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국회 본회의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 종결을 앞두고 여권에 불리한 여론조사 흐름이 나타났다. 여권 대선 주자 중 1위를 달리던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지지율이 다소 하락했고, 중도층에서 탄핵 찬성과 정권교체 지지 응답이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태를 계기로 강성 지지층 결집도가 약화됐고, 탄핵심판에서 노출된 윤 대통령의 ‘모르쇠’ 태도 때문에 중도층이 이탈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 1002명에게 차기 대통령 선호도를 물은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34%)에 이어 2위를 차지한 김 장관(9%) 지지율은 일주일새 3%포인트 하락하며 한자릿수로 내려 앉았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7~19일 만18세 이상 성인 1000명에게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차기 대통령 후보 적합도를 물은 결과, 이 대표(31%)에 이어 2위인 김 장관(10%) 지지율은 직전 주에 비해 3%포인트 내려갔다.

중도층 정당 지지율도 국민의힘이 민주당에 뒤처지는 추세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중도층의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22%, 민주당 42%였다. 직전 주 조사에선 국민의힘 32%, 민주당 37%였다. 일주일새 중도층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10%포인트 빠지며 양당 지지율 격차가 5%포인트에서 20%포인트로 벌어졌다.

중도층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고 조기 대선이 열린다면 정권이 교체돼야 한다는 여론도 증가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중도층의 정권 유지 응답은 27%에 그쳤고, 정권 교체 응답은 62%로 나타났다. 직전 주 조사에서 중도층의 33%가 정권 유지, 54%가 정권교체 의견을 냈다. 격차가 21%포인트에서 35%포인트로 확대된 것이다.

윤 대통령 탄핵 찬반을 묻는 질문에서도 중도층은 69%가 찬성, 25%가 반대 의견을 냈다. 직전 주 조사에서 중도층의 60%가 찬성, 33%가 반대였던 것에 비해 탄핵 찬성 의견이 많아졌다.

NBS 조사에서는 탄핵 기각을 주장하던 응답자 중 26%가 헌재 변론을 보며 의견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탄핵 인용을 주장하던 응답자 중에서는 8%만이 의견 변화가 있었다고 했다. 탄핵 기각에서 인용으로 생각을 바꾼 응답자가 더 많게 나타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전반적인 여권 지지율 하향에 대해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가까워지면서 강성 지지층 결집이 약화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김봉신 메타보이스 부대표는 23일 통화에서 “보수 성향 응답자의 (응답) 적극성이 빠지고 있는 게 2주 정도 된 것 같다”며 “선고가 임박하면서 강성 지지층에게 희망보단 절망이 더 느껴지며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책임 전가와 모르쇠로 일관한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변론과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태가 중도층 민심 이반을 가져왔다고 해석했다.

비상계엄은 잘못이라면서 탄핵은 반대하는 모순과 과도한 헌재 공격도 여권 지지율 하락의 배경으로 지목됐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 지지자 중에서도 탄핵에 찬성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국민의힘은 이들을 도외시했다”며 “국민의힘이 중도층 지지율을 회복하려면 바뀌어야 한다. 계엄에 반대하지만 탄핵을 반대한다는 식의 논리적 부정합을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 지지율에 대해선 “탄핵심판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에 대한 영향이 김 장관 지지율에 반영된 것”이라며 “애초 김 장관의 확장성과 지지율 상승에는 제한이 있었다”고 말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여론조사에 나타난 지표에 대해 저희가 인정하고 겸허히 수용하는 바”라면서도 “한 번의 여론조사로 어떤 추세를 지금 단계에서 평가하기엔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두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43 윤석열 쪽 ‘편향’ 주장 헌재 흔들기…법조계 “방어권 충분히 보장”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2 홍준표 “우크라 북한군 포로는 탈북자, 국내 송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4
46541 美 상무장관 韓 기업들 만나 "10억 달러씩 투자하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40 "여권에 이 도장 조심하세요"…北 관광 재개에 커지는 우려 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9 美공화, 유엔 탈퇴 법안 발의…"백지수표 더 이상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8 당구장·숙박업소 수두룩…517억 '초등생 교육수당' 황당 실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7 삽질 공조 [그림판]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6 양자컴퓨터·AI 반도체 수출 땐 산업부 허가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5 원희룡 "다음 세대 위해 '상속세 폐지'급 대수술 논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4 여권에 '이 도장' 찍히면 큰일난다?…北 여행 갔다 낭패본다는데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3 산지에선 버리는데…김 값이 ‘금값’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2 폭사 5개월 뒤 열린 헤즈볼라 수장 장례식 수만명 운집(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1 홍준표 "우크라이나 전쟁 북한군 포로 한국으로 송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30 위고비 공급난 벗어난 노보 노디스크, 비만약 시장 독주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9 이 사이, 딱 ‘韓’ 자리가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8 2월 금통위 금리인하 우세…속도·폭 가늠할 소수의견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7 ‘김건희 대화’ 명태균 폰 3대 공개…“언제 터뜨릴지만 남았다”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6 교황 병상 메시지… "우크라 전쟁 3주년은 부끄러운 기념일"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5 민주당, 尹 탄핵 기정사실화?‥'이재명 리더십' 띄우며 대선모드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2.23
46524 탄핵 반대 외치며 '조기 대선' 금기어?‥與 잠룡들은 '몸풀기'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