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우크라이나인 음악가 나탈리아 볼로슈코(47)는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난민으로 살고 있다. 전쟁으로 그의 삶은 송두리째 무너졌다. 유엔난민기구(UNHCR)의 협조로 지난 18일 화상 인터뷰한 굴곡진 인생 역정을 그의 시선으로 되짚어봤다.

우크라이나 난민 나탈리아 볼로슈코가 지난 18일 중앙일보와 화상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줌 캡처
하르키우의 얼어붙은 공기를 폭음이 때렸다. 의식이 새벽 잠에서 우악스럽게 꺼내지면서 눈을 떴다. 창문 너머로 무너져 내리는 TV 송신탑이 보였다.

다시, 전쟁이었다.

14살짜리 아들의 손을 잡고 9층의 임대 아파트에서 뛰어내려왔다.

2022년 3월 2일 우크라이나 제2 도시 하르키우의 경찰서 건물이 러시아군의 포격에 불타고 있다. AFP=연합뉴스
내가 운영하던 음악학원에 지하실이 있었다. 수강생들의 학부모들에게 연락했다. 갈 곳이 없으면 내 학원으로 대피하자고 했다. 2022년 2월 24일 그날 밤은 학원 지하실 바닥에서 뜬 눈으로 보냈다.

돈바스 출신인 나는 8년 전 전쟁을 이미 겪었다. 돈바스에선 친러시아 반군과 우크라이나군이 서로 죽이고, 죽었다. 하르키우로 몸을 피했다. 피아니스트인 나는 하르키우에 음악학원을 차리고 안착했다. 그러나 또 전쟁이 시작됐다.

지하실에 모여든 남자와 여자, 아이들의 눈에는 공포와 눈물이 어른거렸다. 우리는 어둠 속에서 기도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전날인 2022년 2월 23일 볼로슈코가 고국에서의 마지막 음악 수업을 하는 모습. 사진 본인 제공
날이 밝자 아들을 데리고 폴란드행 열차에 몸을 실었다. 천운이었다. 오도 가도 못하는 차와 경적 소리가 역으로 향하는 도로를 메웠다. “러시아가 공격했다”는 절규와 울부짖음이 뒤섞여 있었다.

피란민으로 가득한 기차는 때때로 멈췄다.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서였던 것 같다. 물과 먹을 것, 빛이 없는 검은 밤길을 기차는 스무 시간을 달렸다. 원래는 두 시간 거리다. 전쟁 발발 사흘 후인 27일 오전 12시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 땅을 밟았다. 그리고 이틀 후, 러시아의 미사일 폭격을 받은 하르키우가 함락됐다는 소식을 접했다.

볼로슈코가 찍은 피란 열차의 내부 모습. 발 디딜 틈 없이 피란민으로 가득한 상황에서 가다 서다를 반복, 전기까지 끊어져 열차 안(오른쪽)이 어두웠다고 한다. 2022년 2월 26일 오후 4시에 출발한 열차가 폴란드에 도착하기까지 20시간이 걸렸다. 사진 본인 제공
폴란드인들이 우리를 반겨줄까. 과거 폴란드는 우크라이나를 지배했다. 독립한 우크라이나에는 한때 친러시아 정부가 들어서서 폴란드와 맞섰다. 난 폴란드어도 몰랐다. 일주일 내내 침대맡에서 울기만 했다. 그러나 폴란드인들은 우리 모자에게 마음을 열었다. 잠잘 곳과 구호품을 제공했다. 다른 나라와 국제기구도 우리를 도왔다. 새로운 친구들도 사귀었다.

나는 함께 터전에서 쫓겨난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치기로 했다. ‘우크라이나 어린이교육센터’와 ‘볼로슈카 뮤직’ 두 곳을 설립했다. 뮤지컬과 오페라, 피아노 소리에 전쟁에 상처 입은 아이들이 마음을 열고, 웃음을 되찾기를 바랐다.

