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하마스 인질 추가 석방해야"
인질 군중 앞에 세우는 석방 방식도 비판
하마스 "중재국이 이스라엘 압박해야"
인질 군중 앞에 세우는 석방 방식도 비판
하마스 "중재국이 이스라엘 압박해야"
23일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수감자의 석방을 연기하면서 재회를 위해 모였던 수감자의 가족들이 서안지구 라말라에서 기약 없이 대기하고 있다. 라말라=EPA 연합뉴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인질 석방 대가로 풀어주기로 한 팔레스타인 수감자 약 600명의 석방을 무기한 연기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이 정전 협정을 위반했다며 즉각 반발했는데, 다음달 1차 휴전 만료를 앞두고 양측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날 이스라엘 총리실은 "인질이 추가로 석방될때까지 팔레스타인 수감자 석방을 연기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은 전날 하마스가 인질 6명을 석방한 대가로 팔레스타인 수감자 620명을 풀어줄 예정이었지만, 이를 사실상 중단한 셈이다. NYT는 "총리실이 추가 석방을 요구한 인질이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다"며 "다음주 석방 예정인 사망 추정 이스라엘인 4명을 말하는 것일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향후 인질 석방이 '굴욕적인 의식' 없이 진행된다는 보장이 있어야 팔레스타인 수감자를 석방할 수 있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 인질을 석방할 때 팔레스타인 군중 앞에서 인사를 하게 하는 등 퍼포먼스를 진행해왔다. 이스라엘 정부는 하마스의 이런 공개 석방 방식이 비인권적이라고 비판해 왔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의 수감자 석방 지연이 정전협적 위반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압둘 라티프 알-카누 하마스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정부가 지속적으로 차일 피일 석방을 미루고 이미 합의한 약속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중재국들이 이스라엘에 압력을 넣어서 정전협정을 존중하고 포로 석방의 지연이나 연기 없이 즉시 이를 실시하게 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1차 휴전은 다음달 2일 만료된다. 휴전 협상 계획대로라면 2차 휴전 협상안에 합의해야 하지만, 양측의 신경전은 계속되고 있다. 이스라엘 극우 진영에선 1차 휴전 종료 후 다시 전쟁을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