은 최근 전 세계에서 바이러스의 인수 공통 감염이 확대되는 상황이라 연구는 지속해야 한다”면서도 “신종 바이러스의 인체 수용체 결합력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나 코로나19에 비하면 상당히 약한 편이라고 나와 인간에 감염될 가능성은 낮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