지금 미국과 러시아는 전쟁을 끝내려 한다. 우리를 러시아의 일부로 취급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우크라이나인이고, 러시아인이 아니다. 우리는 작지만, 독립된 나라다.

2023년 8월 24일 폴란드 바르샤바 마리오트 호텔에서 열린 음악 콘서트 '우크라이나여, 일어나라'에서 우크라이나 난민 어린이들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 이 콘서트는 볼로슈코가 기획했다. 사진 본인 제공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차이코프스키. 러시아가 벌인 전쟁으로 조국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인은 고통받고 있다. 동시에 나는 음악을 통해 우리 아이들이 희망을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사랑은 전쟁을 이긴다. 차이코프스키의 음악도 영원할 것이다.

우리 우크라이나인의 영혼 역시 깊다. 전쟁이 끝나도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아마도 폴란드에 계속 남아서 우크라이나와 폴란드 아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칠 것 같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이고, 이 미친 현실에서 아이들을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난민 나탈리아 볼로슈코
폴란드 바르샤바에 거주 중인 우크라이나 난민 나탈리아 볼로슈코. 사진 본인 제공
러시아 접경지인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에서 태어났다. 2014년 ‘돈바스 내전’으로 북동부의 하르키우로 이주했다. 음대 졸업 후 우크라이나 문화부에서 8년간 일했고, 이후 음악학원을 열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폴란드 바르샤바로 대피해 난민으로 살고 있다. 2023년에 우크라이나 어린이교육센터(재단), 볼로슈카 뮤직(학교)을 세웠다. 우크라이나 난민 어린이들의 정신적 치유를 위한 음악 교육 프로그램 등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35 메르켈과 '20년 앙숙'이었다…전용기 가진 첫 獨총리 탄생 임박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34 명태균 “홍준표 복당 위해 김종인과 독대 주선”…민주당, 녹취록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33 당신한테 딱 맞췄다는 이 가격, 왜 친구 것보다 비쌀까요?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32 ‘폐기 직전’ 채소에 가격표 바꿔치기…‘온라인 장보기’ 고객 우롱하는 대형마트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31 "라면 1개만..." 요청한 청년이 취업 후 가게 주인에게 남긴 봉투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30 두 번 폐기된 노란봉투법, ‘손배 청구 제한’ 더 강해져서 재추진된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9 단양군 관광객 900만명…군민보다 340배나 많이 찾은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8 간첩 몰렸던 납북 어부 억울한 옥살이… 51년 만에 누명 벗어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7 캐나다→고창읍 ‘실버타운 역이민’…월 100만원으로 늙어갈 집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6 “탄핵 선고날 ‘갑호 비상’ 건의”…헌법재판관 보호 격상 검토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5 [속보] 권성동, 이재명 '3대3 토론' 제안에 “1대1로 토론하자”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4 드라마 꼭 챙겨 본다는 '찐팬' 尹…日 "진정한 고독한 미식가 됐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3 민주, ‘홍준표 복당’ 명태균 녹취 추가 공개···“김종인 만나게 해줬다”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2 [단독]“우린 역사의 흐름 속에” “대통령 뭘 노린거야” 계엄 때 군 간부들 자조·하소연 ‘고스란히’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1 대형 TV 수요에 패널 가격 계속 오른다… “트럼프 관세 영향 미미”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20 ‘보수 논객’ 정규재 “윤석열 정신 감정 필요…탄핵 인용될 것”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19 반얀트리 화재 참사, 엘리베이터로 탈출하다 참변…6명 질식사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18 與, 소상공인 대상 '100만원 바우처' 지급 추진…"추경에 반영"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17 ‘강남맘’ 이수지 660만뷰 돌풍…현실고증은 어떻게 신드롬이 됐나 new 랭크뉴스 2025.02.24
46816 명태균 측 "홍준표와 최소 네 번 만나… 검찰에 증거 제출" new 랭크뉴스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