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기 이후 지속해서 상승하던 한국인 삶의 만족도가 4년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4일) 발간한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6.4점으로 전년보다 0.1점 하락했습니다.
삶의 만족도는 2013년 5.7점에서 지속 상승해 2018년 6.1까지 올랐다가 2019년 6.0으로 하락한 뒤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지속해서 보합·상승했지만 4년 만에 다시 하락 전환한 겁니다.
삶의 만족도는 소득수준별로도 차이를 보여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5.7점으로 평균보다 0.7점 낮았고, 소득이 100만∼200만 원 미만인 가구는 6.1점, 200만∼300만 원 미만인 가구는 6.2점이었던 반면 소득이 6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만족도는 6.6점으로 평균을 상회했습니다.
연령별로는 19∼29세와 30∼39세에서 각각 6.5를 기록했고, 40∼49세 삶의 만족도는 6.6이었으나 고령층인 50∼59세는 6.4, 60세 이상은 6.2로 연령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38개국 중 33위로 하위권이었는데, 우리나라보다 만족도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 콜롬비아, 그리스, 헝가리, 포르투갈 등이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022년 25.2명에서 2023년 27.3명으로 상승하면서 9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OECD에서 작성하는 국제 비교 자료 기준 한국의 자살률은 2021년 10만 명당 24.3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